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통주의
아카데미즘
외형 존중
허례
뉴스
[주말N수학] 수학자에서 사회운동가로...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
수학동아
l
2023.06.24
배척한 직관주의 학파는 환호했지만 집합론을 이용해 수학의 토대를 확립하려던
형식주의
학파는 곤경에 빠졌지요. 어린 시절 할머니의 신앙을 거부한 러셀은 자신이 발견한 모순이 수학의 토대를 좀먹도록 내버려 둘 수 없었습니다. 이제 러셀에게 분명한 학문적 목표가 생겼습니다. 러셀은 ... ...
[주말N수학]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2
수학동아
l
2022.12.24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어요. 이 논쟁에서 누가 승리를 거두었을까요? 아무래도
형식주의
가 승리했다고 봐야겠네요. 대다수의 수학자는 선택 공리를 인정할 뿐만 아니라, 비구성적 논증도 왕왕 사용하니까요. 그러나 선택 공리와 비구성적 논증이 제기하는 수수께끼는 여전히 수학, 논리학,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그런 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선 과학계를 둘러싼 관료주의와
형식주의
의 억압이 사라질 필요가 있다. 그린이라는 과학자의 삶은, 자신의 연구와 과학자의 사회적 실천의 좋은 균형점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그린은 생화학자로서의 작업을 충실히 대중에게 ... ...
[주말N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
수학동아
l
2019.04.20
수 있다. 사실 응용 수학자나 물리학자, 공학자에게는 이런 아이디어가 친숙하지만 많은
형식주의
수학자들은 그림의 도움을 부정하곤 한다. 블랑망제 함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익숙하지 않던 특성을 보여준다. 정확하게 해석된 그림이 수학적 분석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드러나는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그런 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선 과학계를 둘러싼 관료주의와
형식주의
의 억압이 사라질 필요가 있다. 그린이라는 과학자의 삶은, 자신의 연구와 과학자의 사회적 실천의 좋은 균형점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그린은 생화학자로서의 작업을 충실히 대중에게 ... ...
유럽연합, 해양과학분야 연구성과보고서 발간
2015.11.12
구체적으로는 혁신친화적인 환경 구현, 중소기업 지원 강화, 민관협력 증진, 혁신과정의
형식주의
(red-tape) 타파의 네 가지 분야를 주축으로 한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수산양식, 해양관광, 해양바이오, 해양에너지, 해저 자원개발 분야의 5대 분야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배척한 직관주의 학파는 환호했지만, 집합론을 이용해 수학의 토대를 확립하려던
형식주의
학파는 곤경에 빠졌지요. 어린 시절 할머니의 신앙을 거부한 러셀은 자신이 발견한 모순이 수학의 토대를 좀먹도록 내버려 둘 수 없었습니다. 이제 러셀에게 분명한 학문적 목표가 생겼습니다. 러셀은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1장.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어요. 이 논쟁에서 누가 승리를 거두었을까요? 아무래도
형식주의
가 승리했다고 봐야겠네요. 대다수의 수학자는 선택 공리를 인정할 뿐만 아니라, 비구성적 논증도 왕왕 사용하니까요. 그러나 선택 공리와 비구성적 논증이 제기하는 수수께끼는 여전히 수학, 논리학,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수 있다. 사실 응용 수학자나 물리학자, 공학자에게는 이런 아이디어가 친숙하지만 많은
형식주의
수학자들은 그림의 도움을 부정하곤 한다. 블랑망제 함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익숙하지 않던 특성을 보여준다. 정확하게 해석된 그림이 수학적 분석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드러나는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자료의 수집이나 실험적 방법이 불가능한 문제로 여겨졌다. 그러나 20세기 들어서
형식주의
논리학이 싹트기 시작하였고, 그 후속주자로 정보처리 이론이 탄생했다. 아울러 심리학과 언어학 분야 등의 진전과 함께, 종래에는 불가해하고 신비스럽게만 느껴졌던 정신기능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