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2023.12.17
- 페니실린이 자신이 연구재료로 삼고 있던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뇌막염균, 임질균, 디프테리아균 등을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페니실린의 항균력은 플레밍의 기대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지속시간도 짧았고 유효성분도 순수하게 분리해 내지 못했으므로 플레밍은 연구를 ... ...
- 미국 '선천성 매독' 신생아 급증…10년새 10배 늘어연합뉴스 l2023.11.08
- 17만7천건에 이른다. 다른 성매개감염(STI)도 증가 추세다. 2021년 클라미디아 160만건, 임질 70만건이 보고됐다. 매독 감염 사례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도 늘고 있었지만, 특히 최근 몇 년간 정기적인 예방 진료 감소, 원격 산전 진료 증가, 진료 시간 단축 등으로 상황이 악화했을 수 있다고 NYT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2023.03.14
- 영향력이 컸으므로 매독과 임질이 한 가지 병이라는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매독과 임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1837년에 프랑스의 리코(Philippe Ricord, 1800-1889)가 실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성병에 의해 성기 주위에 발생하는 궤양에 대한 책을 발표한 후에야 알려졌다. ● 헌터 형제에게 경제적, ... ...
- 피임도구 없이 성관계 후 항생제 복용하면 성병 예방에 도움동아사이언스 l2022.07.28
- 독시사이클린을 복용한 참가자들은 복용하지 않은 참가자들에 비해 클라미디아, 매독, 임질에 감염된 경우가 드물다는 것을 발견했다. 클라우스너 교수는 “이것은 시험 연구로서 의미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이달 29일부터 내달 2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리는 국제에이즈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2023.12.17
- 페니실린이 자신이 연구재료로 삼고 있던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뇌막염균, 임질균, 디프테리아균 등을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페니실린의 항균력은 플레밍의 기대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지속시간도 짧았고 유효성분도 순수하게 분리해 내지 못했으므로 플레밍은 연구를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2023.03.14
- 영향력이 컸으므로 매독과 임질이 한 가지 병이라는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매독과 임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1837년에 프랑스의 리코(Philippe Ricord, 1800-1889)가 실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성병에 의해 성기 주위에 발생하는 궤양에 대한 책을 발표한 후에야 알려졌다. ● 헌터 형제에게 경제적,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2022.07.14
- 미생물학을 선택한 게 유일한 내 의지였겠네요. 한국전쟁 중 말라리아, 콜레라, 매독, 임질 등 수많은 전염병을 보며 이왕 의사가 된다면 많은 환자들을 돌볼 수 있는 곳을 가야겠다고 생각했으니까요. 하지만 졸업 후 나라의 덕을 입게 됐고, 이후에는 그 은혜를 갚는 길을 갔습니다. 지금 돌아보니 ...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백질에서 발견한 새로운 교차결합동아사이언스 l2021.05.22
- 추출한 단백질인 ‘트랜스알돌라아제’를 조사하다 발견했다. 이 교차결합은 임질균 내 트랜스알돌라아제의 활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엑스선으로 단백질 구조를 해독하기 전 ‘이황화물’ 교차결합 구조일 거라 추정했지만 실제 결과는 달랐다. ... ...
스페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