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폐
폐지
근절
퇴치
몰살
멸종
제거
스페셜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
하기까지
KISTI
l
2015.08.11
가뭄과 역병은 역사적으로 큰 위기다. 한 나라가 망하기도 하고, 전쟁에서 패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나라가 망하는 원인을 딱 한 가지로 속단할 순 없지만, 기근(饑饉, 흉년으로 양식이 모자라 굶주리는 현상)은 명나라를 멸망에 이른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있다. 우리나라도 얼마 전 메르스 ... ...
남녀노소, 모두가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이유
KISTI
l
2014.04.04
병원체가 다시 공격해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사람에게 치명적인 천연두 바이러스를
박멸
시킬 우두 접종법이 예방 접종의 시초였다. 18세기 말 영국의 과학자 에드워드 제너는 우유 짜는 여자들이 천연두에 감염되지 않는 현상을 관찰해 우두 바이러스가 천연두를 이겨낼 수 있는 열쇠라는 걸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2020년 전 세계에 팬데믹 사태가 벌어졌다. 바이러스 매개의 급성 호흡기 질환인 코로나19 때문이었다. 2019년 말 중국 우한시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대륙 ... 이뤄지면서 감염자가 줄었고, 1977년 이후로 감염자가 나타나지 않자 WHO가 1980년에 천연두
박멸
을 선언했다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라부아지에는 자신의 지지자들과 함께 플로지스톤 이론을
박멸
시키는 캠페인을 전개했고, 그 결과 플로지스톤 옹호자들의 입지는 좁아졌다. 만약 플로지스톤 이론이 일찍 퇴출당하지 않았다면 이후의 과학은 어떻게 전개됐을까? 많은 과학자들은 플로지스톤이라는 개념이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급증했다고 주장한다. 열대 지방의 개발도상국에서는 DDT가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를
박멸
해 말라리아 유행을 억제했다. 그러나 카슨의 비판으로 DDT 사용이 중단되면서 말라리아 환자 수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난은 두 가지 측면에서 잘못됐는데, 하나는 카슨은 합성 살충제 사용 금지를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어떻게 침대와 세상을 정복했는가’ 중 새로운 연구가 지금 당장 전 세계 빈대를
박멸
한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이 언젠가 강해져 또다시 나타날 것을 압니다. 막을 방법은 전혀 없는 걸까요? 이 교수는 “빈대의 저항성이 살충제에 국한된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진공청소기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 5가지
기사
l
20251007
치사율은 최대 30~40%였다고 합니다.그리고 1970년대, WHO가 전 세게 백신 켐페인을 돌입하면서 1980년 WHO는 전세계에 천연두는 지구에서
박멸
되었다고 발표했어요. 인간의 힘으로 멸종시킨 최초의 바이러스가 되었습니다.네번째, 말라리아출처: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 ...
빈대의 대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기사
l
20240115
가하거나 스팀기 등으로 스팀을 쐬어 죽이는 것도 가능하며 침대 시트나 옷을 고온 건조기로 말리기만 해도 해당 옷/시트의 빈대
박멸
이 가능합니다. 다만 집 전체에 퍼져있는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 죽이기에는 무리가 따르니 아래처럼 방제업체를 부르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 빈대에 대해 알려드렸는데 여러분은 빈대 조심하시고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 ...
괴물 쥐라고 부르지 말아주세요
기사
l
20231217
괴물이라고 불리지는 않아도 악당 등으로 불리는 생태계교란종은 많은데요.이 동물들은 퇴치의 대상이 되어갑니다.완전히
박멸
이 바로 시람들의 목표이죠.본래 뉴트리아는 1980년대에 모피와 고기를 얻기 위해 들여왔던 동물이지만 어느새 자연에 풀려나버렸습니다. 그런데 이런 동물들은 과연 오고 싶어서 온 걸까요?나빠서 그런 걸까요?사실 이들을 데려온 건 ...
모기, 나쁘기만 할까?
기사
l
20220710
만들었는데요, 무슨 모기냐 하면 결혼하면 새끼 암컷은 알에서 저절로 죽게 되는 유전자변형 모기입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기를
박멸
하면 살충제에 비해 자연에 영향을 훨씬 덜 끼친다고 합니다. 그럼, 한번 그 방법이 최선일지 먼저 모기님들의 의견을 들어보겠습니다. ...
[특별 주제] 바이러스를
박멸
하는 무기가 개발됐다! 인류는 이 무기를 사용해도 될까?
토론
l
20220526
없애버려도 괜찮을까요? 혹시 생태계를 파괴하는 결과를 낳지는 않을까요? *찬성 반대 의견* 찬성: 무기를 사용해 바이러스를
박멸
해야 한다 반대: 부작용을 우려해 무기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토론터에 의견을 작성해 줄 때는 찬성 또는 반대하는 견해를 먼저 밝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꼭 작성해 주세요. 의견 없이 작성할 경우, 삭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