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C 실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제거에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ACS 나노’ 22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형광등이나 발광다이오드(LED)로 UVC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UVC를 이용한 살균 장비를 ... ...
코로나19 증상에 피로감·설사·구토 추가…임산부·비만도 고위험군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CDC 홈페이지 캡쳐 CDC는 이날 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고위험군 목록도
발표
했다. 비만과 만성 신장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고형 장기 이식을 새로운 고위험군 목록으로 추가했다. 심부전과 관상동맥질환, 심근병증과 같은 심장병과 겸상 적혈구 빈혈, 2형 당뇨병도 추가됐다. ... ...
우주에서 확인된 코로나19로 확 달라진 지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ESA는 중국 대기 중 이산화질소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빠르게 사라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시보드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에서는 4월 이후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 배출량이 다시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 공항 인근 자동차 생산공장을 관측한 ... ...
유미과학문화상에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결과를
발표
했다. 이 명예교수는 서강대 화학과에 재직하며 2460여 편의 칼럼과 논문을
발표
하며 과학적 합리성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또 과학 소통(커뮤니케이션) 분야에도 활발히 참여해 인문사회 분야와 과학기술의 융합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반을 조성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
토종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북한에도 산다…충남·전북에선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24일자(현지시간)에
발표
됐다. 연구팀은 2016~2019년의 4년에 걸쳐 한국과 북한, 중국에 서식하는 수원청개구리의 친척종을 조사했다. 수원청개구리(Dryophytes suweonensis)는 1980년대에 경기도 수원 부근에서 처음 발견됐다. 유전자를 비교해 본 ... ...
생각보다 심각한 편두통, 효과적인 치료 가능해질까
연합뉴스
l
2020.06.26
박사팀은 24일(현지시간)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이런 요지의 논문을
발표
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잔텔로 박사는 이 대학 약물학 독성학 연구소에서 자신의 연구 그룹을 이끌고 있다. 이번 연구엔 이탈리아 파도바대 연구진도 참여했다. 별 모양의 면역세포인 성상교세포 ... ...
하수도는 알고 있다 '누가 아픈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CSIRO)는 이달 19일 하수역학을 활용한 코로나19 연구를 지원해 결과를 활용하겠다고
발표
했다. 미국 미네소타주 브레이너드시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출신 스타트업 ‘바이오봇’과 손을 잡고 하수에서 바이러스 농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기로 했다. 이탈리아 ISS도 7월 중에 관광지를 중심으로 ... ...
"자동차동호회 집단감염, 한강 모임 이전에 감염된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이전 식당이나 주점에서의 모임에서 감염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는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
했다.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달 25일 충북 오송 질본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자동차모임 관련 역학조사 결과 최초 증상 발생일은 12일”이라며 “한강 모임은 6월 1 ... ...
목성 위성 유로파 얼음층 밑 대양 "생명체가 꽤 서식할만한 곳"
연합뉴스
l
2020.06.25
온라인으로 진행된 지구화학 분야 국제회의인 '골드슈미트 콘퍼런스'에서 처음으로
발표
됐다. 유로파는 3~30㎞에 달하는 얼음층 밑으로 대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장 유력한 곳으로 꼽혀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새로운 질량대의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이라는 사실을 밝혀 ‘천체물리학저널’ 23일자에
발표
했다. ●중성자별이라기엔 큰... 블랙홀이라기엔 작은 이상한 천체의 신호 중력파는 질량을 지닌 물체가 속도를 변화시키는 운동(가속도운동)을 할 때 발생해 빛의 속도로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 ...
이전
999
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