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날개
뉴스
전지구적 해양 생태계 지키는 고래 배설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대부분 오줌의 형태로 열대 지방에 전달되며 고래 피부나 사체, 태반도 포함된다.
지느러미
고래라는 종은 하루에 약 950리터의 오줌을 배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인간은 하루에 1.8리터 미만의 오줌을 배출한다. 고래가 오줌을 배출하는 장면. 고래의 배설물이 바닷속 영양분을 수천 킬로미터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체 시퀀싱으로 정리한 연체동물 계통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02
실렸다. 태평양과 인도양의 따뜻한 바다에 사는 큰
지느러미
산호초 오징어는 타원형의
지느러미
가 특징인 연체동물이다. 독일 젠켄베르크 연구소 및 자연사 박물관, 미국 클렘슨대 등 공동연구진은 ‘유전체 시퀀싱 기술’을 이용해 연체동물의 복잡한 계통도를 일부 정리한 결과를 ... ...
[동물do감] 인상착의로 사람 구분하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도미의 이름까지 지어줬다. 그는 "등에 반짝이는 은빛 비늘이 2개 있는 버니와 꼬리
지느러미
가 튀어나온 알피가 있었다"고 말했다. 실험에 자원한 도미 제럴딘, 카시, 알피가 솔러 연구원을 따라가고 있다. Tomasek, Soller & Jordan.(2025) Biology Letters 제공 두번째 테스트 첫날에는 토마섹 연구원이 ... ...
[헷갈린과학] 걷거나 물을 튕겨내거나…물개 VS 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1.11
꼬리 근처는 짙은 회색을 띱니다. 물범은 물개와 달리 앞
지느러미
와 뒷
지느러미
가 짧아
지느러미
로 몸을 지지하거나 걸어 다닐 수 없어요. 대신 바닥에 배를 튕기면서 앞으로 나아가요. 바다에서는 헤엄을 쳐 명태와 청어 등을 잡아먹습니다. 물범 역시 물개처럼 환경오염과 먹이 부족 때문에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귀상어가 추운 바다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이 실시됐다. 미국 하와이 근처에 서식하는 귀상어 6마리의 등
지느러미
근처에 센서를 부착해 상어들의 움직임과 신체활동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귀상어는 바다 깊은 곳으로 하강한 직후 약간의 체온을 잃지만 더 깊이 잠수할 때 수면과 같은 온도로 빠르게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또는 전체가 딱딱한 경골어류, 그리고 상어가 등장했다. 뭍으로 나온 어류도 있었다.
지느러미
처럼 생긴 다리를 지닌 ‘틱타알릭 로제아이’가 대표적이다. 물론 이들은 곧 사라졌다. 데본기 후기 멸종은 3억 7200만 년 전 켈바제르 멸종을 시작으로 3억 6000만 년 전의 한젠베르크 멸종까지 수 차례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9300만년 전 백악기 바다엔 날개 달린 상어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1
가져 해부학적으로 상어와 가오리를 섞어놓은 모습을 띠고 있다. 독수리상어는 꼬리
지느러미
로 앞으로 나아가는 힘을 얻고 가오리처럼 수중을 휘저으며 움직이나 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으로 추정됐다. 입은 크나 이빨은 흔적만 남아있어 물을 마신 다음 플랑크톤을 걸러 먹는 여과 섭식을 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심해 자유롭게 누비는 로봇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6
작동하는 데 성공했다. 유실 위험이 있어 잠수정에서 떼어놓을 수는 없었지만 45분 동안
지느러미
를 움직이는 것을 확인하면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부드러운 재질로 만든 로봇 물고기는 다른 동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수영할 수 있어 가까이에 다가가 연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존 수중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뉴스]작고 빠른 소금쟁이 로봇 비결은 형상기억합금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냉각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연구팀은 형상기억합금 액추에이터를 사용해 로봇의 발이나
지느러미
를 1초에 최대 40회까지 움직이게 만들었다. 또한 자기 무게의 155배에 달하는 무게를 들어올릴 힘도 낼 수 있었다. 로봇에 쓰이는 일반적인 모터와 달리 로터 등의 복잡한 회전 부품을 쓸 필요가 없으며,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더 큰 양력을 만들어 손실을 보충하니까요. 또한 혹등고래
지느러미
의 물결 형태는
지느러미
주변에 여러 가닥의 소용돌이를 만듭니다. 이 소용돌이가
지느러미
주변의 물 흐름을 지속적으로 섞어주면서 물이
지느러미
끝까지 잘 붙어서 흐르도록 도와줍니다. 즉 전체적으로 혹등고래의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사실 왕자님이 공주님을 만나기 위해 바다로 가겠다고 저를 찾아와서, 바이오닉 꼬리
지느러미
시술을 해드렸어요. 그걸 말씀드리려고 공주님을 계속 불렀는데…” ●시냅스: 신경세포끼리, 또는 신경세포와 다른 세포 사이의 접합 부위. 화학적, 전기적 전달 물질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볼 수 있는 물고기지. 수염이 있어 생김새는 메기와 비슷하지만 메기보다 몸이 가늘고 등
지느러미
가 작다는 게 특징이야. 또, 메기와 달리 미유기는 강의 상류에 많이 살지. 미유기는 보통 4~5월에 알을 낳는다고 알려졌어. 5월 22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외 공동 연구팀은 수온에 따른 알의 부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황제펭귄, 영하 80℃를 어떻게 버틸까?
기사
l
20250226
그래서 별명이 '남극의 신사'입니다. 사진 - MBC 다큐 '남극의 눈물' 황제펭귄은 수영을 정말 잘 하는 새입니다. 물론 날지는 못해도
지느러미
처럼 진화한 날개 덕에 수영을 정말 잘 합니다. 잠수 실력도 인간은 장비 없이는 도달하기 힘든 500m에서 600m까지입니다. 황제펭귄들은 유독 모티프로 한 캐릭터가 많기도 한 새입니다. 뽀로로도 아 ...
우리나라 토종 돌고래, 상괭이
기사
l
20250220
-상괭이 (출처_나무위키) 상괭이는 어떤 동물일까요? 우리가 흔히 아는 돌고래와 달리 상괭이는 주둥이가 짧고 앞머리가 둥글며 등
지느러미
가 없어요. 그래서 얼굴이 둥글고 귀엽게 생겼어요. 항상 미소를 짓는 것처럼 보여서 사람들이 상괭이를 '웃는 돌고래'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어디에서 살까요? 상괭이는 주로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에서 살 ...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관을 소개합니다
기사
l
20250217
해마로, 호주에 서식하며, 해마중 최고로 큰 해마입니다. 그리고 나서는 쑤기미를 볼 수 있는데 쑤기미는 생김새가 특이했습니다. 등
지느러미
에는 강한 독이있는 가시가 있습니다. 쑤기미은 연안에 서식하면 흑갈색, 깊은 곳에 서식하는 쑤기미는 노란색과 빨간색을 뜁니다. 아마도 이 쑤기미는 깊은 곳에서 서식했나 봅니다. 양식과 배 모형도 있었는데요. 물 ...
지사탐 산골계곡 민물고기 탐사
기사
l
20241124
관찰해보라며 이렇게 두 종을 하나의 관찰수조에 넣어 주셨어요.참갈겨니는 눈이 크고 피라미는 눈 윗부분에 빨간점이 찍혀있어요. 등
지느러미
가 참갈겨니가 좀 더 크고 화려했어요. 피라미 수컷은 산란기가 되면 화려한 색깔로 변한다며 사진도 보여주셨는데 정말 화려했어요.밀어망둥어랑 비슷하게 생겼는데 진짜로 민물 망둥어종이라고 해 ...
행복한탐사대 - 240922 - 4
탐사기록
l
20240922
참종개(암컷)우리나라에서만 사는 민물고기가슴
지느러미
로 암수 구별이 쉽다산란할 때 암컷 을 감싸느라 수컷 가슴
지느러미
가 더욱 길고 돌기부분을 보면 쉽게 알아볼수 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