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뉴스
"
분야
"(으)로 총 14,33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8노벨상]수상자 업적 근접한 한국 과학자 6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있도록 국내 연구자들의 성과 홍보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화학
분야
6명과 생리의학
분야
1명의 국내 연구자가 향후 3년 내 과거 수상자의 연구성과에 근접할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는 △유룡 KAIST (새로운 구조의 규칙적 메조다공성 실리카 및 탄소합성법 개발) △선양국 한양대(차세대 ... ...
[2018노벨상]입자물리서 시작해 반도체·우주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한국인 물리학자 중에는 그래핀 등 탄소나노물질
분야
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비롯해 정상욱 미국 럿거스대 교수, 이영희 성균관대 교수 등 3명이 논문 피인용 횟수에서 최근 10년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26명의 평균 값을 넘어선 것으로 ... ...
레이저로 ‘극자외선’ 발생시키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이번 연구에 사용된 펨토초 레이저 압축 장치. 연구진은 압축 장치 속 여러 개 특수 거울을 이용해 레이저 펄스를 조절했다. 과학기술연 ... 반도체 개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를 성과를 담은 논문은 광학
분야
권위지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 2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과학자들은 왜 인구 10만의 독일 시골도시 ‘예나’로 갔나
2018.09.28
완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입자물리학, 분자과학, 뇌과학, 양자정보과학
분야
를 연구하는 센터들이 포함됐다. 중국은 허베이에 2020년 완공을 목표로 37ha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양자컴퓨터 연구기관인 양자정보기술핵심연구소를 건설 중이다. 국제 사회가 이처럼 과학도시에 ... ...
‘이모지’ 만드는 초소형 안면 스캐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a.랜덤으로 ‘점 구름’ 을 생성하는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센싱 과정 b.'점 구름‘ 생성 기술을 이용하면 얼굴인식이 가능하다. c.실리콘 나노 막대기 구조로 ...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며 “모션 캡쳐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기기 개발 등 다양한
분야
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태양빛만으로 ‘수소’ 대량생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생산 환경을 조성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화학공학 및 촉매
분야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B : 인바이러멘탈(Applied Catalysis B : Environmental)’ 8월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일자리 걱정하는 '민심',기대감 무게 두는 전문가들…AI를 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8.09.26
걸쳐 적용되는데까지 평균 12.7년이 걸릴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일반인들은 AI가 다양한
분야
에 적용되는데까지 13.6년 걸릴 것으로 예상한데 비해 전문가들은 그보다 짧은 9.5년이 걸린다고 내다봤다. AI 확대 시점은 물론 도입을 바라보는 태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간의 시각차가 ... ...
컴퓨팅 사고력 ③ 미술품이 경매로 나온 상황에서 최선의 전략은? 수학도 컴퓨터로 풀자!
수학동아
l
2018.09.25
다스카라키스 MIT 컴퓨터학과 교수가 영예를 안았습니다. 다스카라키스 교수는 관심
분야
는 게임이론입니다. 서로 경쟁하는 상황을 게임이라고 보고, 서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해 게임에 참여할 때 매 순간 어떻게 행동해야 더 이득이 되는지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겁니다. 미국의 천재 ... ...
일본 탐사로봇 2기, 소행성 ‘류구’ 표면에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18.09.24
년 가량 앞설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지속적으로 소행성 탐사에 도전해 왔으며 현재 이
분야
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갖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지난 2003년 지구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를 이용해 ‘이토카와’ 탐사를 시도했지만 표면 착륙에는 실패한 바 있다. 그러나 이토카와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배아세포들은 어떻게 자기 자리를 찾아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23
법칙에 따라 힘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개념은 발생 생물학
분야
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분화 중이거나 성장하는 세포는 구역의 밀도와 접착력이 외부의 힘처럼 작용해 마치 일반적인 고체나 액체 물질처럼 방향성을 갖고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제학술지 ... ...
이전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
10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