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선
와이어로프
cable
선
피복
밧줄
철삭
뉴스
[사이언스영상] 꿈틀꿈틀 벌레로봇
SEIZE
l
2025.02.22
빼면 수축된다. 이 힘을 이용해 지렁이처럼 움직이는 것이다. 줄을 타는 로봇은 전선 등
케이블
을 이용해 잔해 속을 탐색하는 재난 로봇으로 쓸 수 있다. 교수팀이 만든 또 다른 로봇은 '자가 재구성 로봇'이다. 이 로봇은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 로봇 4개를 연결해 만들었다. 덕분에 특정한 순간에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과학기술 학술단체와 선도형 R&D 활성화 논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기정통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 등록된 학술단체 중 종합분야에 속한 ... 미·중 전략경쟁 심화와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전환이 데이터의 전략적 가치와 해저
케이블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 ...
中, 세계 최대 중성미자 검출기 8월 첫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1.27
2만4000개 이상의 센서를 달아 7.5㎦ 범위에 들어오는 중성미자를 감지한다는 계획이다.
케이블
수로 비교하면 115개인 KM3Net, 120개인 IceCube-Gen2보다 훨씬 큰 규모다 ... ...
NASA, "화성 암석 회수 빨라야 2035년…결정은 트럼프 정부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퍼시비어런스를 화성에 내렸던 '스카이 크레인' 재활용이다. 공중에 떠 있는 로켓에서
케이블
로 물체를 천천히 올리거나 내리는 방식이다. 크레인의 크기만 20% 가량 키워 재사용한다는 계획이다. NASA는 스카이 크레인 대신 민간 기업의 착륙선을 구매하는 두 번째 방안도 함께 냈지만 구체적인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인간의 뇌, 하룻밤 수면 중 100번 넘게 잠시 깬다
연합뉴스
l
2022.07.21
유리로 만든 미세 광섬유와 인공 '광 수용체'를 생쥐의 뇌에 삽입한 뒤 LED 광원 등의
케이블
에 광섬유를 연결했다. 그런 다음 생쥐가 잠들었을 때 노르아드레날린 수위와 뇌의 전기적 활성도를 비교했다. 수면이 기억력 강화에 좋다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그런 효과를 내는 신경 ... ...
누리호 발사 연기 원인 규명 착수...23일까지 발사 어려울 수도
2022.06.16
산화제 탱크 센서 계통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뉜다. 센서 자체와 신호·전력을 연결하는
케이블
계통(하네스), 신호 처리를 위한 터미널 박스다. 이 중 1단 엔진과 2단 엔진 사이 점검창을 개방해 하네스와 터미널 박스에 문제가 있었는지 먼저 점검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당초 15일 2차 발사 ... ...
[일문일답] 누리호 2차 발사 잠정 연기 "기체 열어봐야 향후 일정 알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6.15
파악하려고 시도했으나 여의치 않았다. 센서 자체가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연결된
케이블
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지금은 산화제를 넣은 상황은 아니며 현재로선 센서 자체가 문제인지 전기적 문제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값을 믿을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Q 센서 이상은 언제 발견됐나 이날 ... ...
발사 준비 하루 안에 끝낸다…속도내는 민간우주발사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06
기존 엄빌리칼은 발사타워를 통해 단별로 연결하는 방식이라 발사체가 발사된 후
케이블
을 빠르게 회수하는 지상 회수설비가 필요한 반면, 단간 연결 엄빌리칼은 지상 회수 설비가 필요없다. 발사 운용시스템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바로 발사체를 발사 패드위에 수직으로 세우고 발사를 준비할 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소셜 미디어가 지구를 뜨겁게 만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케이블
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지요. 디지털 세상은 거대한 건물과 바닷속
케이블
인 셈이에요. 문제는 데이터센터가 뿜는 열입니다. 24시간 쉬지 않고 방출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막대한 전기에너지가 쓰이고, 이는 탄소 배출로 이어져요. 국제에너지기구는 2022년 기준 데이터센터가 ...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초전도
케이블
을 통해 전기를 보내려면 냉각 장치로
케이블
내부의 온도를 영하 200℃ 이하로 낮춰야 하는데, 냉각 장치를 운영하는 데 꽤 큰 비용이 들거든요.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찬중 박사는 “상온 초전도체가 개발되면 지금처럼 초저온 냉각 장치가 필요하지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디에나 붙는 게코파워!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길이의
케이블
에 로켓을 매달아 쏘아 올리는 방법이에요. 로켓이
케이블
의 길이만큼
케이블
을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그만큼 연료를 아낄 수 있어요. 스카이훅의 원리를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과정을 모방하기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우리에겐 등산을 도와줄 도구나
케이블
카가 필요합니다. 그렇게 ‘가스트룰로이드(gastruloid)’라는 모델이 탄생하게 됩니다. 가스트룰로이드 이야기는 3월호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이런 것도 소통?
기사
l
20241106
신호를 보냅니다. 자 그럼 세 번째 사실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바로 나무들의 소통입니다.여러분은 나무들은 땅속 안에서 인터넷
케이블
처럼 연결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이런 나무들은 이것으로 소통을 합니다.그리고 이 소통을 돕는 것들이 있는데요,바로 곰팡이들 입니다.지구상에 모든 곰팡이 중 몇%가 땅 속에서 생활 하고 있을까요?바로 90% ...
하코다테 국제 과학제 참가기
기사
l
20240910
오후 5시가 됐을 무렵 하코다테산으로 가
케이블
카를 타고 야경을 보려고 했지만 일정상 6시 30분에 저녁을 먹으러 가야 해서 일몰과
케이블
카를 타고 내려올 때 보이는 야경을 조금밖에 못 봐서 아쉬웠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저녁을 먹으러 스프카레집을 갔습니다. 스프카레는 국물이 있는 카레인데 제가 알던 카레와는 달랐습니다. ...
2024년 하코다테 국제과학제에 다녀오다.
기사
l
20240906
산 정상에 올라 어과동 기자들과 점프를 하며 사진도 찍고, 신나게 뛰기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 야경을 보고 내려왔는데,
케이블
카를 타고 내려오면서 보는 야경이 특히 더 멋있었습니다. 야경을 본 후, 저녁식사로 스프카레를 먹었는데 스프카레의 국물은 하코다테의 노을 진 하늘색, 그 안에 들어있던 계란 반쪽은 저 멀리 저무 ...
하코다테 국제 과학제는 무엇을 할까?
기사
l
20240828
생각했습니다. 과학제를 마친 후 하코다테 산으로 향했습니다 산으로 가는 방법은 총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걸어서 올라가는것과
케이블
카를 타는 것이 있는데 저희는 후자를 선택하였습니다. 캐이블카로 3분이걸렸습니다. 산에 올라오니 기분이 상쾌했습니다. 높은 곳에서 느끼는 바람이 마음을 달래주었습니다. 눈도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아름답고 깨끗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여기는 무엇을 하는 곳일까요!!
기사
l
20240823
할 정도로 우주가 싸질것이라고 예상됩니다. 스타링크는 SPACE X사의 일론머스크가 개발한 우주 통신 장비입니다. 우리는 흔히 광
케이블
로 사용중이지요. 이 우주 인터넷을 사용하면 통신이 더 빠를 것이라고 합니다.행성의 주인이 되려면 그 행성의 집을 짓고 살아야 주인이 되므로 화성으로 가려는 의지가 많은 사람들이 더욱 늘어나고 있기도 합니다. 중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