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로 불린 홍대용과학동아 l2023.10.28
- 곱셈과 나눗셈(승제)을 다루고 후반부에는 천문 측량을 포함한 측량 문제와 천문 의기, 음률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개념과 응용 문제를 차례로 소개한 셈이다. 그런데 주해수용은 그동안 다른 수학서에 비해 수학 지식의 수준이 낮으며 서구 수학을 소개하는 데도 실패했다고 평가받아 왔다. ... ...
- 70년전 국악원 창고서 발견된 신성한 악기 옥피리, 소리와 함께 베일을 벗다동아사이언스 l2022.02.11
- 바람을 불어넣는 구멍인 취구, 떨리는 소리를 나게 하는 구멍인 청공, 손가락으로 막아 음률을 만드는 지공과 음정을 조절하는 칠성공을 갖췄다. 국악원 옥저도 취구 1개와 청공 1개, 지공 6개, 칠성공 1개를 가졌다. 하지만 옥저는 국악의 역사에서 매우 미스터리한 악기로 분류된다. 언제, 어떤 ...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4관.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2018.09.21
- 황종관의 길이로 정했다. 이를 기준으로 다시 1촌을 더해 황종척을 만들었다. 세종 시대 음률의 교정을 위해 새로 만들어진 길이의 표준인 황종척은 주척, 포백척, 조례기척, 영조척 등 용도에 따라 달리 사용하던 여러 종류의 척을 교정하는 데 쓰였다. 또 되(升)나 말(斗) 등 부피를 측정하는 기구인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그중 하나는 음악인데, 옥타브를 똑같은 비율로 나누는 음률인 ‘평균율’에 관한 이론서를 집필해 오늘날 ‘음향학의 아버지’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 메르센은 수도원 살롱에 많은 연구자를 초대해 적극적으로 교류했다. 르네 데카르트, 갈릴레오 갈릴레이, ...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곱셈과 나눗셈(승제)을 다루고, 후반부에는 천문 측량을 포함한 측량 문제와 천문 의기, 음률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개념과 응용 문제를 차례로 소개한 셈이다. 그런데 주해수용은 그동안 다른 수학서에 비해 수학 지식의 수준이 낮으며, 서구 수학을 소개하는 데도 실패했다고 평가받아 왔다. 이런 ... ...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황종관의 길이로 정했다. 이를 기준으로 다시 1촌을 더해 황종척을 만들었다.세종 시대 음률의 교정을 위해 새로 만들어진 길이의 표준인 황종척은 주척, 포백척, 조례기척, 영조척 등 용도에 따라 달리 사용하던 여러 종류의 척을 교정하는 데 쓰였다. 또 되(升)나 말(斗) 등 부피를 측정하는 기구인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거슬러 올라가 봅시다. 처음 화음을 울린 건 수학자?음악에서 음의 상대적 높낮이를 음률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최초로 이론적으로 규정한 사람이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입니다. 피타고라스는 세상의 모든 이치를 수로 해석하려고 했습니다. 음악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정수에 매료돼 있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