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이용하여 우주로 이동하고 지구 주변을 공전하는 것입니다. 인공위성의 궤도는 저궤도, 중궤도, 정지궤도가 있습니다. (출처 : 연합뉴스) 통신역할을 하는 인공위성이 가장 많은 궤도는 정지궤도입니다. 정지궤도 위성의 속도는 약 3km/s로 지구의 자전 속도와 동일하고, 적도 상공에서만 유지되므로 통신역할을 하는 인공위성을 쏘아올리기 적합한 궤도 ...
- 미래를 밝힐 인공태양, KSTAR를 방문하다: 핵융합 에너지의 신비기사 l20250720
- 예가 바로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이터)입니다.ITER는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 건설 중인 세계 최대의 핵융합 장치로, 한국, 미국, 유럽연합,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등 7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이 거대한 프로젝트는 인류 역사상 가장 큰 과학 협력 중 하나로, 실제 전기를 생산하는 핵융합 발전소의 길을 여는 실험 장치라는 점 ...
- [출동!기자단] 한국의 인공태양, KSTAR를 만나고오다!기사 l20250706
- ITER개발에 참여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우리나라 참여도가 몇 %정도 되나요?”“ITER는 국제공동핵융합 에너지 프로젝트입니다. 유럽연합,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인도 그리고 대한민국이 함께 주도하는 공동 프로젝트입니다. 한국은 약 10% 정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만큼 더 많은 한국인 과학자가 필요하고, 참여할 수 있으며, 많 ...
- 우주기자단, 대한민국 우주 산업의 중심, 항우연에 다녀오다!기사 l20250630
- 탑제된 위성을 말합니다. 인공위성 탑제체 중 IR 센서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재난 상황에서 촬영합니다. 인터내셔널 차터는 세계 연합된 우주 기관으로 재난 상황이 생겼을 때 서로 협력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다음으로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김현준 연구원님 강연을 들었습니다. [출처: 직접 촬영, 과학축제에서도 만났었던 이성민 연구원 ...
- 누리호의 어머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626
- 하는지 간단하게 설명을 들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항우연은 항공 우주 분야를 연구하는 곳입니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본격적으로 견학을 시작하기 전, 본원 로비에 있는 모형들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로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로켓 KSR-I(과학로켓 1호)을 비롯해 KSR-II, KSR-III, KSLV-Ⅱ TLV(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