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방
뉴스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나무들이 있다. 한라산 정상부의 구상나무 숲.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침엽수종은
씨방
이 씨앗을 담고 있는 속씨식물과 다르게 씨앗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 겉씨식물에 속한다. 겉씨식물은 가장 오래된 종자식물로 고생대 후기(4억2천 ~ 3억 7천만 년 전)에 등장해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중생대에 ... ...
백악기 딱정벌레 배설물이 밝혀준 꽃식물과 곤충 밀월 관계
연합뉴스
l
2021.04.13
Cai, Yanzhe Fu and Yitong Su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호박 화석은 꽃식물 중 밑씨가
씨방
안에 들어있는 속씨식물이 지구의 지배적 식물이 되기 전 초기 상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약 2억 년 전 지구는 식물이 무성했지만, 꽃이 피고 열매를 ... ...
호박(琥珀) 속 곤충서 9천900만년 전 꽃가루 매개 확인
연합뉴스
l
2019.11.12
점을 활용해 초점공유 레이저 현미경을 활용해 꽃가루를 분석했다. 종자식물은 밑씨가
씨방
안에 들어있는 속씨식물과 밖으로 드러나 있는 겉씨식물로 나뉘는데, 현화식물(flowering plant)로도 불리는 속씨식물은 약 1억4천만년 전인 중생대 때 출현해 백악기 중기 때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 ...
[이강운의 곤충記] 꽃가루 알레르기를 막는 방법
2019.05.22
크게 2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씨를 보호하는
씨방
이 없어 밑씨가 노출된 겉씨식물과
씨방
으로 씨를 감싸 마르지 않게 하는 속씨식물이 있다. 겉씨식물 꽃은 기본 구조인 꽃잎, 수술이나 암술이 없기 때문에 진정한 꽃이라 할 수 없지만 생식세포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꽃의 범주에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나무들이 있다. 한라산 정상부의 구상나무 숲.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침엽수종은
씨방
이 씨앗을 담고 있는 속씨식물과 다르게 씨앗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 겉씨식물에 속한다. 겉씨식물은 가장 오래된 종자식물로 고생대 후기(4억2천 ~ 3억 7천만 년 전)에 등장해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중생대에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질문하면 답해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석류 등은 헛열매입니다. 딸기는 이중 어디에 속할까요? 딸기는 헛열매의 일종입니다.
씨방
은 자라지 않고, 대신 꽃턱이 발달한 열매예요. 꽃턱은 꽃자루의 끝부분에서 곤봉처럼 볼록하게 나온 부분이지요. 딸기 바깥쪽에 씨앗처럼 보이는 부분이 딸기의 진짜 열매이며, 깨처럼 붙어 있는 열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모낭 / 종자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같은 속씨식물은 씨앗이 바람에 날려 번식되지요. 겉씨식물은 속씨식물과 달리
씨방
이 없어요. 대표 적인 예로 소나무가 있습니다.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데, 수꽃의 생식 세포가 암꽃에 붙으면 수정이 일어나 씨앗이 생겨요. 이 씨앗은 솔방울과 같은 열매에 붙어 있습니다. 솔방울을 자세히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이후 복숭아 꽃의
씨방
이 둥그렇게 커지면서 복숭아 열매가 돼요. 복숭아처럼
씨방
이 자라서 열매가 되는 것을 ‘참열매’라고 하지요. 수박, 감, 귤 등이 모두 참열매예요. 열매가 커지면서 위에 달려 있던 꽃잎과 꽃받침, 수술 등은 시들어 떨어진답니다. 씨앗은 점점 커지고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남극좀새풀 뿐만 아니라 극지방의 다른 현화식물(꽃을 생식기관으로 가지고 밑씨가
씨방
안에 들어 있는 식물)이나 선태식물들도 작물 개량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연구는 농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뭄 피해, 이른 서리로 인한 냉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주디의쑥인절미 - 240421 - 3
탐사기록
l
20240421
제비꽃
씨방
인거 같은데 확실하지는 않아요 ...
딸기 열매의 비밀
기사
l
20220529
씨방
속에 들어 있는 밑씨가 자란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먹는 딸기는 ‘꽃턱(花托)’이 크게 부풀어 즙이 많은 상태가 된 것으로,
씨방
이 발달한 것이 아니기에 가짜 과일, 즉 위과로 분류됩니다,. ‘꽃턱’은 꽃자루의 맨 끝 불룩한 부분으로, 씨를 발육시키는 쿠션 역할을 합니다. 지금까지 딸기는 위과로 분류된다는 것과 딸기의 비밀에 ...
이건 무엇 일까요?
기사
l
20220508
하면 바로 이런 형상이 떠오르실 겁니다 후후. 이건 할미꽃 입니다. 이건 동강 할미꽃 입니다. 일반 할미꽃 이랑은 많이 다르죠? ㅎㅎ 이건 뭘까요? 할미꽃의
씨방
입니다. 신기하죠? 민들레 같이 생긴 이건 할미꽃 씨입니다. 민들레 처럼 날아가고 이렇게 남아요 이 자료가 여러분에게 유익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안녕히계세요 ... ...
자전거 타러 갔다가 민들레를 만났어요!!
기사
l
20220422
한국식물학회 안진흥> 민들레꽃의 작은 꽃 하나하나가 시들고 모인꽃싸개잎 속에서 솜털 같은 갓털이 자라납니다. 갓털 아래에는
씨방
이 씨로 변하는데, 씨와 씨껍질을 합해서 열매 라고 합니다. 하얀 갓털에는 열매가 하나씩 달려서 바람에 날아가 새로운 장소에 민들레를 싹틔웁니다. 꽃이 지고 바람에 의해 씨가 날아간 후의 민들레 ...
호기심대장진진이들 - 220411 - 1
탐사기록
l
20220411
~15cm• 개화기 : 4월 ~ 6월• 결실기 : 5~7월• 열매의 형태 : 삭과(튀는열매)-익으면 과피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
으로 된 열매• 용도 : 식용(봄나물), 밀원자원(꽃)설명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03851&cid=49395&c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