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녹아웃
뉴스
초파리 RNA에서 인슐린 생산량 조절 인자 찾았다
연합뉴스
l
2023.07.25
두 가지 조건에서 수행됐다. 하나는 mRNA에 m6A 태그를 붙이는 역할을 하는 m6A 효소를 제거(
knockout
)했으며, 다른 하나는 DNA 편집 기술 크리스퍼(CRISPR)를 사용해 m6A 태그 자체를 없앴다. 그 결과 두 실험에서 모두 초파리의 인슐린 생산 능력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스 교수는 "인슐린 DNA의 ... ...
심한 스트레스 누적되면 골절 회복 지연
연합뉴스
l
2023.07.19
연구팀은 특정 유형의 세포가 지니고 있는 유전자의 발현을 차단한 '녹아웃 생쥐'(
knockout
mouse)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녹아웃 생쥐란 유전자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생쥐로, 일부 유전자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인공 DNA 조각을 넣는 방법을 통해 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 경우를 말한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2021.05.17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 기능 탐구에 가장 유용한 생물학적 방법은 기능을 없앤 변이체(
knockout
mutant)를 만든 후 그 변이에서 표현형을 관찰하는 것이다. 즉 nsp2의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없앤 바이러스의 특징을 정상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된다. 이와 함께 특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RNA간섭, 20년 만에 의약품으로 결실 맺다!
2018.08.14
기능을 규명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특히 유전자를 아예 고장 내면(이를 녹아웃(
knockout
)이라고 부른다) 생물이 발생과정에서 죽을 경우 그 기능을 알 방법이 없는데(무척 중요할 것임에도), 녹다운이 큰 도움이 됐다. 2000년대 초 RNA간섭의 대략적인 작동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2021.05.17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 기능 탐구에 가장 유용한 생물학적 방법은 기능을 없앤 변이체(
knockout
mutant)를 만든 후 그 변이에서 표현형을 관찰하는 것이다. 즉 nsp2의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없앤 바이러스의 특징을 정상 바이러스와 비교하면 된다. 이와 함께 특정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기능을 연구할 때는 주로 특정 유전자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아예 제거한 녹아웃(
knockout
) 쥐나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낮춘 녹다운(knockdown) 쥐를 사용한다. 고 교수팀은 이런 쥐들을 직접 제작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의 경우 생명 유지나 뇌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 ...
PART2 3R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다 갖고 있어 최근 새로운 실험동물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형질전환동물이나 녹아웃(
knockout
) 동물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정 유전자를 이식하거나 변형시켜 인간의 질병과 유사한 질병을 갖고 태어나게 만드는 것이다. 녹아웃 동물을 이용하면 정상적인 동물에 일부러 약물을 투여하거나 수술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