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단층 / 유해야생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진흙, 자갈이 물, 바람을 따라 이동하다 한 군 데에 오랫동안 쌓여서 굳으면, 마치 이불을 여러 장 겹쳐서 깔은 듯한 줄무늬 층이 생깁니다. 이를 지층 이라고 해요. 시기마다 종류와 크기가 각각 다른 물 질이 쌓이기 때문에, 한 줄씩 살펴보며 각 지층이 생 겨난 시기를 추측할 수 있죠. 가끔 지층 ... ...
- [가상 인터뷰] 기저귀로 집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물질이 콘크리트를 얼마나 대체할 수 있는지 실험했어. 기저귀 분쇄물과 시멘트, 모래, 자갈을 섞은 혼합물을 만든 뒤,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모래의 40%를 이 혼합물로 채웠지. 그런데 기저귀 분쇄물이 많이 섞일수록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져 집의 내구성이 떨어졌어. 기저귀 분쇄물이 서로 ... ...
- [숫자뉴스] 드디어 찾았다? 피라미드 건축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식물의 흔적이 퇴적물 속에 남아 있는 것을 가리켜요. 퇴적물이란 암석의 파편이나 자갈, 모래 등이 일정한 곳에 쌓인 것을 말하지요.t(톤): 무게의 단위로, 1t은 1000kg과 같아요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좋은 동물원은 매일매일 새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싶은 행동을 야생에서처럼 충분히 하는지 파악한 뒤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죠. 이를테면 자갈과 나뭇가지 같은 자원 말이에요. 동물이 다양한 행동을 하며 즐겁게 지낼수록 동물의 신체와 정신 건강이 모두 좋아지고, 동물의 복지 수준도 높아지는 거랍니다. 동물 행동 풍부화, 어떤 종류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청계천 어류 탐사 후기기사 l20250519
- 종종 봤습니다. 올해 초 멸종위기종인 흰목물떼새 암수 한쌍을 관찰하던 장소가 있는데, 경관을 위해 하천을 넓히는 공사를 하며 자갈과 돌들이 없어졌고, 서식지를 잃은 흰목물떼새가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로 저는 그 하천에서 더 이상 생명력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청계천은 생태환경 보전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관심 끝에 20종의 ...
- 흙흙모래모래자갈자갈(?)포스팅 l20241021
- 저도 이거 왜했는지 모르겠네요 전 이걸 8/23일에 썼고요 뭐 미래의 제가 알아서 올려 줄겁니다^^(과거의 나야 너 참...ㅎ) ...
- 강원도 홍천군에서 진행된 산골 계곡 특별탐사기사 l20240926
- 끝난 후 모여서 채집한 물고기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이번 현장교육이 진행된 곳의 수온은 17도 였으며 바닥은 큰 바위,돌과 자갈로 이루어진 숨을 공간,모래가 깔려있는 곳으로 예측되어지며 총 7종의 물고기가 채집되었습니다. (위에서 부터 참갈겨니, 미유기, 버들치, 밀어, 피라미, 돌고기, 참종개) 7종은 참갈겨니, 버들치, 피라미, 참종개 ...
- 광교산다람쥐 - 240811 - 1탐사기록 l20240811
- 강원도 영월 동강 연하계곡입니다.엄청 더운 날인데계곡은 나무 그늘과 물이 있어서조금은 시원합니다. 나뭇가지처럼 생긴 것 들이돌에 붙어있다. 검색해보니 날도래과 유충 같다. 주변의 자갈 나무등을 붙여 집을 짓는다는데...몸을 자세히 보니 모래, 자갈 등이 붙어있다.신기하다. ...
- 예삐네 - 240517 - 1탐사기록 l20240517
- 살깃자갈거미 수컷인듯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