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college
뉴스
첫 돌 이후부터 기억 쌓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한 선행 연구와 배치된다는 점에서 오류가 있다고 보았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연구팀이 2023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해당하는 쥐의 해마에 기억 흔적인 ‘엔그램’이 형성된다는 점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 ... ...
12·3 계엄 그후 '명령에 따랐을 뿐?'…책임감·죄책감이 사라질 때
과학동아
l
2025.03.22
명령에 복종하는 순간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7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연구팀은 같은 상황에서 혼자일 때, 함께일 때 주체성을 발휘하는 수준이 다르다는 사실을 밝혔다. 피드백 관련 부정성(FRN)을 분석하는 구간(250~330ms)에서 혼자(실선) 행동할 때보다 함께(점선) 행동할 ... ...
사람들 앞 발표, 연설 긴장되면 VR로 '셀프 치료' 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케임브리지대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랫폼을 일주일간 사용하도록 한 뒤 사용 피드백을 받는 임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참가자 100%가 설문을 통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전달했다. 매일 30분간 연설 세션을 수행한 ... ...
몸집 클수록 암 발생률 높다…'페토의 역설'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크리스 벤디티 영국 레딩대 생태학과 교수팀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등과 공동 연구를 통해 코끼리나 기린 같은 대형 동물이 쥐나 박쥐 같은 소형 동물보다 암 발생률이 일관적으로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24일(현지시간)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부여했다)를 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과학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해 오클랜드주 밀스
칼리지
에서 과학세미나를 주관하는 일을 맡았고 그 뒤 연구 공간을 얻어 2024년 마침내 연구비를 타내는 데 성공했다. 울프사이먼의 연구 주제는 지구 자기장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미생물을 찾는 것이다(모터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펑크 스타일' 머리 가진 연체동물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8
이들의 몸 주변에 삐죽삐죽한 가시가 셀 수 없이 돋아 있다. 마크 서턴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연구원, 데이비드 시베터 영국 레스터대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 경계에 있는 화석 유적지에서 4억3000만년 된 연체동물 2종의 화석을 발견하고 분석한 결과를 8일 네이처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밝혀내 쥐에 관한 이해를 크게 향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펠리시아 키싱 미국 바드
칼리지
교수와 리차드 S. 오스트펠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사이언스에 설치류의 12%만 병원균을 인간에게 전파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설치류는 전 세계 인간의 서식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
[과기원NOW] KAIST,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의 첨단바이오 분야 적용 전략 소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이 대회는 지난 21~2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중국 북경대, 북경 AGI연구소 및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등 6개국 13개 기관이 참가해 경쟁했다.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이광현 석사과정, 강미나 석사과정 등 총 11명의 팀으로 참가한 KAIST 응용인공지능 연구실(AAILab)팀은 상식 기반 추론을 통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가장 주요한 발광식물 개발 방식 중 하나로 꼽힙니다. 2020년 드디어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대 연구팀과 러시아의 생명공학 기업 플란타가 함께 발광 효율과 경제성 등 문제를 해결한 발광식물을 개발하게 됩니다. 이들은 베트남에 서식하는 발광 독버섯인 네오노토파누스 남비(Neonothopanus nambi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한 경우 지금 당장 이혼하는 게 더 낫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편 2014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연구팀은 사람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행복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행복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들은 26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여러 상황을 주고, 선택에 따라 돈을 벌거나 잃을 수 있는 의사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세돌 대국 이후 딥러닝이란 AI 기술이 널리 세상에 알려질 무렵,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셰필드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의 공동 연구팀도 새로운 재판 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때 ‘AI 판사’라는 단어도 언론에 공식적으로 등장했다. 이 재판 예측 시스템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연구를 보조하는 조교로 대했다. 독립 연구자이자 동료로서 대우받지 못하는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의 상황은 프랭클린을 함께 일하기 어려운 성격의 사람으로 비춰지게 만들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주에서 식물을 키우면 좋은점은?
포스팅
l
20240516
우주에서 식물을 키우면 좋은점?1.지구와 비슷한 초록색을 보기 때문에 안정감 Up!2.우주에서 식물을 먹어 영양을 보충할수 있다.3.바로 상추등을 떠먹을수있다.참고:내일은 발명왕 39권 ...
아이작 뉴턴
기사
l
20221015
뉴턴은 혼자 생각하는 시간을 즐기고 호기심을 키우며 관찰도 하면서 시간을 보냈어요. 뉴턴은 1661년 케임브리지대의 트리니티
칼리지
에 입학해 데카르트와 케플러, 갈릴레이에 대해 탐구했어요. 그러던 1005년, 런던에 흑사병이 급속도로 피졌지요. 흑사병은 페스트균이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으로, 1664년~1665년 당시 런던 인구의 20퍼센트가 목 ...
세상에 이런 동물이 있다고?!신기한 바다생물 TOP5에 대한 것!!!
기사
l
20220327
끝나는 게 아쉽지 않도록 신기한 사진들 찾아서 올립니다. 사진 출처:soundcloud.com 바다양 쌍둥이!!(아닐 수도..) 사진 출처:스쿠버
칼리지
검은색 피카츄누디브랜치!! 사진 출처:jamstacel 예술적 다모류!! 사진 출처:어두욱미 푸르고 푸른 악마불가사리!! 사진 출처:강우리 블로그 클리오네 떼!! 오늘 어땠나요?재밌으셨나요?그럼 ...
영화
기사
l
20210905
라마누잔(Srinivasa Ramanujan). 경력 사항은 1918년 영국의 왕립학회 회원이 됐고, 4년 전인 1914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
연구원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영화에서는 학회 회원이 되었을 때 폐결핵 투병 중이었다고 합니다. 그가 쓴 책으로는 《Collected Papers of Srinivasa Ramanuja ...
우리가 쓰는 아이패드, 로고에 비밀이?
기사
l
20201218
않아도 고난도의 수학 문제와 그 어려운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아주 쉽게 이해했다고 합니다. 튜링은 18살 때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로 진학해 수학을 공부하고, 컴퓨터의 기본 구상이 되는 논문을 발표했고, 튜링기계라는 가상 연산기계를 만들게 됩니다. ‘즉 읽기, 쓰기, 제어센터 만 있으면 모든 계산문제를 풀 수 있다.’ 라는 튜링의 핵심개념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