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15,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의 날 특별 프로젝트] 멸종위기 못친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마련됐지요. 이번 이벤트에서는 모두 9종의 동물이 못친소 후보에 올랐으며, 이 중 1등을 한 동물은 6월 1일자 표지 주인공이 된답니다.못 지켜준 친구 한 종당 지지자가 한 명씩 있어요. 각 지지자는 그 동물을 지지하는 동영상을 통해그 동물에게 투표해 달라는 메시지를 여러분께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외에도 다양한 플라스틱 블록 장난감들이 나타났죠. 지금은 나노블록, 레고 마인드스톰 등 다양한 블록이 인기를 끌고 있답니다.블록의 비결은 ‘표준화초창기부터 지금까지 모든 블록 장난감이 갖고 있는 특징이 있어요. 바로 통일된 모양과 크기로 ‘표준화’ 돼 있다는 거예요.표준화란 어떤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대학생, 대학원생 세부문으로 나누어 참가해요. 참가 분야도 실험, 소프트웨어, 예술 등 다양하답니다.때론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전문 연구자들보다 더 기발할 때도 많아요. 한 예로 2009년 대상을 받은 7명의 영국 캠브리지대 학생들은 ‘이 크로미’라는 알록달록한 대장균을 만들었지요. 이 ... ...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구조 헤드셋은 대부분 화면(스마트폰), 센서, 볼록렌즈, 주변 시야를 가리는 보호 쿠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 스마트폰 안에 위치 감지 센서가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끼워 쓰는 제품에는 센서가 들어 있지 않다.[종이 틀 안에 볼록렌즈를 넣고, 스마트폰만 끼워 가볍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가족 사랑이 보글보글~ 오늘은 내가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적극적으로 도와 줄 것을 부탁했어요.하지만 재료 자르기와 밥 뭉치기, 달걀 묻히기 등 비교적 덜 위험한 과정은 어린이들이 직접 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었어요. 이를 위해 어린이 전용 칼도 준비돼 있었지요. 어린이 전용 칼은 어른들이 쓰는 일반적인 칼보다 뭉뚝해서 손을 베일 위험이 훨씬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현무암으로 되어 있답니다.이밖에도 수성, 목성의 위성인 ‘이오’, 지구의 위성인 달 등에서도 화산 활동의 흔적이 발견됐어요. 특히 이오에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활화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명하답니다.화산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행성이나 위성 내부의 성질을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 ...
- [수학뉴스] 제약회사와 수학자, 힘을 합치다!수학동아 l201609
- 장치인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약입니다. 생체시계가 고장이 나면 암, 당뇨, 우울증 등 다양한 질병이 발생해요. 그래서 생체시계를 조절하고 안정시킬 수 있는 약이 필요합니다.Q. 제약회사와 함께 일하게 된 과정이 궁금합니다. 제약회사에서 먼저 교수님의 연구에 관심을 갖고 연락해 온 건가요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09
- ‘브람스-테일러 방법’이라고 불리는 케이크 분배법은 1999년 11월 미국 특허로 정식 등록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브람스-테일러 방법에는 큰 문제가 있습니다. 케이크를 나눠먹는 사람이 4명만 되도 언제 끝날지, 칼질 횟수가 몇 번 이하인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이 방법을 쓰면 어떤 큰 ... ...
- [소프트웨어] 게임세계에선 나도 금메달~ 맞혀라, 황금과녁!수학동아 l201609
- 전혀 불지 않고 공기저항이 전혀 없다고 가정하면, 화살은 중력의 영향만을 받으므로 등가속 운동을 해요. 어디서나 거의 일정한 중력이 화살을 아래로 끌어당기지요. 화살은 앞으로 나아가면서 아래로 떨어지는 운동을 하기 때문에 화살이 날아가는 공간을 2차원 좌표로 나타낼 수 있어요. 활시위를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09
- 질문은 수업 시간에 반 전체에 설명하고, 개별 질문에 대해서는 일대일로 알려준다. 고등학교에 가서도 쓸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정보를 구하고 고민한 다음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들어봤니? ‘함수쏭’함수쏭은 5년 전에 직접 만들어 매년 함수 단원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