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서 '팬데믹 가능성' 신종 돼지독감 바이러스 발견
연합뉴스
l
2020.06.30
CCDCP) 소속 과학자들은이러한 내용을 담은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
했다고 AFP통신과 BBC방송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G4'라고 명명된 해당 바이러스는 신종인플루엔자(H1N1) 계통으로 돼지에 의해 옮겨지나, 사람이 감염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G4가 팬데믹을 ... ...
현재경기 판단지수 1999년이후 최저…소비는 코로나 이전 회복(종합)
연합뉴스
l
2020.06.30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0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5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
하고 있다. 건설업체가 실제 시공한 실적인 건설기성 역시 4.3%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8포인트 하락한 96.5를 기록했다. 이는 외환위기 여파가 있었던 1999년 ... ...
미국내 렘데시비르 1병에 62만원 '5일간 맞으면 375만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줄였지만, 40~65세는 16% 단축하는 데 그쳤다. 같은 날 영국 의학학술지 ‘랜싯’에
발표
된 논문과도 같은 결과다. 중국수도의대 연구팀은 중국 내 237명의 코로나19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렘데시비르를 투약하는 무작위대조 이중맹검 임상시험을 한 결과 바이러스 감소나 치명률 등에서 차이를 거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
2020.06.30
분장을 한 사람이 등장해 정면을 향해 돌아서서 가슴을 두드린 뒤 퇴장한다. 1999년
발표
된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은 우리 지각의 한계인 ‘선택적 주의’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 대표적인 예다. 이 동영상을 본 사람의 절반이 고릴라 분장을 한 사람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대니얼 ... ...
WHO "17개 후보 1~3상 진행중" 속도 내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전임상 단계의 후보물질은 130개를 넘어섰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9일(현지시간)
발표
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상시험에 들어간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은 총 17개로 나타났다. 수천 명의 건강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예방 효과를 시험하는 임상3상에 들어간 ... ...
코로나19 대응에 국내 수학계가 나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교수가 ‘코로나19 장기화 시기의 유행 양상 파악과 유행 확산 예측’을 주제로
발표
한다. 온라인 워크숍은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eLYCRoGRVpU)을 통해 중계된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제공 ... ...
초저전력 전자소자 구현 길 열리나…‘스핀’ 난제 60년만에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왼손 방향으로 회전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1960년대에 준강자성체에 관한 이론이
발표
되며 왼손 방향 운동이 예측됐지만 지금까지 미시적인 수준에서 실험으로 관찰되지 못했다. 표준연 양자스핀팀과 KAIST 공동연구팀은 빛과 스핀파 사이의 충돌을 이용하는 ‘브릴루앙 광산란법’을 활용해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경우, 공항에 얼굴 인식 기능이 탑재된 발열 확인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이달 10일
발표
하자 시민단체가 “비효율적이면서 남용 우려가 큰 기술”이라며 비판한 사례가 있다. 전문구 GIST 교수팀이 개발한 발열 확인 및 얼굴 동시 인식, 추적 기술 화면이다. 동아사이언스. 국내에서는 얼굴 인식을 ... ...
임신 못하는 토끼, 자궁 세포치료 받고 새끼 낳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토끼를 통해 세포치료 실험을 검증했다. 토끼는 자궁이 2개인 데다 자궁의 크기도 몸에 비해 커 자궁 연구에 주로 쓰인다. 연구팀은 토끼의 자궁에서 건강한 세포를 얻어낸 후 새끼를 ... ...
실시간 수화 번역 기술 나왔다…무선 장갑끼고 수화하면 앱이 읽어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웨어러블(입는) 장갑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29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갑 안에는 얇고 유연한 센서가 들어있다. 다섯개 손가락 마디마다 센서를 집어넣었다. 이 센서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읽는다. 읽은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돼 손목에 설치된 회로 ... ...
이전
996
997
998
999
1000
1001
1002
1003
10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