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기획] 메테인, 어디서 나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활동을 멈추거나 쓰레기를 아예 만들지 않는 것도 불가능하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정수종 교수는 “습지와 하수 등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도 메테인이 나온다”며 “우리가 인지할 수 없는 곳에서도 메테인이 배출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메테인을 100% 줄이긴 어렵다”고 ... ...
- [특집] 내 몸에는 어떤 알레르기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몸에 들어가면, 면역세포가 이것이 몸에 해로운지 아닌지를 판단해요. 유전적, 환경적 요인은 이러한 면역세포의 판단에 영향을 주죠. 알레르겐을 해로운 것으로 판단한 면역세포는 항체를 만듭니다. 항체는 면역세포의 일종인 비만세포와 만나고,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 ...
- [기획] 소 트림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트림을 하던 소가 깜짝 놀랐어요. 하늘에 떠 있는 인공위성에 트림하는 걸 들켰기 때문이죠. 소의 트림을 감시하는 위성이라니,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소 트림을 감시하라Part1.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Part2. 메테인, 어디서 나올까?Part3. 메테인, 줄이고, 활용하자! ...
- [기획]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한정된 지역에서만 메테인 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었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정수종 교수는 “메테인이 발생하는 지점을 명확하게 파악하면 그곳에서 메테인을 줄이기 위한 정확한 처방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메테인샛은 지구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으로 대기권에 있는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인류의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기업, 보령에 가다!기사 l20250814
- 하나요?A. 약 제조 과정에서 실수가 있다면 바로 버려야합니다. Q. 주사제를 만들 때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A. 균이 없는 환경입니다. 주사제를 만드는 과정 중 첫번째, 기억하시나요? 바로 칭량 아이솔레이터 조제 시스템입니다. 연구원님과 함께 실제 아이솔레이터를 보러갔습니다. - 아이솔레이터 관람 사진11 : 아이솔레이터의 모습입니다 ...
- 김천 에코롱롱에서, 송하율 위원장님과 함께 한 기사 l20250813
- 없이 “극좋은 소재, 특히 온도 조절이 가능한 소재”라고 답하셨어요. 그 말이 딱 꽂혔어요. ‘아, 결국 모든 기술의 기본은 환경을 버틸 수 있는 힘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죠. 그리고, 모든 강의를 마치고 코오롱에서 준비해주신 기념품과 선물도 한가득 받아서,집으로 돌아가려고 에코롱롱 밖으로 나와선 건물 주변을 돌아보고 있는데, 송하율 ...
- 카이스트를 갔다온 뒤기사 l20250813
- 만든 여러가지 기계를 보았다.인공위성과 교신을 하는 컴퓨터가 여러 대 설치된 방과인공위성의 중심을 잡게 하는 기계,우주와 환경을 비슷하게 해 잘 버틸 수 있는지 확인하는 기계들을 봤을 때 정말 놀라웠고 신기했다.정말 이번 강의도 정말 재미있었다. 이번에도 좋은 경험을 획득하였다 ... ...
- 친환경 에너지! '에코 롱롱 큐브' 현장에서.기사 l20250812
- 안녕하세요? 전도윤 기자입니다!25년 8월 11일, 에코롱롱큐브 현장미션에 참여했습니다. 첫 느낌은 정말 큰 건물이구나.. 하는 것 이었습니다.[사진1. 현장 도착 1분전 차에서 찍은 사진]그리고 코로 서있는 거꾸로 코끼리 동상도 인상깊었습니다.[사진2. 건물 앞 코끼리 조형물] 자, 그럼 현장에 대해 생생하게 전달해드리겠습니다.먼저 원앤온리타워 투어가 진 ...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기사 l20250809
- 진행되었습니다.참가자들은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위성을 설계했고, 우수한 아이디어에 상품이 수여되었습니다.이 활동은 우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깨닫고, 기술을 활용해 해결 방법을 고민해보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5. 질의응답과 느낀점 탐방 마지막에는 연구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이 마련되었습니다.저는 최근 AI(인공지능)에 대해 관심이 많아 공부하고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