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출동! 어린이 기자단] 아이돌, 내가 만든 노래를 불러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8호
- 가락을 말해요. 어떤 멤버가 어느 부분을 부를지도 직접 정하나요?그럼요! 멤버마다 음역대★나 목소리가 달라서 각자의 장점을 살리도록 파트를 나눠요. 아이돌 멤버의 특징을 이해한 뒤, 노래 전체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인 ‘킬링 포인트’를 담는 것도 히트곡의 비결이 될 수 있어요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장 대표는 “지금까지 모은 쇠돌고래류 소리들은 장비와 유지관리의 한계 때문에 모든 음역대가 손실없이 수집된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며 “온전한 데이터와 함께, 소리를 낼 때의 상황이 어땠는지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기록 돼야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장 대표는 “현재 AI의 ... ...
- [기획] 왜 기분 좋아질까? 음악과 뇌에 대한 궁금증 4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그리고 사회 내에서 대개 자장가, 춤, 사랑, 치유 등 비슷한 목적을 갖고 있었다. 나아가, 음역대나 템포를 분석하면 어떤 노래가 자장가인지, 춤 노래인지 그 목적도 파악할 수 있었다. 문화권에 관계없이 음악의 기능이 비슷하며, 음조, 화음, 속도, 리듬 등의 특징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형태가 ... ...
- [기획] 원소의 소리, 천사의 합창 같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워커 연구원은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인 가시광선의 주파수가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역대인 가청주파수보다 대략 1조 배만큼 높다는 점을 착안했어요. 이에 가시광선의 주파수를 1조 배 낮추어 가청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켰습니다. 시각 정보인 선 스펙트럼을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음으로 변환한 거죠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