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삼림
산림
숲
덤불
뉴스
[표지로 읽는 과학]
수풀
가득 '열대우림', 지역별로 특성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5.03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수풀
로 가득한 브라질 ‘열대우림 캐노피’의 풍경이 실렸다. 열대우림 캐노피는 열대우림 숲의 윗부분을 의미한다. 열대우림 캐노피는 탄소, 수분, 에너지 등을 교환하고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역이다. 캐노피의 기능적 특성이 ... ...
무더위 속 휴가 막바지…코로나19·말라리아 등 '주의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8.15
안전지역이 아니다. 매년 300~400명의 환자가 발생한다. 밤에서 새벽 시간에 논,
수풀
, 습지 등에서 활동할 때 말라리아가 발생하기 쉽다. 어쩔 수 없이 물웅덩이 등이 있는 곳에서 야간활동을 해야 한다면 긴팔옷과 모기기피제 등을 준비해야 한다. 말라리아 환자는 오한, 발열, 두통, 설사 등의 ... ...
[극한호우, 우리]③ 도쿄 지하엔 '거대신전'…주택침수 10분의1로 줄였다
2024.05.29
아니다. 스타디움에서 나와 10분 여 동안 카트를 타고 공원을 가로질러 근처까지 가서야
수풀
속에 가려진 강을 볼 수 있었다. 4월의 츠루미강은 마치 개울 같았다. 하지만 장마와 태풍이 오는 여름과 가을엔 무섭게 범람한다. 이때 유수지에선 빗물과 강물을 최대 390만 ㎥까지 저장할 수 있다. 공원 ... ...
거대 유인원 멸종한 이유…친척들과 달리 환경 적응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분석 결과 기간토피테쿠스 블래키가 등장했던 230만년 전 중국의 남부에는 울창한 숲과
수풀
이 조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 변동이 크지 않아 먹이와 물을 구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29만5000~21만5000년 전 기후 계절성이 갑자기 커지면서 이 지역 일대의 식물 구성이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인간 행동의 진화] 미의 기준은 각자 다르지만 동시에 같다
2021.05.02
아마도 자연선택과 성선택에 의한 결과다. 그림에 숨겨진 미적 의미를 찾는 것은
수풀
속의 포식자를 찾아내려는 경향, 대칭성을 추구하는 것은 온전하고 감염되지 않은 성적 파트너를 추구하려는 경향, 번식력이 왕성한 여성의 신체 일부를 모방하는 둥글고 붉고 윤기 있는 대상에 대한 선호, ... ...
[르포]기후변화로 멸종위기 맞은 ‘구상나무’, 유전자 관리로 제2 전성기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금원산을 오르고 있다. 복원 시험지로 향하는 등산이 시작됐다. 발길이 드문 산길은
수풀
로 우거져 있었다. 길 곳곳에 돌이 높게 튀어나와 산행을 방해했다. 고지대 답게 바람도 많이 불었다. 소백산맥의 서부에 속하는 산 답게 소백산맥의 줄기가 뻗은 모습이 좌우로 보였다. 약 1시간 등반 끝에 ... ...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지난해 12월 호주 시드니 남서쪽 지역에서 난 산불로 하늘이 붉게 물들어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호주 남동부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산불과 들 ... 나오고 있다. 캥거루 한 마리가 5일 오전(현지시각) 호주 캔버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수풀
앞을 뛰어가고 있다. 캔버라 EPA/연합뉴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가상 인터뷰] 개미가 사자의 사냥을 방해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있지 않으면 재빠르게 도망가 버려. 사바나 지역의 사자는 얼룩말을 사냥하기 위해서
수풀
이나 나무에 몸을 숨겼다가 얼룩말이 다가오면 습격해서 사냥해. 그런데 아카시아 나무가 점점 사라지면서 사자가 몸을 숨기기 어려워졌어. 그 결과, 사자는 얼룩말 대신 발이 느린 버팔로를 사냥하기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나눠 쉬도록 하는 거란다. 왜 이렇게 짧게 자는 거야? 남극은 몸을 숨길만한 나무나
수풀
이 없어. 짧게 자면서 항상 경계하는 거야. 이 방법으로 턱끈펭귄은 무려 하루에 11시간 가량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밝혀졌어. 연구팀은 “턱끈펭귄이 포식자가 많은 곳에서 번식하면서 경계 태세를 갖추는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로봇은 대부분 깊이를 파악하는 뎁스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알아본다. 이 경우,
수풀
이나 눈이 쌓인 곳처럼 눈으로 봤을 때는 장애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냥 스쳐 지나가도 되는 구조들도 모두 장애물로 인식하게 된다.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의 4족보행 로봇에는 이런 뎁스 카메라를 ... ...
왜 필요해? 스쿨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보도의 울타리가 어린이 보행자의 시야를 8% 넘게 방해했어요. 또 길에서 마주치는
수풀
과 주차된 차량, 건물 벽은 어린이 보행자의 시야를 30% 이상 가렸지요. 골목에서 30% 넘게 시야가 가려지면 다가오는 차량을 보지 못해 위험에 처할 수 있지요. 또한, 연구팀은 어린이는 등하굣길에 평균 15.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청계천 어류 탐사 후기
기사
l
20250519
차이점은 피라미는 위에서 봤을 때 가로 줄무늬를 가지고 있고, 참갈겨니는 세로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피라미는 주로
수풀
과 자갈이 있는 환경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생물탐사를 다니면서 하천 정비라는 이름으로 생태 보전보다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훼손된 하천을 종종 봤습니다. 올해 초 멸종위기종인 흰목물떼새 암수 한쌍을 ...
청계천 20주년 기념 어류 탐사
기사
l
20250518
잉어였습니다. 붕어와 잉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수염입니다. 잉어는 수염이 있지만, 붕어는 그렇지 않습니다. 잉어의 서식지는
수풀
근처와 같은 물살이 빠르지 않은 곳입니다. @ 3번째로 잡은 새끼 잉어(단체 관찰 수조). 크기를 보아 아직 새끼인 것으로 추정됨. 어류 채집을 하는 도중, 저는 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을 보고 그 곳으로 ...
우리나라생물탐사 - 240609 - 4
탐사기록
l
20240609
아기새가 장미화단 계단에 웅크리고 있었어요.다친건지 엄마새가 가까이에 있는지 몰라서거리두고 지켜보고 있었는데아기새가 점프해서 총총총 뛰어가 화단
수풀
에 숨었어요. ...
창원 물향기 공원 두꺼비들의 생존을 위한 여정
기사
l
20240505
산책로 주황색 길과 보색관계인 초록색이 되어 덜 밟히도록 진화할 수 있을까요? 두꺼비들이 색 구별이 된다면 산책로 중간중간
수풀
로 조성된 이동통로를 만들어 두꺼비들이 한꺼번에 그 쪽으로 이동하여 횡단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 ...
미션! 세종시 도시숲 생물종을 탐사하고 생태지도를 완성하자.
기사
l
20230907
함께 한 공원, 자연을 그대로 보전하기 위한 만든 공원이 있습니다. 금강수변공원은 금강변을 따라 만들어진 공원입니다. 금강변의
수풀
과 나무숲에서 많은 종류의 새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금강수변공원에서 어떤 새들을 만날 수 있을지 기대가 되었습니다. 연구원님께서 알려주신 방향을 보니 새들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조류 도감과 필드스코프로 새들을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