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직
벼슬길
공명
뉴스
[과학사 극장] 장영실의 초상화는 진짜 얼굴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4.11.30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게 만든다. 아산 장씨 족보에 따르면 장영실은 고려 말 전서
벼슬
을 지낸 장성휘의 유일한 아들이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혼란기에 장성휘의 아내와 아들 장영실이 관기 및 관노로 전락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세종실록'의 기록 또한 이와 다르다. 실록에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개발하고자 할 때 좋은 방법을 찾는 것이 어려웠다. 파스퇴르는 닭 콜레라에 걸린 닭의
벼슬
에서 피를 채취하여 닭고기 수프에 이를 떨어뜨렸다. 그리고 이 수프를 실온에 수일 방치해 두자 수프에서 세균이 아주 많이 자라났다. 이 수프를 빵에 떨어뜨린 후 닭에게 주자 닭 콜레라가 발생하여 죽어 ... ...
대체육 풍미·색감 높이는 ‘미생물 세포공장’ 전략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6
추출해 붉은색 립스틱이나 딸기맛 우유 등에 첨가하는 칼민(코치닐색소), 닭
벼슬
이나 소의 안구에서 추출해 피부 미용에 쓰는 하이알루론산, 상어나 생선 간 등에서 추출해 건강보조제로 사용하는 오메가-3 지방산 등도 미생물을 이용하면 친환경적 생산이 가능하다. 최 교수는 “김치나 요거트 ... ...
조선시대에도 황사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성종 9년 4월에는 흙비가 내린 것에 대해 임금이 정치를 잘 못하거나 자격 없는 사람이
벼슬
자리에 앉은 것에 대한 응보(應報)라고 해서 범상치 않은 재이(災異)로 기록하고 있다. 숙종 7년 4월 7일에는 강원도와 평안도에 흙비가 내려 옷에 혼탁한 황톳물 자국이 남았다는 기록도 있다. 16세기 중반,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개발하고자 할 때 좋은 방법을 찾는 것이 어려웠다. 파스퇴르는 닭 콜레라에 걸린 닭의
벼슬
에서 피를 채취하여 닭고기 수프에 이를 떨어뜨렸다. 그리고 이 수프를 실온에 수일 방치해 두자 수프에서 세균이 아주 많이 자라났다. 이 수프를 빵에 떨어뜨린 후 닭에게 주자 닭 콜레라가 발생하여 죽어 ... ...
조선시대에도 황사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성종 9년 4월에는 흙비가 내린 것에 대해 임금이 정치를 잘 못하거나 자격 없는 사람이
벼슬
자리에 앉은 것에 대한 응보(應報)라고 해서 범상치 않은 재이(災異)로 기록하고 있다. 숙종 7년 4월 7일에는 강원도와 평안도에 흙비가 내려 옷에 혼탁한 황톳물 자국이 남았다는 기록도 있다. 16세기 중반,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그저 그런 미욱한 왕으로 남았을지도 모릅니다. ● 간축객서(諫逐客書) 진나라의 젊은
벼슬
아치였던 이사(李斯)는 목숨을 걸고 상소를 올립니다. 이것이 바로 유명한 간축객서, 즉 축객령을 거두라는 글입니다. 몇몇 문장을 고쳐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왕께서는 여러 보물과 미녀를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한장의 과학] 생각보다 더 크고 강했다! 딜로포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5호
몸속 열을 밖으로 내보낼 때도요. 연구팀은 딜로포사우루스의 코 안쪽 구멍에서
벼슬
로 이어지는 관과 공기주머니의 배열이 복잡한 것을 근거로 딜로포사우루스의 공기주머니도 새와 같은 기능을 했을 것으로 설명했지요. 로위 교수는 “딜로포사우루스는 영화로 유명해졌지만 사실 어떤 특징이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연구팀은 자웅모자이크 닭 세 마리를 분석했다. 이들은 절반은 수컷의 흰 털과 발달한
벼슬
을, 절반은 암컷의 갈색 털을 가지고 있었다. 또 수컷 부분이 암컷 부분보다 근육이 월등히 발달했고 뼈가 길고 조밀했다.연구팀은 이들의 좌우 세포가 거의 완벽하게 분리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세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자손이 노비가 됐다. 장영실의 아버지는 장성휘라는 사람으로, 고려말 지금의 장관급
벼슬
인 전서(典書)를 지낸 인물이었다. 하지만 그의 어머니가 부산 지역 관청 소속의 기생이었기 때문에, 장영실도 노비로 자랐다. 어릴 때부터 각종 농기구를 고치는데 두각을 나타냈던 장영실은 한양으로 가게 ... ...
[핫이슈] 천문…하늘에 묻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세종은 능력으로 사람을 평가했고, 똑똑한 장영실을 특히 총애했어요. 그 덕에 장영실은
벼슬
을 얻고, 오랜 시간 세종과 함께 과학기구를 발명하며 재능을 펼쳤지요.이때 탄생한 대표적인 발명품은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간의, 만 원권 지폐 뒷면에 그려진 천체 관측기기 혼천의, 태양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목인 박물관에 다녀와서
기사
l
20230809
먼저, 문인석 입니다. 문인석은 관모를 쓰고 있고, 손에는 홀을 쥐고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 홀이란 무엇인가요? 조선 시대에,
벼슬
아치가 임금을 만날 때에 손에 쥐던 물건이라고 합니다.)이렇게 옛날에는 임금님을 만나기 위해서는 준비가 필요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무인석입니다. 문인석은 머리에 투구를 쓰고 있고, 갑옷을 입 ...
정연어님 덕질자랑 대회(스포 많습니다)
포스팅
l
20221231
배운다고 합니다 애신이 왜 배우냐 묻자 남종은 러브를 하려고 배운다는 대답이 나오는데요, 애신은 러브가 무엇이냐 묻자 남종은
벼슬
보다 더 좋은 거라며 혹시 러브의 뜻을 모르냐고 묻습니다 애신은 당연히 안다며(사실 모름) 답합니다 그리고 유진과 애신은 양장점에서 마주치는데요 애신이 러브가 무엇이냐고 묻습니다 유진은 혼자서는 못하는 것이라고 답 ...
지금까지 왔던 위험한 태풍 TOP3!
기사
l
20220908
매미처럼 세력이 거의 오랫동안 약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2004년 3월 1일에 이 태풍의 이름이었던 루사를 퇴출시키고 '청색
벼슬
을 가진 잉꼬' 라는 뜻의 '누리(NURI)'로 대체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사망/실종이 246명입니다 매미보다는 사망/실종이 더 많은 무서운 태풍이네요ㄷㄷ 지금까지 무서운 태풍 루사였습니다. 3. ...
공룡을 가장 많이 닮은 새는 누구?! - 화식조
기사
l
20220619
몸길이와 몸무게가 모두 정말 대단하죠? 화식조와 가장 가까운 친척은 에뮤라는 새예요. 뾰족한 부리를 가진 작은 머리와 닭
벼슬
같은 살을 갖고 있고, 파란색의 긴 목, 까만 털로 뒤덮힌 몸과 긴 다리, 뭉뚝한 발가락과 날카로운 발톱을 갖고 있어요. 날개는 퇴화해서 날지는 못해도 날개 끝마디마다 뾰족한 깃이 달려있죠. 정말 특이한 새죠? ㅎ ...
백범김구선생 part.1
기사
l
20220614
황해도에서 실시한 과거 시험에 응시했어요 그런데 과거시험장에서 돈을 주고 합격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어요 매우 실망한 창암은
벼슬
길에 오르기로 했던 마음을 접고, 아버지가 권하는 대로 관상학을 공부하기로 했어요 3.동학의 책임자ㅡ창수 '모 든사람이 평등한 세상을 만든다는 가르침을 들은 창암은 동학에 입도했어요 동학에 입도한 뒤에 이름은 '김창수'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