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교
불교신자
불교도
불법
불도
Buddhism
스페셜
[COOKING의 과학] 가을무는 인삼보다 좋다?!
KISTI
l
2015.11.07
세기의 고전인 에도 ‘저(菹)’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불교
의 전래와 함께 삼국시대부터 재배되기 시작했다고는 하지만 기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그러다가 고려 시대부터 무가 중요한 채소로 취급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 문인인 이규보의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암흑물질 빅 히스토리는 자연물보다 문화적 상징에서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힌두교와
불교
의 상징물 중 하나인 만달라는 중앙의 근원으로부터 주변부의 여러 도상과 지식들이 파생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사진은 티벳의 19세기 작품. - 작품명 '아미타불 만다라' 제공 책의 이야기에서 시간을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미술X과학]만남에서 태어난 우주의 소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탄생했다고 역설했다. 무작위한 만남이 우주를 빚었다. 루크레티우스의 클리나멘은
불교
의 ‘인연’과도 많이 닮았다. 클리나멘은 도종환의 시 ‘인연’도 떠올린다. 너와 내가 떠도는 마음이었을 때풀씨 하나로 만나뿌린 듯 꽃들을 이 들에 피웠다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그래서 총 108개의 필름을 이어 붙여야 했다. 그 과정이 숙련된 연구원들에게도 고되어
불교
에서 행해지는 108배에 비유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108배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스스로 개발했다. “컴퓨터 모니터나 TV를 휴대전화로 찍어본 적이 있다면 어떤 패턴을 본 적 있으실 거예요. ‘모아레’ ... ...
[수학 체험 유랑단] 원데이 컬러링 아트 수업, 원으로 그리는 정다각형 작도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어요. 그런데 오늘 체험할 컬러링 도안은
불교
미술 중 하나인 만다라와 매우 닮았어요. 그래서 안 선생님은 여기에 ‘원 만다라’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만다라’는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어로 원을 뜻하고, 윤회를 상징하지요. 스위스 심리학자 칼 ... ...
[통합과학 교과서] 손오공, 부처의 손바닥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질서를 지키지 않고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한 탓에 툭하면 주변에 피해를 끼치고 다녔죠.
불교
의 창시자 석가모니는 그 모습을 지켜보다 벌을 주기로 결심했습니다. 석가의 거대한 손으로 손오공을 천계에 데려와 가두었죠.“그간 자신이 벌인 일이 있으니, 이젠 반성을 하셔야죠. 손오공 당신 때문에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수도자는 왜 머리를 정수리만 빡빡 밀었을까?
기사
l
20250828
안녕하세요. 최주안 기자입니다! 오늘은 좀 재미있는 소재로 기사를 써볼 건데요. 바로 수도사는 왜 정수리만 깎았을까 입니다.
불교
처럼 아예 밀어버리는 것도 아니고, 머리를 기르는 것도 아니고... 대체 왜 이런 머리를 했을까요? 오늘은 그 이유를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중세 유럽의 가톨릭 수도사들은 머리의 중심 부분, 즉 정수리만 빡빡 ...
친구와 화보....
포스팅
l
20250222
주제가 솔방울이었는데 그나마 제대로 나온거예요 하핳 Tmi지만 예전에 친구랑 그림 합작하다가 문어처럼 생긴
불교
타락천사(...)를 만든적이 있었답니다 ...
미신은 무엇일까? (1) - 세계의 여러 종교들
기사
l
20240613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 인구중 84%가 종교를 믿고 있습니다. 이슬람교가 15억 8000만명으로 가장 많은 사람이 믿고 있습니다.
불교
는 15억명으로 2위, 가톨릭이 12억명으로 3위입니다. 그 외에도 흰두교, 개신교, 정교회 ,부족신앙 등등 굉장히 많은 종교가 있습니다. 종교는 엄격합니다. 그런 종교의 법률을 잘 지키는 사람 또는 종 ...
김치 너는 몇 살 이니?
기사
l
20240525
만들어 먹었다" 라는 기록이 처음 쓰인 김치의 기록입니다. 이런 김치를 일본으로도 보냈다는 다른 기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불교
를 따르던 신라에서는 고기를 먹지 못하자, 김치가 유행하여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었다라는 기록도 존재합니다. 이 시대의 김치는 빨간 김치가 아닌 우리가 아는 동치미에 가깝다고 합니다. 우리가 아는 김치는 조선시대 ...
동아시아 과거의 큰 수
기사
l
20240119
라는 책이 있는데. 그 책에는 큰 수의 끝이 재(10의 44제곱)이며 재는 중국에서 나온 수의 개념중에 제일 크다고 합니다. 그 다음에
불교
에서 큰수의 계념이 들어와 원나라의 주세걸이라는 사람이 산학계몽(算學啓蒙)이라는 책에 극(10의 48제곱)부터 무량대수(10의 68제곱)까지 기록했다고 해요. 그리고 나머지(겁, (10의 72제곱). 천훈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