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꿀꺽~~호"입니다. 제 아이디어는 3등이었습니다. 마지막 질문 시간에는 우주기자단 분들의 훌륭한 질문들이 많았기에 질문, 답 형식으로 기록하겠습니다. Q. 인공위성에도 AI가 사용되고 있나요? A. 네! 물체를 잡기 위해 AI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Q. 인공위성을 여러 대 넣는다고 하셨는데, 인공위성 한 대의 길이는 몇 m인가요? A. ...
- 스토리콘 글 쓸 때 특징포스팅 l20250804
- 스토리콘 그 채팅 형식? 그거 때문에 글 몰입감이 떨어져요..그 다양한 소설 형식 표현이 아예 안돼서 뭔가 한계가 있는 듯한 기분이랄까요 ...
- KAO 여름캠프: 천문올림피아드로 우주에 가까워지다!기사 l20250729
- 진행했습니다. 저도 예비교육생으로써 참여를 했는데요, 캠프는 2박 3일동안 제주도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기사는 수필 형식으로 제가 2박 3일동안 경험한 것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날 3시에 제주공항에서 집합해서 다같이 한화리조트로 이동한 후, 아이스브레이킹, 특강 수업등을 진행했습니다. 캠프에는 총 21조가 있었고, 각 조에는 학생 ...
- 우리가 재밌게 보는 만화의 이야기기사 l20250729
- 임규원 기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만화를 많이 읽습니다.최근에는 인터넷에서 보는 웝툰도 있고요.원래 책과는 형식이 매우 다른 만화.만화는 언제?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요. 만화는 마음대로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놀랍게도 이 단어는 일본에서 시작했는데요,메이지 시대때 기타자와 라쿠텐 이라는 사람이 서양문물을 해석하기 위해 이 단어를 만 ...
- [출동!기자단] 한국의 인공태양, KSTAR를 만나고오다!기사 l20250706
- 만들었는데, 그 중 특이한 세가지를 소개해 주셨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기괴한 핵융합 장치 - 독일 Wendelstein W7-X 정말 미로 같은 형식으로 만들었는데, 이런 것을 사람이 만들었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이 장치는 토카막이 아닌, ‘스텔라레이터(Stellarator)’ 방식으로 만든 장치라고 합니다. 이 장치는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