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15,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통하지 않는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수돗물은 칼슘 이온, 나트륨 이온 등 여러 이온들을 가지고 있어 실제 실험에선 설탕물도 전기가 약간 통할 수 있어요.소금물을 이용해 반죽을 만들면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반죽을 만들 수 있어요. 이때는 밀가루를 이용하는 게 좋아요.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09
- 훈련 시뮬레이션으로 처음 등장한 뒤로 게임과 같은 오락뿐 아니라 교육이나 의료 실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뇌를 속이는 가상현실 치료법가상현실을 말할 때 의료계도 빼놓을 수 없다. 정신의학과에서는 거식증 환자에게 가상 환경 속 신체 변화를 보여줘 섭식 장애를 치료한다.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09
- 눈앞에 갖가지 정보가 펼쳐지죠? 몸 상태는 물론, 적이 가진 무기, 위험 요소, 주변 상황 등을 가상의 스크린을 통해 보여줘요. 이런 증강현실을 이용해 수학을 체험할 수는 없을까요?2010년 필즈상 수상자인 프랑스의 수학자 세드릭 빌라니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 ...
- [소프트웨어] 엑스브레인수학동아 l201609
- 모형을 찾는 대회다.엑스브레인은 기계학습 분야에서 유명한 인텔, 프라이부르크대 등의 팀과 함께 수상했고, 스타트업으로는 유일한 수상팀이었다. 엑스브레인의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이다. 이 대회에서 개발한 모형은 앨리스에도 반영이 돼 큰 역할을 하고 있다.앨리스는 엑스브레인의 한 명 한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09
- 게임의 진행 방식은 플래피 버드와 같지만 게임의 캐릭터와 배경 이미지, 스토리 등은 모두 스스로 만들었어요.산남중 2학년 신유진 학생은 병원을 배경으로 스토리를 만들었어요. 의사 선생님이 진료를 보기 위해 장애물인 주사기를 피해 병원으로 달려가는 이야기예요. 독특한 컨셉과 귀여운 의사 ... ...
- [과학뉴스] 도핑과학동아 l201609
- 도핑에 이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는데요, 근육량이나 순발력, 지구력 등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편집하는 이른바 ‘유전자 도핑’입니다. 아직 실제 선수에 적용한 사례는 없지만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10조 개에 이르는 몸속 세포를 전부 교체하는 건 불가능하지만, 특정 근육만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09
- 2013년, 역사상 세 번째로 달에 착륙한 중국의 달 탐사로봇 ‘옥토끼(위투, 아래 사진)’가 972일 세계 최장 탐사 기록을 세우고 활동을 마쳤다. 중국 국가방위과 ... 남게된다. 중국 정부는 2017년 달에 새로운 탐사선을 보내 암석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돌아오는 등 탐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09
- 조정신경망(Task-positive Network)영역은 밝게, 가만히 공상을 하거나 과거를 회상하는 등 휴식 중 반응이 나타나는 디폴트 신경망(Tasknegative Network) 영역은 어둡게 표현됐죠.이 뇌 지도가 완벽한 것만은 아닙니다. 한계도 있죠. 단일뉴런 또는 소그룹 뉴런의 활성까지는 알 수 없다는 겁니다. 이게 무슨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09
- 고안하며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전세계가 이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월등한 광합성 속도다. 생물로는 따라 잡을 수 없을 만큼 이산화탄소 전환 속도가 빠르다. 또 인공광합성은 탄소가 1개 또는 2개인 탄소화합물을 생성해 활용범위가 넓다. 일산화탄소, 에탄올, 개미산과 같이 탄소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09
- 있는 사람이라면 치아가 얼마나 발달했는지, 혹은 성장판이 어느 정도 닫혔는지 등 ‘뼈의 성장 정도’를 이용해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성장이 멈추고 나면 상황이 180° 달라진다. 이젠 뼈가 얼마나 닳고 고생을 했는지, 즉 ‘뼈의 퇴행 정도’를 보고 나이를 짐작해야 한다.문제는 몸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