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살
가리
땅귀개속
뉴스
아라온호 15번째 북극 여정 출발…북극 해빙·메탄 방출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아라온호 연구팀은 수중 청음기를 설치해 바닷속 소리를 기록하고 심해 카메라와
통발
, 드렛지 등을 활용해 해양생물의 서식환경, 기후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아라온호는 중앙 북극해 쪽으로 진출해 해저에 있는 메탄도 탐사한다. 작년에 설치한 메탄 관측 장비를 회수해 지난 1년간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장의 조정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6.25
느리게 성장하는 표피의 기계적 제약으로 인해 내부 조직이 뒤틀린 수생 식물 ‘
통발
속’에서 브라시노스테로이드가 결핍된 난쟁이 돌연변이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애기장대의 브라시노스테로이드 돌연변이가 증가한 조직 능력을 나타내는 표피 균열 형성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실험했다. 이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들어오기는 쉬워도 한번 들어온 빛은 좁은 구멍을 통해 밖으로 나가기가 어렵다. 마치
통발
과도 비슷하다. 그래서 텀블러의 공기구멍을 들여다보면 정말로 검다. 그래서 ‘흑체’이다. 과학자들은 19세기부터 흑체의 성질을 연구했다. 특히 흑체가 골고루 데워져 일정한 온도에 이르렀을 때 특정 ... ...
[프리미엄 리포트]전 세계 바다가 비어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6.05
폐어구들이 서로 모여 뒤얽힌 곳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곳에서 건져내는 쓰레기의 60%가
통발
이고, 나머지가 폐그물과 밧줄 등입니다. 큰 그물은 무겁고 위험해서 사람의 힘만으로는 건져내기 어렵습니다. 바다에 버려지는 폐어구는 연간 약 4만 4000t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수거되는 양은 1만 100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들어오기는 쉬워도 한번 들어온 빛은 좁은 구멍을 통해 밖으로 나가기가 어렵다. 마치
통발
과도 비슷하다. 그래서 텀블러의 공기구멍을 들여다보면 정말로 검다. 그래서 ‘흑체’이다. 과학자들은 19세기부터 흑체의 성질을 연구했다. 특히 흑체가 골고루 데워져 일정한 온도에 이르렀을 때 특정 ... ...
[프리미엄 리포트]전 세계 바다가 비어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6.05
폐어구들이 서로 모여 뒤얽힌 곳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곳에서 건져내는 쓰레기의 60%가
통발
이고, 나머지가 폐그물과 밧줄 등입니다. 큰 그물은 무겁고 위험해서 사람의 힘만으로는 건져내기 어렵습니다. 바다에 버려지는 폐어구는 연간 약 4만 4000t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수거되는 양은 1만 100 ... ...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2.13
수 있어 물속 거북을 유인할 수도 있다. 구 연구원은 “외래종 거북 포획에는 흔히
통발
을 사용하는데 다른 동물까지 걸려 죽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 새 포획장치는 이런 부작용이 없다"고 했다. 구 연구원은 특히 토종 거북인 남생이는 연못 구석에서 일광욕하는 습성이 있어 ... ...
[인간 행동의 진화] 소심함의 진화
2020.12.27
사람이 있을까 불안하다. 생태계 교란종이다. 아무튼 윌슨은 연못에
통발
을 설치했다.
통발
에 잡히는 녀석은 분명 대담한 성격을 가졌을 것이다. 또한 윌슨은 위망을 사용해서 연못을 아예 훑었다. 천렵을 할 때 쓰는 그물이다. 물고기의 ‘성격’과 상관없이 몽땅 잡힐 것이다. 그리고 두 종류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물고기를 살리려 바다로 뛰어든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생태계의 일원이에요. 여러분도 해양 생물의 시점에서 한 번 고민해주면 좋겠어요.●
통발
: 통처럼 생긴 고기잡이 기구로, 물고기나 게가 한 번 들어가면 나가지 못하는 구조다. ●인터뷰“지속 가능 수산물을 사는 건 어떨까요?” 서종석(부경대학교 교수, 한국 MSC 대표) Q지속 가능 수산물이 ... ...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곤충을 포획한다. 사라세니아는 바닥의 액체에 곤충을 빠뜨려 익사시킨다. 물속에 사는
통발
은 부분적으로 진공상태를 만들어 헤엄치는 생물을 빨아들인다. 포충낭 식물은 속으로 곤충을 떨어뜨린 뒤 천천히 녹여 소화시키는 전략을 쓴다. 포충낭 속에 빠진 곤충은 왁스처럼 미끄러운 벽면 때문에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물속 거북도 유인할 수 있어요.구교성 연구원은 “이전에는 외래종 거북을 포획할 때
통발
을 사용했는데, 그럼 다른 동물까지 걸려 죽곤 했다”며, “새로운 포획장치는 이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한 토종 거북인 남생이는 연못 구석에서 일광욕하는 걸 선호해서, 포획장치를 연못 가운데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세포들이 성장하는 방향과 크기를 수학 모형으로 추측한 겁니다. 그 결과 성장 방향이
통발
안에 있는 분비샘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접선 방향과 비슷했습니다.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10월호에 실렸습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빡세게 탐사!노랑빛 우승! 은행팀의 가을캠프
기사
l
20231017
기억에 남았는데
통발
은 작은 플랑크톤 같은 작은 동식물을 사냥해 먹는다고 합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ySsSoSFQVZk 위 동영상은
통발
사냥 영상입니다. 또한 수생식물 탐사를 어떻게 진행하는지도 말씀해 주셨는데요. 직접 장비를 이용하여 물의 온도와 산소양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주셨습니다. 어떤 ...
서울시에 꽃봉오리보다 더 작은 쥐가 산다고? 멧밭쥐 현장교육!(feat.하늘공원)
기사
l
20231016
멸종위기 2급인 쌍꼬리부전나비 같은 곤충들도 볼 수 있습니다. 쌍꼬리부전나비 (출처_기자 본인) 식물로는 서울시보호종인 참
통발
, 긴병꽃풀 등이 자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억새에 기생하는 기생식물, '야고'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야고 (출처_기자본인)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하늘공원으로 향하는 길에서는 물까 ...
꿈꾸는두루미 - 230917 - 2
탐사기록
l
20230917
숭어
통발
...
몽키수비대 - 230611 - 1
탐사기록
l
20230611
계곡에 와서
통발
을 만들어봤는데,어린 도롱뇽이 들어와있어요 ...
이상하지만 신기한 식물들 1
기사
l
20230117
android-samsung-ss&prmd=ivn#imgrc=hUwXqSh9ylBxyM&imgdii=sj1TIkPgRMznMM 벌래잡이 제비꽃은 말 그대로 벌레를 잡는 식물입니다. 이름은 제비꽃 이지만,
통발
과에 속합니다. 겉으로는 예쁘지만 벌레에겐 악마입니다. 달콤한 향기가 나는 잎으로 벌레를 유인합니다. 그리고 벌레가 내려앉으면 발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