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침표
터미네이터
종료프로그램
구두점
뉴스
의사 출신 장관 후보에 소통파 전공의…의정 갈등
종지부
찍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에 마련된 인사청문회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의료계의 두터운 신망을 얻고 있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지명과 소통을 지향하는 전공의 대표 선출로 의정 갈등이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 ...
[주말N수학]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출신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수학동아
l
2023.09.09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군 휴학을 포함해 학부를 7년 반 만에 졸업했어요.” 방황의
종지부
를 찍어준 건 암호학 수업이었습니다.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대부분의 수학과 전공을 들어보던 중 암호학이 본인과 잘 맞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암호학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지만 컴퓨터 공학과 전자 ... ...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은…아마존강 vs 나일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12
길이를 재는 탐험에 나설 계획입니다. 과연 탐험대는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을 찾는 논쟁의
종지부
를 찍을 수 있을까요. 유리사나다 브라질 탐험가팀. Yuri Sanada 제공 Q. 내년에 아마존강의 길이를 측정하러 직접 탐험을 떠나신다고요. "저는 브라질의 탐험가이자 다이빙 강사, 작가, 프로듀서로 ... ...
은하 사이 '떠돌이별' 기원
종지부
..."암흑물질 추적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주장과 우주 생성 초기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부딪혔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논쟁에
종지부
를 찍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우주 생성 초기 은하단에서 떠돌이별이 만들어내는 은하단내광 검출에 성공한 것이다. 지명국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약 700만년 전 인류 두 발로 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대해 약 700만년 전부터 350만년 전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프랑스 연구팀이 이런 논쟁에
종지부
를 찍을 수 있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프란크 가이 프랑스 푸아티에대 고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약 700만년 전 고대 인류 화석의 대퇴부(허벅지)와 척골(팔뚝) 분석을 통해 이족보행을 시작했다는 사실을 ... ...
중생대 하늘의 지배자, 깃털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의 오랜 논란이던 익룡의 깃털 존재 유무가 마침내
종지부
를 찍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리아 맥너마라 아일랜드 코크대 고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브라질 북동부 아라리피 분지에서 찾아낸 익룡의 두개골 화석에서 깃털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 ...
구충제 이버멕틴 코로나19 치료 효과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1
진행된 이버멕틴과 코로나19 관련 연구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큰 것이어서 향후 논란의
종지부
를 찍을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교황가톨릭대, 프레토연방대, 미국 미네소타대 의대, 캐나다 맥마스터대, 호주 모나시대 등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3~8월 브라질에서 코로나19에 감염돼 증상이 ... ...
[프리미엄 리포트]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
과학동아
l
2021.10.02
2001년 알 카에다의 9.11 테러 사건으로 미국이 아프간을 침공하며 벌인 전쟁이 20년 만에
종지부
를 찍었다. 하지만 미군의 철수가 채 끝나기도 전에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하며 나라 전체를 혼란에 빠뜨렸다. 지난 20년 동안 활발히 활동해 온 과학자와 여성에 대한 억압도 시작됐다. 아프간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파인만도 못 푼 스파게티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방정식’을 통해 설명하고 ‘반동 효과’라고 불렀다. 스파게티 미스터리는 이렇게
종지부
를 찍은 줄 알았는데, 수학자가 다시 이 문제를 꺼내 들었다. 2018년 로저 헤이저와 에드가 그리델로, 비샬 파틸은 면을 배배 꼬아서 구부리면 반으로 쪼개지는 경우가 있다는 걸 알아냈다. 꼬임이 첫 번째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동원한 맨해튼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낸 원자폭탄은 일본에 투하되며 제2차 세계대전의
종지부
를 찍었습니다. 미국의 앞서나간 과학기술력을 만방에 보여준 사건이었죠. 20세기, 거대 과학의 부흥과 쇠락 맨해튼 프로젝트 같은 연구 프로그램은 개인이나 재력가 한둘의 힘으로는 진행할 수 없을 ...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5호
길이를 재는 탐험에 나설 계획이야. 과연 탐험대는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을 찾는 논쟁의
종지부
를 찍을 수 있을까? 어과동이 탐험대장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봤어! Q. 내년에 아마존강의 길이를 측정하러 직접 탐험을 떠나신다고요? 저는 브라질의 탐험가이자 다이빙 강사, 작가, 프로듀서로 ... ...
IMO는 인생의 전환점! 수학 영재는 무슨 일을 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군 휴학을 포함해 학부를 7년 반 만에 졸업했어요.” 방황의
종지부
를 찍어준 건 암호학 수업이었어요.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대부분의 수학과 전공을 들어보던 중 암호학이 본인과 잘 맞겠다는 생각을 했지요. 암호학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지만, 컴퓨터 공학과 전자 공학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태양에서 행성까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아 내는 방법(케플러의 제3법칙)도 계산해 냈다네. 갈릴레이에 이어 내가 낡은 천동설에
종지부
를 찍은 거지. 케플러 1571~1630년, 독일의 천문학자 [소제시작]빛과 운동의 법칙을 찾아서[소제끝] 천동설과 지동설 얘기를 듣다 보니, 생각의 틀을 깨는 게 중요한 것 같아. 아무런 의심없이 천동설만 믿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