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머릿속 생각 실시간으로 읽는다…진일보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5
ALS)이나 뇌간 손상으로 중증 마비 상태인 환자 4명의 운동피질에 미세
전극
을 이식하고 이들에게 특정 단어를 실제로 발음하려 하거나 머릿속으로만 떠올리게 했다. 그 결과 두 경우 모두 유사한 뇌 영역이 활성화되고 비슷한 신호 패턴이 나타났지만 머릿속으로만 떠올린 경우는 전체적으로 활성화 ... ...
4000m 심해부터 용암동굴까지…극한 환경 탐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8.14
과정을 반복하면 좌우로 몸을 흔들며 로봇 물고기가 수영한다. 또 주변 바닷물을 일종의
전극
으로 활용해 로봇 내부 절연층에 전하가 쌓이는 것을 막아 내구성도 확보했다. 남중국해에서 진행된 현장 테스트 결과 로봇 물고기는 1360m, 3176m, 4071m 깊이에서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복잡한 경로를 ... ...
[과기원NOW] KAIST, 외부 전력 없이 동작하는 무전력 광센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14
동급 기술 가운데 최고 성능을 자랑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반데르발스
전극
'과 '부분 게이트' 구조를 도입해 반도체에 불순물을 넣어 전기적 특성을 바꾸는 작업인 '도핑' 없이도 2차원 반도체에 전기적으로 PN 접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 ...
꿈의 소재 '맥신'에 양면특성 부여…슈퍼커패시터와 촉매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비대칭 야누스 구조가 확인됐다. 개발된 니켈-맥신 야누스 양자점을 슈퍼커패시터
전극
에 도입하자 기존보다 용량과 출력 밀도가 증가했다. 유기물의 분자 구조를 변환시키는 촉매로 활용하자 반응의 수율과 변환율, 선택도가 높아졌다. 유 교수는 "개발된 니켈-맥신 야누스 양자점은 차세대 에너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의학바이오게시판] 장진우 고려대안암병원 교수, 뇌심부자극수술 100례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난치성 정신질환의 대표적 신경외과적 치료법이다. 각 질환에 해당하는 뇌 심부 회로에
전극
을 삽입하고 전기 자극을 통해 이상 운동 및 정신 증상을 조절하는 고난도 수술로 정확한 진단과 술기가 요구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챙이 뇌에
전극
이식해 뇌 형성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6.28
해롭지 않다는 점도 입증됐다. 특히 아홀로틀에서는 뇌가 손상된 뒤 재생되는 과정을
전극
으로 추적할 수 있었다. 외부에서 전기 자극을 가했을 때 재생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도 관찰됐다. 뇌 발생뿐 아니라 신경 재생 연구에도 이 기술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 ...
[과기원NOW] UNIST, 성능 높이는 '원통형 배터리 설계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전략을 제시했다. 음극과 양극 간의 접촉 면적 비율 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용량비 변화를
전극
의 두께 조정을 통해 보정하는 원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20일 온라인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문제일 뇌과학과 교수가 국제기구 ... ...
[과기원NOW] DGIST, 신경 손상 걱정 없는 '스마트 밀착
전극
'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있는
전극
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커프
전극
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극
이 스스로 구부러져 신경을 감쌀 수 있는 '소프트 구동 기반 커프
전극
(soft-actuated cuff electrode)'을 고안했다. 소프트 구동 기술을 활용해 평평한 2D(2차원) 형태에서 3D(3차원) 구조로 변할 수 있는 것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간편하지만 그만큼 정확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과제다. 두개골을 열어 뇌에 직접
전극
을 연결하는 ‘침습적 방식’은 정확도가 높지만 위험하다. 최소한의 부위만 수술하면서도, 뇌 손상 없이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BCI 장비 개발이 필요하다. 다른 문제는 가격이다. 현재 여러 연구팀에서 쓰는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말했다. 이런 뇌손상은 2차 문제를 일으킨다. 손상된 부위로 면역세포가 몰려들면서,
전극
이 뇌파를 보내는 뉴런에서 멀어져 신호의 질이 떨어진다. 강도가 강한 칩이 뇌손상을 일으키고, 그 결과 칩에 전달되는 뇌파 신호까지 약해지면서 굳이 침습적 방식을 사용해 BCI 장비를 이식한 의미가 ...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동물행동학과 릴리 매가리 박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반려견의 머리에
전극
을 붙여 사람 말을 들었을 때 변하는 뇌파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연구팀은 강아지가 기억하는 지시어인 ‘sit(앉아)’과 ‘sut’처럼 sit과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 없는 말을 동시에 들려주었어요. 또한 ‘bep’처럼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바이오닉 핸드는 치아 임플란트 수술에 주로 사용되는 골 유착 기술과 팔 근육, 신경에
전극
을 이식해 뇌에서 나오는 신경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 의수에 전달하는 기술이 적용돼 손가락도 생각대로 움직일 수 있었어요. 의수를 개발한 스웨덴 샬메르스 공학대학교 막스 오르티스카탈란 박사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수퍼소닉 파워의 비밀, 수학으로 파헤친다!
기사
l
20230127
우리 눈에 보이는 번개는 '방전 현상'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방전 현상이란, 기체와 같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를 사이에 낀 두
전극
사이에 강한 전압을 걸어주면, 그 물체가 절연체이더라도 전압이 너무 강해 전기가 통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방전현상에서 실제로 움직이는 것은 전류를 만들어내는 전자입니다. 번개의 경우에는 구름의 전자가 땅으 ...
UFO, 과연 가능할까?
기사
l
20220210
블로그) 그리고 미국 교수 수부라타 로이 교수는 UFO가 플라스마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왜냐하면 UFO 표면에
전극
이 내장되어 있어 전류가 흐르면 주변 공기를 플라스마로 만들 수 있는데, 그로 인해 UFO가 추진력을 얻어 빠르게 갈 수 있다는 이유로 주장했습니다. (출처: daum 블로그) 이로 인해 UFO는 실제로 있기가 ...
전기분해장치로 수소와 산소를 만들어보자!
기사
l
20210503
수용액을 눈금 8까지 넣는다 5.모은 기체가 빠져나가는걸 방지하기 위해 밸브를 잠근 뒤에 전원을 켠다. 6.전원을 켠 후 탄소
전극
을 보면 기체 수소(왼쪽)산소(오른쪽)이 2:1로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 결과:수소와 산소가 모두 모인 것을 볼 수 있다. 추가로 깔대기를 보면 수소와 산소에 눌려 물의 수위가 더 높아져 있는것을 볼 수 있 ...
[실험 실패 전격 분석] '테이프 지문은 휴대폰 지문에 인식이 될까?'
기사
l
20201008
'사진'을 잘 구별하지 못하므로 속이기가 쉽다고 한다. 2. 정전용량식 지문인식 정전 용량식 지문인식은 평면에
전극
을 심어 두고
전극
별로 지문의 굴곡을 인식하여 대조하는 그러한 센서입니다.(이해 되시는 분들은 끝에있는 설명을 참고해 주세요. 필자도 이 내용만 5번 보았습니다.) 지문 인식 속도가 느입니다. 또 지문과의 거리가 ...
오타
포스팅
l
20190306
그!러!나! 조금 더 확대해보겠습니다. 이렇게 봐도 눈치 빠르신분들밖에 못보셨을까봐 한번 더 확대! 보이시죠!!!!!!!!!!!!!! '미세전지'
전극
도 아니고 미세한 전지라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타 일부러 하신건가요? 우리 학교 쌤 중 한 분? 이런 오타 본적 있는분 손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