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어스
d라이브러리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국내 대화형 AI ‘이루다’의 소수자 혐오 발언이 그 예다.단, 기술적 의미에서 AI의 편향(
bias
)은 조금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한다. 최재식 KAIST AI대학원 교수는 “사회적·윤리적 이슈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사실관계를 예측하는 AI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도 AI 편향성에 포함된다”고 말했다.가령 ... ...
[사랑고민상담소] 25년차 솔로의 소개팅앱 성공전략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무시하고 자기 생각을 뒷받침해줄 일부 연구만 본다는 것이죠. 이를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
)이라고 합니다.연구팀은 “사람들이 확증 편향을 갖게 된 이유는 과학적 사실에 근거했다기보다는 그들에게 내재된 태도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확증 편향에 영향을 주는 내재된 태도를 ... ...
고친 답은 틀린다, 주관식 문제는 마지막에 풀어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많다고 느낀다. 그러나 이것은 특별한 경험을 더 잘 기억하는 ‘현저성 효과’(salience
bias
) 때문에 생기는 편견일 뿐이다. 자신의 점수는 답을 고친 몇 개만이 아니라 여기에 고치지 않은 답을 합산해 나온 결과다. 자신의 답을 의심하기 시작하면 모든 것이 불확실해 보인다. 급기야 불안해져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실마저 간과해버리고 말았다는 점이다. 통계학에서 ‘표본 선택 편의’(sample selection
bias
)는 이와 같은 실수를 말한다. 즉 ‘표본 선택 편의’는 전체를 아우르지 못하는 표본을 선정해 발생하는 잘못된 결과를 가리키는 통계학 용어다.표본 선택 편의의 대표적 예가 은행에서 하는 개인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