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곤충
대충
chung
뉴스
리튬이온보다 저장용량 5배 리튬황배터리 약점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일반
충
전 속도로 1000회
충
·방전을 반복해도 초기 용량의 93% 이상을 유지했다. 200회 고속
충
방전 후에도 처음 용량의 약 83%를 유지했다. 김 교수는 "리튬황배터리 상용화를 가로막던 난제를 전자적 접착력으로 풀어낸 연구"라며 "저비용·고용량 배터리 생산에 한 걸음 더 다가서 탄소중립 시대의 ... ...
소재 간격 '밀당'으로 화재위험 적은 전고체 배터리 수명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유지했다. 500회 반복 테스트에서도 70% 이상의 용량을 유지했다.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충
방전 과정에서 배터리 내부에 일어나는 구조 변화도 정밀하게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차세대 배터리에서 고용량 소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며 "전기차는 물론 대용량 ... ...
[사이언스영상] 짜서 쓰는 배터리
SEIZE
l
2025.05.17
음극으로 전기전도성이 있는 플라스틱을 양극으로 사용했다. 이 배터리는 500회 이상
충
·방전해도 성능을 유지했고 길이를 두 배로 늘려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이 배터리는 3D 프린터에 넣으면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덕분에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섬유, 소프트 로봇, 이식형 ... ...
전극·전해질 밀착시켜 실리콘 배터리 상용화 앞당겨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떨어지지 않고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 배터리는 몇 번의
충
·방전만으로 성능이 급격히 떨어졌지만 IEE 시스템을 적용한 배터리는 오랜 기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IEE 시스템으로 만든 배터리는 무게 1kg당 403.7Wh(와트시), 부피 1L당 1300Wh의 에너지 밀도를 기록했다. 기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래 기술 거부하는 'GMO 완전 표시제'
2025.02.26
수입했다. 앞으로는 기후 위기와 국제 정세에 따라서 non-GMO 곡물 원료의
충
분한 확보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확실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뜻이다. GMO 기술 개발의 사정은 절박하다. 우리는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법'에 따라 GMO의 개발과 재배·생산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 ...
[과기원NOW] DGIST, 고용량·고안전성 양극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밝혀냈다. 기존의 복잡한 도핑이나 표면 처리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초기 활성화
충
전 전압을 높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양극재의 구조적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온라인판에 지난달 21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오룡아트홀의 올해 첫 ... ...
[과기원NOW] KAIST, 나노섬유 보호막으로 리튬금속전지 수명 750% 연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왼쪽부터 KAIST 이지영 연구원, 송현섭 연구원(우측 상단), 김일두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친환경 공법으로 제조한 중공 나노섬유를 리 ... 전망이다. 발전재단 초대 이사장은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 기업인 에스엘 주식회사의 이
충
곤 회장이 맡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기에 직면한 곤
충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당시 연구팀은 "기후변화는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곤
충
에게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네이처에 실린 또 다른 논문은 3월 발표된 것으로 기후 변화로 인한 온난화가 미국 꿀벌의 다양성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내용이었다. 미국 뉴멕시코대, 워싱턴주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만화뉴스] 매미
충
의 분비물, 투명 망토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보이지 않게 되는 거야. 그렇다면 매미
충
은 왜 브로코솜을 바르는 걸까?연구팀은 매미
충
이 브로코솜을 몸에 발라 몸을 투명하게 만들고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기려 한다고 추측했어. 연구팀은 “브로코솜의 특성을 활용해 태양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피부를 노화시키는 ... ...
[가상인터뷰] 4억6000만년전 삼엽
충
은 뭐 먹고 살았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화석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밖에 없었겠죠. 내장까지 보존된 삼엽
충
은 제가 최초라죠? 제 몸속을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저는 주로 각종 갑각류들을 먹었어요. 해삼, 멍게 같은 극피동물부터 대합, 홍합 같은 쌍각류 종류들까지 편식 없이 먹었죠. 연구팀은 제가 통째로 삼킬 수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존 배터리는 화학 반응으로 에너지를 저장해서 500~1000회 정도
충
·방전을 거치면 축전량이 초기의 80% 이하로 저하됩니다. 짧은 수명을 마친 폐배터리들은 결국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죠. 또한 출력이 높고 수명이 긴 슈퍼커패시터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 ...
[헷갈린과학] 바닷속이 알록달록! 해면 vs 산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유기물이나 새우 같은 작은 생물을 사냥한 뒤, 위장에 넣어 소화시켜요. 일부 종들은 갈
충
조류라 불리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공생을 하며 영양분을 얻기도 하지요. 산호의 생식 방식은 두 가지예요. 첫 번째 방법은 산호의 폴립들이 방출한 알과 정자가 만나 수정되는 유성생식입니다. 산호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주기자단, 대한민국 우주 산업의 중심, 항우연에 다녀오다!
기사
l
20250630
사진 촬영을 아예 금지하고 있습니다. 위성우주탐사시험센터는 인공위성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곳입니다. 위성 우주 탐사 시험센터 1
충
에는 인공위성 여러개가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다목적 실용위성 2호는 800kg이고 수명은 3년입니다. 2006년 7월 28일 발사한 다목적 실용위성 2호는 광학 카메라를 탑제체로 이용해 해상도가 1m로 굉장히 좋은 ...
그림그리는과정
포스팅
l
20250530
뼈대? 선 밑색대
충
명암이것저것 정리해서 완성 그렇습니다.. 그냥 이런 거 올려보고싶엇어요 ...
오늘 인성수련 가용
포스팅
l
20250519
짜잔 즐겁답니다~~ 근데 제목에 쓸 내용을 다 적어버려서 여기에 쓸 게 없군요 음 여러분들은 오늘 인성수련은 안 가시지만(?) 그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충
성! ...
이메레스? 만들어봤어요(이게 맞나)
포스팅
l
20250323
초초초대
충
해봤어요 그와중에 트리플 레셐ㅋㅋㅋㅋㅋㅋㅋㅋ(화풀이용 캐릭터 무나를 처음공개..) 쓰신다면 출처? 안써도 되요 어디 공유 되고요 막쓰세요(이런거는 도용당해도 상관이 없써요..) ...
저희집 로청은 멍
충
합니다
포스팅
l
20250322
집으로 돌아가기 버튼을 눌러도 집을 못찾고 맨날 어디 아상한데 끼여서 방전되어있고 계속 현관으로 가서 턱에 걸려있습니다 진짜 멍
충
해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