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주
인니
뉴스
유방암 재발하는 이유는 '카니발리즘'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살아남는다는 것을 실험으로 알아냈다고 밝혔다. 세포 세계에서 일종의 '카니발리즘(
인육
을 먹는 관습)'이 일어나는 셈이다.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의 경우 화학요법 치료를 해도 일부 종양이 휴면상태에 빠졌다가 다시 재발하는 것에 주목했다. 유방암 조직에 흔히 암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인 ... ...
“신장 결석 없애려면 롤러코스터 타라?” 황당 연구 10팀 ‘올해의 이그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약간 불편감은 있지만 괜찮다”고 말해 시상식에 참석한 좌중을 웃겼다. 그 외에
인육
을 통해 섭취하는 칼로리가 그 외 다른 고기를 통해 섭취하는 칼로리에 비해 월등히 적음을 ‘굳이’ 증명한 영국 연구팀이 영양학상을, 젊고 배운 사람들일수록 복잡한 제품 사용설명서를 읽지 않는 경향이 ... ...
고인류 식인 풍습 증명할 증거 늘어나
과학동아
l
2017.09.01
수 없이
인육
을 먹었을 가능성도 있고, 경쟁하던 부족과의 싸움에서의 승리를 자축하며
인육
을 먹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doi:10.1371/journal.pone.018212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다른 인간을 먹는 행위는 식생활의 일환이 아닙니다. 어떤 집단도 식생활의 한 방편으로
인육
을 섭취한 예는 없습니다. 의례적 상징 행위이고 문화 관습입니다. 사랑이든 증오든, 어떻게 보면 지극히 인간적인 열정이 의례의 형식으로 표출됐을 뿐입니다. ● 식인은 있어도 식인종은 없다 현재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고인류, 식인 풍습의 이유를 밝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동물에 비해 훨씬 영양가가 떨어졌던 거예요.제임스 콜 연구원은 이메일 인터뷰에서 “
인육
의 칼로리는 말이나 소의 6분의 1도 안 된다”며, “식인 풍습은 문화적 의미로 가득 찬 의식이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화학상] 사람 침은 미술품을 닦는 훌륭한 세제! 손끝에 침을 슥 발라 어딘가 ... ...
[과학뉴스] 고인류 식인 풍습 증명할 증거 늘어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수 없이
인육
을 먹었을 가능성도 있고, 경쟁하던 부족과의 싸움에서의 승리를 자축하며
인육
을 먹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doi:10.1371/journal.pone.018212 ...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먹는 ‘식인’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공포의 소재다. 신화나 야담에
인육
을 먹는 괴물 또는 신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이 그것을 증명한다. 예를 들어 그리스 신화의 ‘크로노스’는 거인족(티탄) 중 하나로 농경의 신인데, 그 자신이 아버지를 몰아내고 왕이 된 과거가 있기때문에 ... ...
원시인은 식인종?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다른 인간을 먹는 행위는 식생활의 일환이 아닙니다. 어떤 집단도 식생활의 한 방편으로
인육
을 섭취한 예는 없습니다. 의례적 상징 행위이고 문화 관습입니다. 사랑이든 증오든, 어떻게 보면 지극히 인간적인 열정이 의례의 형식으로 표출됐을 뿐입니다.식인은 있어도 식인종은 없다1999년 프랑스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어과동 기자분들 구미호 왜이렇게 좋아하세요 ㅠㅋㅋㅋ
포스팅
l
20210712
구미호는 요괴란 말이에요인간의 피를 빨아먹고
인육
을 섭취하는그런 악랄한 여우들인데큼 물론 저도 좋아하긴 하지만여기 구미호파들 왜케마늠... ...
맞추면 큰일나는 싸이코패스 테스트 답2
포스팅
l
20190504
들지 않았다면일반인이니 안심할 것.2.일반인의 답:인간의 고기 맛에 관심이 있었다,다른 먹을것이 없었다 등싸이코패스의 답:언니의
인육
을 먹음으로써 간호에서 해방되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에3.일반인의 답:나뭇가지 부러뜨리기,발로 손을 밟기 등싸이코패스의 답:원수의 손가락을 하나씩 떼어가며두려워하는 원수를 지켜본다.다음 포스팅 주제 추천 댓글 달아주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