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원 학생
학생
생도
뉴스
"10년 뒤 지속돼야"…대학부설 국가연구소에 10년간 1조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대학의 자율성에 기반을 둔 혁신적
연구생
태계 구축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한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국내 대학의 연구소가 국제사회의 연구 혁신을 이끌고 국내·외 우수한 인재들이 몰려드는 연구 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
과기정통부, 2025년 R&D에 6조 3214억원 투자…21.2%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구축에 300억원을 새롭게 투입한다. 이공계 대학원생의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연구생
활장려금을 도입하고 해외인재 유치와 정착 지원을 통해 국내 인력수급도 지원할 계획이다. 최저지급액과 대학계정 적립‧운용 자금을 지원하며 대학별 운영비를 보조하는 등 올해 600억원의 예산이 ... ...
어른 될 때까지 대변 참는 올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25
올챙이(아래쪽)에게서 발견되는 배변 흔적이 없다. Bun Ito 제공 연구를 이끈 이토 분 특별
연구생
은 "특수한 환경에서 사는 생명체의 고유한 생존 전략을 알 수 있었던 연구 결과"라며 "생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서 웅덩이 같은 작은 서식지도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 ...
[과기원NOW] 포스텍, 새 촉매로 그린 암모니아 생산효율 63% 개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개선한 포스텍 연구진. 왼쪽부터 김원배 교수, 맹준범
연구생
.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산소 원소의 빈 공간 조절과 이종 원소 도핑을 통해 그린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높이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아르곤(Ar) 플라즈마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포스텍, 새 촉매로 그린 암모니아 생산효율 63% 개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개선한 포스텍 연구진. 왼쪽부터 김원배 교수, 맹준범
연구생
.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산소 원소의 빈 공간 조절과 이종 원소 도핑을 통해 그린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높이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아르곤(Ar) 플라즈마 ... ...
"구체성과 철학 부족한 인재정책, 과학 근거한 기후·에너지 정책 아쉽다"
2022.03.09
한다"고 강조했다. 양 교수는 "젊은 인재를 위해 출연연에 석사와 박사 후
연구생
연구생
제도 등을 도입해 훈련을 시키고 박사 과정을 밟게 하는 등 교육을 통해 정원 외 연구 인력을 유지하는 ‘인력 저수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출연연에서 석사
연구생
, 박사 후 연구원을 정원 ... ...
탄소중립·한국형발사체 등 미래 핵심기술 연구에 올해 6조4227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2.01.02
미래기술연구실 지원에 491억원으로, 전년(201억원)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났다. ‘
연구생
태계 및 기반 구축’에서는 기초연구와 사업화·창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기초연구예산을 전년보다 11.8% 늘려 2조원 확보했으며, 우수 연구성과를 시장 수요에 맞도록 고도화·실용화하는 데 20억원의 신규 ... ...
김복철 과기연구회 이사장 "임기 내 목표는 융합의 일상화 기반을 다지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8.31
이사장은 31일 세종 세종국책연구단지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융합
연구생
태계를 임기 중 가장 중요한 목표로 꼽으며 이같이 말했다. 연구회는 과학기술 분야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관리하는 상급 조직이다. 김 이사장은 지난달 26일 연구회 4대 신임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이날 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중요하다. 살아있는 생명인 식물 속에 매우 다양한 수학적 법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연구생
시절 식물공장에서 키운 식물의 데이터를 수집하던 중에 아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샘플 수백 개의 데이터를 분석하니 각 개체의 잎과 뿌리 간 무게의 비율이 특정 숫자로 수렴하고 있었다. 검증을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재완씨는 ‘도박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 걸까?’라고 생각했다.재완씨를 비롯해 KAIST
연구생
들은 인건비가 줄어들기도 했다. 기존에 하던 신형 노심 개발 등 관련 연구가 중단됐다. 신규 원전 개발과 관련된 과제가 중단된 것이다. 재완씨는 “과제 중단은 인건비랑 바로 직결됐어요. 그런 부분에서 ... ...
182일 간의 항해, 2020 남극 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 윤숙영(극지연구소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 선임연구원), 손우주(극지연구소 UST협동
연구생
박사과정생), 김정훈(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 문흥수(극지연구소 극지고환경연구부 기술원), 양은진(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연구부 부장), 이지영(극지연구소 기획부 홍보실 실장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3배 더 달았다. 이 교수는 “지난 겨울에도 에어컨을 계속 돌려 대학원생 9명과 학부
연구생
8명은 실험실에서 외투를 못 벗었다”고 말했다. 1~1000μm 두께로 잘라 리튬이온 확인현재 스마트폰에는 리튬이온배터리가 널리 쓰인다. 리튬이온배터리는 리튬에 코발트나 니켈 등을 혼합해 산화물로 만든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챌린지]한국 균학의 발전을 선도한 김삼순 교수님
기사
l
20230727
사범대학 생물과 교수로 지내다가 일본으로 돌아가 규슈대학 농학부로 들어갑니다. 그곳에서 도미타교수의 생물물리 연구실에서
연구생
으로 활동하셨습니다. 1965년에는 도미타 교수와 함께 논문제출을 하여 한국인 최초로 여성농학박사가 되었습니다. 귀국해서 식품영양과 초대교수로 부임하고 1972년에 한국 균학회를 창립했습니다. 느타리 버섯의 인공재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