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우주왕복선은 모두 다섯 대가 되었답니다.우주왕복선은 우주개발의 장본인으로 허블우주
망원경
이 오래도록 활동할 수 있게 만들었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만들 수 있게 했답니다. 하지만 이런 우주왕복선도 아픔이 있었어요. 1986년에 발사했던 챌린저호는 발사 직후 공중 폭발했으며, 2003년 2월에는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천체
망원경
으로 보면 토성의 고리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지구에서 보면 고리가 두 개처럼 보이고 그 사이에 까만 틈이 있답니다. 이 틈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카시니가 발견했습니다. 최근 토성 탐사선의 이름을 카시니라고 지은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는 두 개가 아니라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TEM) 등 60억원대에 이르는 첨단 과학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렌즈 지름 200mm 굴절 천체
망원경
이 설치된 천문대까지 마련돼 있어 웬만한 대학 연구동 못지않다. 대학처럼 학점 따고 졸업 논문 쓴다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에겐 수능 시험의 압박이 없다. 특기자 전형이나 수시 모집으로 ... ...
별들의 고향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두껍고 먼지가 많은 구름에 흡수된다. 그러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적외선우주
망원경
‘스피처’는 구름과 먼지를 뚫고 나오는 적외선을 볼 수 있어 아기별들의 생생한 현장을 엿볼 수 있다.어린 별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하나는 붉은 색으로 보이는 부분에 모여 있다. 다른 그룹은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용해 시리우스의 위치를 찾아야 한다. 별의 위치를 찾았으면 중간 배율 정도로 해서
망원경
을 들여다보자. 주의 깊게 살펴보면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희미하지만 하얗고 동그란 작은 점이 보일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시리우스다. 대낮에도 별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이 한편으로 참 신기하지 않은가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궁금증 셋!우주 생명체 발견은 시간문제다?!우주 생명체 발견 우주 탐사선 적외선우주
망원경
이 생명체가 있을만한 행성을 찾는다면 우주탐사선은 더 적극적으로 그 임무를 수행한다. 주로 물을 찾는 역할을 하는데 생명체가 살아남기 위한 조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물이기 때문이다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별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11월부터 12월 사이가 금성 관측의 최적기라 하겠다.천체
망원경
으로 보는 금성의 모습은 11월 4일 최대이각일 때 반달 모양으로 보이며, 이 시점을 지나면서 점차 크기도 커지고 초승달 모양으로 바뀐다. 이런 금성의 위상변화는 극적이어서 1주일 간격으로 계속 관측해보면 ... ...
10번째 행성에 위성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바탕으로 이 행성이 위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위성 발견은 지난 9월 10일 10m 천체
망원경
을 이용해 이뤄졌다. 이 결과는 ‘천체물리학 저널’ 10월호에 발표됐다.이번에 발견된 위성은 공식 명칭이 붙을 때까지 ‘가브리엘’(Gabrielle)이라고 불린다. 제나와 가브리엘이란 이름은 미국의 TV 시리즈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연구진이 300명에 달하는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센터의 김동우 박사는 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
으로 은하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137억년 전 우주는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탄생했다. 이후 수 억년 만에 은하들이 태어났다고 한다. 은하 안에 있던 수천억 개의 별들도 진화를 거듭했다. 태양은 5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전파에만 만족하지 못하고 자외선까지 넘보고 있다. 자외선을 관측하는 갈렉스(GALEX)
망원경
으로 우주 탄생 초기에 은하와 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볼 생각이다. 앞으로 1년 동안은 자외선만 바라볼 작정이다.물론 틈틈이 밀리미터파도 챙기면서. 은하가 서너개 뭉쳐 있는 ‘힉슨 그룹’에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