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풀밭
목초지
스텝
황야
잔디
잔디밭
목포지
뉴스
스파링하는 사이가산양…2025 BMC 이미지 경진대회 수상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8.15
마리의 수컷 사이가산양(학명 Saiga tatarica)이 탁 트인
초원
에서 겨루고 있다. 중앙아시아
초원
에 서식하는 사이가산양은 먼지를 걸러내고 찬 공기를 데우는 커다란 관 모양의 코가 특징이다. 사이가산양을 촬영한 안드레이 길요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대 연구원은 "사이가 산양을 촬영하기 위해 ... ...
"감자의 조상은 900만 년 전 토마토"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번식할 수 있었다. 덩이줄기의 눈에서 싹을 틔워 새로운 식물이 자라는 방식은 온화한
초원
부터 추운 고산 지대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감자가 빠르게 퍼져나가는 원동력이 됐다. 연구팀은 "감자의 기원을 둘러싼 오랜 수수께끼가 마침내 풀렸다"며 "종 간의 자연 교배가 새로운 형질과 종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6
직접적으로 키웠다는 고고유전학적 증거로 해석된다. 이후 수천 년 동안 유라시아
초원
지대에서 시작된 유목민의 이동은 병원체 확산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됐다. 연구진은 유라시아 내 인구 이동 경로와 병원체 확산 경로가 서로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인류의 이주가 단순한 문화 ... ...
매머드가 돌아온다면?…절멸종 복원 그 다음을 묻다
과학동아
l
2025.06.21
놓고 있다. 이곳이 녹지 않고 단단히 얼어 있으면서 온실가스를 붙잡아두는 식이다.
초원
이 생기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 또한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맥락에서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 또한 홈페이지를 통해 "매머드를 복원하고 나면 시베리아에 방사할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6
직접적으로 키웠다는 고고유전학적 증거로 해석된다. 이후 수천 년 동안 유라시아
초원
지대에서 시작된 유목민의 이동은 병원체 확산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됐다. 연구진은 유라시아 내 인구 이동 경로와 병원체 확산 경로가 서로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인류의 이주가 단순한 문화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미 야생말이 사라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5.18
북극의 베링 육교가 물에 잠겼고 대륙 간 연결 통로가 끊겼다. 동시에 북미의 넓은
초원
은 습지와 이탄지로 바뀌며 먹이 접근성이 나빠졌고 말의 이동성은 떨어졌다. 이런 환경 변화가 북미 말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무스나 엘크 같은 동물은 살아남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중성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게 해 살아남게 하는 알로스타시스로 볼 수 있다.
초원
들쥐 연구로 옥시토신을 사랑의 호르몬으로 불리게 했던 미국 에머리대의 신경과학자 래리 영이 지난 3월 21일 56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네이처 제공 며칠 전 뉴욕타임즈에 옥시토신 권위자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무덤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조형물 '쿠르간'이 보인다. 배경에 펼쳐져 있는 넓은
초원
에는 당시 유목민의 생활상과 밀접하게 관련됐던 말 등의 가축도 찾아볼 수 있다. 과학자들이 고대 유라시아인들의 유전자 데이터를 조사해 현대 유럽인에게서 나타나는 질병의 기원을 찾아냈다. 질병을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쓰나미 대피 요령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수 : 85.5만 명)검은 털이 복슬복슬한 이 개 이름은 방카르입니다. 방카르는 몽골의 드넓은
초원
을 달리며 가축을 보호하고 맹수로부터 몽골인을 지켜주기도 해요. 방카르는 ‘귀신 쫓는 개’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어요. 방카르에 대해 속속들이 파헤쳐 봤습니다 ... ...
[숫자로 보는 뉴스] 기온 따라 변신?! 날개 무늬 바꾸는 나비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눈에 띄지 않으려면 주변 식물들과 비슷하게 무늬 없는 갈색 날개가 더 좋지요. 단, 수컷
초원
갈색나비들은 점이 많아야 암컷에게 잘 선택받을 수 있어서, 기온이 높은 곳에서도 날개 무늬를 바꾸지 않았어요. 용어 설명℃★ 우리나라에서 기온을나타낼 때 주로 사용하는 ‘섭씨온도’의 ...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계획이죠. 연구팀은 “매머드를 복원함으로써 시베리아 툰드라를
초원
으로 되돌리고, 이
초원
이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떴다. 살짝 눈만 감은 채 쉬려 했는데 어렴풋이 꿈을 꾸었다. 꿈에서 선은 드넓게 펼쳐진
초원
길을 친구와 함께 걷고 있었다. 태양에서 쏟아진 햇빛 줄기가 식물의 거대한 푸른 잎 위에서 반짝이며 부서졌고, 다섯 갈래 꽃잎 사이로 호박벌이 머리를 집어넣고 엉덩이를 씰룩대는 모습도 봤다. 아마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어과동 500호] 공룡,다시 출현하다
기사
l
20250716
살았던 공룡이 약 65만년 후에 다시 나타나다니 신기할 따름이다. 화석을 하나 더 찾았다. 바로 스피노사우르스의 화석이었다. (
초원
을 뛰어다니는 스피노사우루스) 출저: 챗 GPT 아직까지는 육식 공룡의 화석밖에 발견하지 못했지만 조만간 더 발견할 예정이다. 옜날에는 DNA를 복원할 기술도 없었지만 이제는 시간만 있으면 공룡을 복원할 수 있 ...
초원
에서 아무도 안먹는 하이에나 고기. 유일하게 먹는 동물이 있다고?
기사
l
20250220
사진출처 : https://namu.wiki/w/%ED%95%98%EC%9D%B4%EC%97%90%EB%82%98) 안녕하세요. 이예나 기자입니다. 야생
초원
에서 하이에나 고기는 맛없기로 유명해 거의 아무도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하이에나 고기를 유일하게 먹는 동물이 있는데요. 바로 하이에나 입니다. 같은 동족을 잡아먹는다고 ...
저빌탐사대 - 250202 - 4
탐사기록
l
20250202
초원
수리로 추정 ...
쿠시로 두루미 원정대 후기
기사
l
20241125
주기적으로 흙을 채취하여 분석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습지 생물에 관련된 설명을 들으며 안쪽으로 가니 나무가 사라지고
초원
같은 곳이 나타났는데 그곳에서 사슴 가족들과 마주쳤습니다. 수사슴의 커다란 뿔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점심식사 후 이동 중 솔개무리를 발견했습니다. 국내에서 보기 힘든 진귀한 풍경이라 ...
남매탐사대 - 240519 - 2
탐사기록
l
20240519
남색
초원
하늘소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