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UFO목격담 연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받기 전에 구해줬음.1104년울파트는 스위스 상공에서 타오르는 불꽃이나 날아다니는 불
덩어리
가 목겼됐다고 기록.1463년허먼 쉐덴의 의해 빛에 쌓인 미지의 비행물체가 그려짐.중세동안 수차례 유럽 상공에서 목격된 UFO의 전형으로 20세기에 보고된 시가 형태의 UFO닮았음.1561년4월4일 독일 뉴렘베르그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지금보다 더 습기가 많았다고 한다. 이런 조건에서 생성된 바니시는 둥글고 울퉁불퉁한
덩어리
형태, 즉 포도송이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와 대조적으로 지난 1만1천년 동안 건조한 기후조건 아래에서 형성된 바니시는 납작한 판상구조로 돼있다.물리화학적 분석 통한 절대연대 측정따라서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발표했다. 즉 빛의 에너지가 연속적인 값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 양자’라는
덩어리
의 정수배가 된다는 것이다(과학동아 10월호 특집 ‘양자역학’ 참조). 플랑크는 양자론에 대한 연구로 1918년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금속에 빛을 비추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인 광전효과에는 빛을 ... ...
1. 신기술이 제조해 온 신기록의 변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새로운 형태가 등장했다. 가장자리 나무를 속이 빈 플라스틱 외형으로 바꿨다. 그리고 납
덩어리
들을 가장자리 부분에 늘어 세움으로써 질량 대부분을 가장자리에 분포시켰다. 이것은 가장자리에 대부분의 질량이 분포하게 되면 원반이 날아갈 때 안정된 상태를 유지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기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헬륨 원자들은 서로 같은 상태에 있으려고 하면서 거대한 헬륨
덩어리
를 만든다. 이
덩어리
는 점성 없이 흘러갈 수 있다. 이러한 헬륨 액체에 유리관을 꽂아 놓으면 헬륨 액체는 유리관을 타고 솟아오를 수 있다. 이것을 초유체 현상이라고 한다(그림1).수은과 같은 물질의 온도가 매우 낮아지면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발달했을 때 ‘다른’ 처리과정을 거친다. 배반포기의 배아(embryo) 안쪽에 있는 세포
덩어리
를 떼어내고 여기에 특정 배양액을 처리한다. 그 결과 신체를 이루는 2백10여개의 기관으로 자랄 수 있는 줄기세포(간세포, stem cell)가 만들어진다. 인간배아복제는 자궁에 착상시켜 복제인간을 탄생시키는 ... ...
에릭슨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살고 있는 사람수인 1천만명보다 적은 약 8백90만명인데, 한반도에 두배가 넘는 넓은 땅
덩어리
에 흩어져 살다보니 통신이 삶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밖에 없었다.스웨덴 사람들은 전화가 처음 등장하자 이를 그것을 애용했다. 1900년 스톡홀름에는 런던이나 베를린보다 더 많은 전화가 있었다. 나중엔 ... ...
1. 달러
덩어리
가속기 왜 필요했나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가속기 속에서 엄청난 속도를 얻은 전자와 양성자는 물질 깊숙한 곳으로 파고 들어간다.이 과정을 통해 우주를 이루는 근본입자들이 발견되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밝혀질 것이다.1994년 미국 클린턴 정부는 부시 정부가 승인했던 1백억달러(약 12조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될, 총 40조eV 에너지의 ... ...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못한다. 사람이 움직이게끔 해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그야말로 고철
덩어리
에 불과하다. 그럼 이 기계를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 컴퓨터는 사람이 하는 말을 알아듣지 못한다. 그럼 어떻게 일을 시켜야하나?컴퓨터에게도 기계어라는 언어가 있다. 기계들만 알아듣는 언어를 ... ...
원자와 분자로 글씨를 쓴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달라진다.그래서 지름이 수nm에서 수십nm인 원자
덩어리
,원자로 만든 선 등을 양자점,양자
덩어리
,양자관이라고 부른다.이렇게 나노크기로 물질이 작아지면서 실제로 보는 것이 어려워져 연구를 진행하기 어렵다.그런데 최근에 개발된 원자크기까지 볼 수 있는 STM이라는 장치를 이용하면 각각의 원자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