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신
연락
편지
왕래
매스컴
전보
메시지
뉴스
서울대 전공의들 "의대생 비판 교수 4人, 젊은 의사 악마화 촉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전했다. 의대 학장들의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이날
서신
을 통해 상당수 학생들이 복귀하고 있다고 밝혔다. KAMC는 "21일 마감하는 대학에서 등록과 복학에 유의미한 기류 변화가 있으며 상당수 학생이 복귀하고 있다"며 "복귀생은 철저히 보호할 것이니 안심해도 되며 ... ...
"새만금신공항 건설로 갯벌 위험"...국제학술지 '사이언스'도 조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BAERI)' 연구원을 비롯한 과학자들은 2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서신
을 통해 새만금신공항 건설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공항 건설로 인한 이익이 환경적 손실보다 크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공항 건설 부지인 수라갯벌은 대규모 조류 서식지이자 ... ...
탄핵 투표 앞둔 의협 회장 "경솔한 언행 백번 사죄"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적어왔던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은 삭제했다. 임 회장은 30일 보낸 대회원
서신
에서 "저의 불신임안이 대의원회에 발의돼 회원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 드린 점을 매우 송구하게 생각한다"며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은 제 부덕의 소치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도 엄중한 ... ...
세브란스병원 무기한 휴진 돌입…서울아산병원 등 집단휴진 불씨 여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휴진하는 걸 승인하지 않고 있다. 이강영 세브란스병원장 등은 지난 25일 교수들에게
서신
을 보내 "환자 진료를 중단하지 않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첫날 세브란스병원의 진료 현장에 큰 혼란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병원은 이날 외래 진료가 10% 내외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기후위기와 산림] 남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
2023.02.09
63억 그루를 심겠다고 장담했다. 북한은 2019년에는 김성 UN 주재 북한대사 명의로 된
서신
을 제출하면서 2030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16.4%를 감축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북한은 이를 위해 2024년까지 ‘산림복구전투 추진’, ‘조력·풍력·원자력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 발굴 및 활용’, ... ...
IAEA "원자력, 탄소 중립에 필수적 역할" 보고서, 미국·중국 등 9개국 지지성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슬로베니아, 루마니아 등 유럽연합(EU) 10개국 경제장관들이 공동으로 EU 집행위원회에
서신
을 보내 원자력을 EU의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목록에 추가해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차세대 원전으로 꼽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계획을 발표하는 국가도 늘고 있다. 프랑스는 12일 점진적 탈원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해안 조력발전에 대한 환상
2021.09.29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와
서신
면 궁평리 사이를 연결하는 화성방조제가 건설되면서 들어선 거대 인공호수이다. 구글어스 제공 탄소중립을 밀어붙이고 있는 정부가 물불을 가리지 않고 있다. 이번에는 경기도 화성호와 충남 부남호의 조력발전을 밀어붙일 모양이다. 서해안의 기록적인 ... ...
4차 유행에 서울대 2학기 개강 '비대면'으로…비수도권 KAIST·UNIST도 비대면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결정했다. KAIST 관계자는 “교학부총장이 학내 구성원에게
서신
을 보내 가을학기는 원격수업으로 진행한다고 안내했다”며 “반드시 대면 수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AIST 본원이 위치한 대전은 거리두기 다음달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예, ‘케플러의 법칙’으로 유명한 그 케플러 맞습니다). 케플러는 해리엇과
서신
을 주고받으며 구의 배열을 연구했고, 1611년 논문을 발표하며 ‘3차원 공간에서 무한개의 구를 가장 촘촘하게 쌓는 방법은 면심입방격자 혹은 조밀육방격자’라는 추측을 제기합니다. 이것이 그 유명한 ‘케플러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이뤄진 이지요. 라이프니츠는 뉴턴과 별개로 여러
서신
에 미분학적 연구를 진행했는데 수학자들과 주고받은 초고들이 남아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미분의 짝꿍인 적분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때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정립한 미적분 이야기도 조금 더 ...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오일러(1707~1783),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1646~1716) 등 여러 수학자가 서로
서신
교환을 하는 과정에서 데카르트가 쓴 x, y, z를 사용하면서 우리가 지금까지 이 문자들을 미지수로 사용하게 됐다고 봅니다 ... ...
진실 혹은 거짓, 멘델은 완두콩으로 무슨 일을 했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꽤 유명 인사였으며, 카를 네겔리 같은 저명한 과학자 를 포함한 많은 연구자가 멘델과
서신
을 교환했다. 멘델 본인도 자신의 논문을 다른 연구자들에게 보내면서 자신의 연구를 홍보했다. 그 결과, 1902년이 되기 전까지 최소 20명의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에 멘델을 인용했다. 현대 유전학이라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인공위성은 어떻게 날까?
기사
l
20250402
악동뮤지션의 노래 을 들어보셨나요? 의 가사 중에서 "저게 인공위성일까 별이었으면 좋겠다" 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인공위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인공위성은 어떻게 날까요? 두 가지 상상실험을 해 봅시다. 인공위성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데 갑자기 지구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지구가 사라지면 중력도 ...
별의 밝기가 다른 까닭
기사
l
20250325
도시에서는 빛공해로 인해 별을 보기 힘듭니다. 그런데 목이 아픈 걸 꾹 참고 집중해서 밤하늘을 보면 눈에 띄는 별 몇 개가 보입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찾아보면 스피카, 아크투르스, 시리우스, 베가, 알타이르 등의 이름이 나오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주에 있는 수많은 항성들의 밝기는 어떻게 구별할까요? >>서로 밝기가 다른 밤하늘의 별들(직접 ...
통통이지구사랑대 - 241120 - 1
탐사기록
l
20241120
...
통통이지구사랑대 - 241114 - 1
탐사기록
l
20241114
...
통통이지구사랑대 - 241111 - 5
탐사기록
l
20241111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