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꿈 길몽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그래서 옛 어른들은 나쁜 꿈을 꿨을 때 '꿈은 반대' 라거나 '꿈보다 해몽이 중요하다'며 위
안
을 삼았다.고대 히브리인들은 꿈을 꾸고 싶을 때면 셔츠를 거꾸로 입고, 반대로 꿈을 꾸기 싫으면 똑바로 입었다고 한다. 꿈이란 인간 의지에 달려있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꿈에 크게 집착하지 않는 건강한 ... ...
민족의 영물 호랑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천연생태인 자생 서식지를 보전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이를 위한 한가지 기술적 방
안
으로 자생 개체의 원격탐사기술과 지리정보체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접목시켜 활용하는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첨단 기술을 동원해 개체들의 서식지 지도를 만들어 서식지에서의 활동을 파악할 수 ... ...
폐경은 자손을 잘 키우기 위한 수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따라서 가장 늦게 낳은 막둥이가 적어도 10대가 될 때까지 어머니가 살아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요컨대 늙어서 죽기 직전에 아이 낳는 일을 서둘러 그만 둘 필요가 있었으므로 폐경이 진화된 것이다.둘째, 여자는 나이들수록 아이를 분만하는 도중에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 만일 60살에 아이를 낳다가 ... ...
3. 올 중반 등장할 윈도 98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4.0이 단지 브라우저를 운영체제
안
에 집어넣었다고 한다면 윈도98은 인터넷을 끌어
안
았다고 볼 수 있다.윈도98은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가 몇 가지 버튼만 누르면 자기 자신을 스스로 체크해 업데이트된 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한다. 또한 사용법을 알려주는 ... ...
냉동 붕어 되살리기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사이의 공간에 있는 물이 얼음으로 변하면 상대적으로 세포외액의 농도가 높아져 세포
안
에 있는 물이 세포외액 쪽으로 빠져나간다. 그래서 세포외액에서만 얼음이 형성되고 세포내부에는 큰 피해가 없다.붕어 표면에 글리세린을 바른 이유는 동결과정에서 세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 ...
녹였다 다시 쓰는 주머니 난로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완벽한 대용품을 찾지 못했다. 병뚜껑을 사용할 경우 오래 사용하면 병뚜껑이 잘
안
꺾이게 되고 녹이 슨다. 병뚜껑의 표면에 못으로 구멍을 낸 이유는 표면이 매끈한 것보다 결정이 잘 생길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 ...
온실가스 감축 결의한 선진국의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감축할 경우 물가가 13.3%나 인상되리라는 수치도 제시됐다.그러나 이번에 면제받았다고
안
심만 하고 있을 상황이 아니다. 당장 올해 11월이면 감축의무 대상국 명단이 개정된다. 이 자리에서 한국이 과연 또한번의 면제를 받을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상황에서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범인을 총으로 쏘아 죽였을 때, 과잉방위의 소지가 있지만, 야간에는 주간보다 공포나 불
안
이 더 커지므로 정당방위로 인정될 수 있다.때문에 주간과 야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계시각에 범죄가 생기면 1분 1초 차이로 형량이 달라질 수 있다. 또 보름달일 떴을 때라면 범인의 얼굴을 알아볼 수 ... ...
3. 파라오의 저주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죽음, 또는 우연한 죽음이었다고 진상을 밝혔다. 파라오의 관에 일반적으로 '사자의
안
녕을 방해하는 자에게 저주가 있으라'라는 문구가 쓰여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투탕카멘의 관에는 이와 정반대로 '왕의 이름을 알리는 자에게 복이 있으라'라는 말이 쓰여 있다. 투탕카멘은 오히려 자신의 ... ...
5. 바벨탑의 전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화려한 궁전이 수없이 지어졌고, 한때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였던 공중정원도 성
안
에 있었다.바벨탑은 기원전 479년 페르시아의 침공으로 철저히 파괴됐다. 알렉산더 대왕이 바빌론을 점령했을 때 폐허가 된 바벨탑을 재건하려 했지만, 너무나 거창한 사업이었기 때문에 중간에 포기하지 않을 수 ... ...
이전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