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녀회
수녀원
수도원
수녀단
뉴스
[과기원NOW] KAIST, 빛의 화가 김인중 신부 ‘빛의 소명’ 특별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미대 회화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한 뒤 1969년 스위스 프리부르대학으로 떠나 도미니코
수도회
에 입회해 사제가 됐다. 스위스 일간지 ‘르 마땡’에서 세계 10대 스테인드글라스 작가로 선정되며 유럽 화단에서 ‘빛의 화가’라는 칭호를 얻었다 ... ...
스테인드글라스 예술 거장 김인중 신부, KAIST 석학교수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8.30
2024년 7월 31일까지 김 신부를 석학교수로 임명한다고 30일 밝혔다. 프랑스 도미니코
수도회
소속 김 신부는 빛의 화가로 불린다.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한 그는 1975년 예술가의 길을 걷기 시작해 전 세계 200여회 전시와 유럽 50여 개 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를 제작했다. 화려한 색채와 동양의 여백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유명한 건축물 중 하나인 판테온 바로 옆에 있다. 교회는 아직도 교회로 남아 있지만
수도회
방은 지금 의회 도서관으로 쓰고 있어서 아무나 들어갈 수가 없다. 이날 판결의 내용을 요약하면 이렇다. 갈릴레이가 이단으로 의심되며 태양중심설이 성경에 위배된다고 교회가 선언한 이후에도 이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코페르니쿠스가 죽은 직후인 1548년에 태어난 이탈리아의 조르다노 브루노는 도미니코
수도회
의 수도사였다. 브루노는 태양중심설과 무한우주설을 주장했다. 이 우주를 만든 조물주가 무한한 존재이므로 그 피조물인 우주 또한 무한한 것이 당연하다는 게 그의 기본 논리였다. 브루노의 주장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유명한 건축물 중 하나인 판테온 바로 옆에 있다. 교회는 아직도 교회로 남아 있지만
수도회
방은 지금 의회 도서관으로 쓰고 있어서 아무나 들어갈 수가 없다. 이날 판결의 내용을 요약하면 이렇다. 갈릴레이가 이단으로 의심되며 태양중심설이 성경에 위배된다고 교회가 선언한 이후에도 이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코페르니쿠스가 죽은 직후인 1548년에 태어난 이탈리아의 조르다노 브루노는 도미니코
수도회
의 수도사였다. 브루노는 태양중심설과 무한우주설을 주장했다. 이 우주를 만든 조물주가 무한한 존재이므로 그 피조물인 우주 또한 무한한 것이 당연하다는 게 그의 기본 논리였다. 브루노의 주장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그는 종교와 철학에 관심이 많았고,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 공부를 마친 뒤 1611년 미니미
수도회
에 입회했다. 1620년 파리의 로얄 광장 수도원 원장으로 선출돼 평생 이곳에서 살았다. 어쩌면 무료할 수 있는 수도원 생활에서 메르센은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그중 하나는 음악인데, 옥타브를 ... ...
[기획] 유전학의 아버지 멘델 그의 업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1호
그러던 중, 학비와 재정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멘델은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에 들어가 1847년 정식으로 천주교 수도사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멘델은 체코 올로모우츠팔라츠키대학교,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에서 철학과 물리학, 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컴퓨터를 이용해 난수를 만드는 첫 번째 방법이었다. 중앙제곱법은 13세기 프란체스코회
수도회
문서에도 등장했지만, 공식적으로 발표된 건 1949년 폰 노이만에 의해서였다. 중앙제곱법은 ‘시드(seed)’라고 부르는 임의의 수를 제곱한 뒤, 나온 수의 가운데 일부분을 제곱해가며 난수를 만드는 ... ...
중세) 탐문 수사의 암흑기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신학 지식이 뛰어나고, 무엇보다 이단 박멸의 열의에 불타는 조직이었다.도미니크
수도회
출신의 두 신학자 앙리 엥스티토리스와 자크 스프렝거는 오랫동안 각 지역을 돌아다니며 이단자 색출에 힘썼다. 그런데 이단자는 단지 종교적인 문제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전염병으로 가축이나 사람이 죽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