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묻는 사람이 더 이상 없기를 바란다.다른 나라들은 돈이 남아돌아서 경쟁적으로 커다란
망원경
을 세우겠는가? 국민의 일부가 굶어 죽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국가들도 있다.‘새로운’ 프로젝트로 스트레스만 쌓여가는 필자가 어느 날 마침내 다음과 같이 호통을 치는 ... ...
이 행성에선 태양이 3개 뜬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름을 따 ‘타투인 행성’이라 명명된 이 행성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있는 케크
망원경
으로 발견됐으며 표면온도가 1000℃에 달해 생명체가 살지는 못한다.이 행성은 3중성의 중앙에 있는 노란 별을 약 800만km 떨어진 곳에서 80시간에 한 번씩 돌고 있다. 나머지 2개의 별은 156일 주기로 서로를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비행 3일째 우주정거장과 만나고 11일째 분리된다. 이와 함께 2008년 수명이 다하는 허블
망원경
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일도 있다.이번에 디스커버리의 가장 큰 숙제는 우주 공간에서 우주선을 수리하는 기술을 시험하는 것이다. 컬럼비아 같은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장래에 생길지 모르는 우주선 ... ...
밤하늘에 쏟아지는 우주폭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어떤 모습일까.칠레 아타카마에 건설된 유럽남반구천문대(ESO)에서 구경 8.2m짜리 거대
망원경
(VLT)으로 찍은 사진을 보라. 전체 모습이 영락없이 거대한 폭포를 연상시키지 않는가. 노란 물줄기는 폭포수가 거침없이 떨어지는 듯하고 그 주위로 푸른 빛이 감도는 영역은 물보라가 사방으로 흩어지는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타자기에 일부 실용화가 시도되고 있다Edwin Powel Hubble(1889∼1953) 미국의 천문학자 1백인치
망원경
으로 안드로메다 성운중의 세페이드를 발견, 그 거리가 90만 광년이며, 따라서 이 소용돌이 성운이 은하 밖에 있음을 입증했다 1929년 '20세기 천문학의 최대의 발견'이라 칭해지는 '허블의 법칙' 즉 거리와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연주시차가 아니었다.18세기 전반 영국 천문학자 브래들리는 구경 15cm의 소형 아마추어
망원경
으로 과거 훅이 했던 관측을 반복했다. 그는 비슷한 결과를 얻었지만 그 값이 연주시차로 예측되는 결과와 방향이 다르고 단기간에 관측한 것에 비해 너무 크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 ...
우주에 일렁이는 파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어떤 모습일까.지난 5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사진을 보자. 적외선 우주
망원경
‘스피처’가 찍은 이 사진은 거대한 파도가 출렁이는 것 같은 장면을 담고 있다.붉은 파도가 장관인 이 현장은 지구에서 용골자리 방향으로 1만광년이나 떨어진 ‘용골성운’(Carina Nebula)의 남쪽이다.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년), 64화음(2003년) 그리고 지난해 MP3까지 평균 1년에 2배씩 화음수를 늘렸다.‘시력’은 ‘
망원경
’ 급이 됐다. 2000년 30만화소에서 130만(2003년), 300만(2004년) 그리고 700만화소(2005년) 카메라폰이 등장했다. 이미지센서 역시 평균 1년에 2배씩 화소수가 늘어난 셈. 이미지센서 개발 기업인 엠텍비젼의 ... ...
오리온 성운의 화난 아기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성운에서 수백 개의 별이 강력한 X선을 쏟아내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었다. 연구팀은 X선
망원경
을 13일 동안 노출해 이 사진을 찍었다.태어난지 얼마 안된 젊은 별은 성숙한 별보다 훨씬 더 강한 X선을 방출한다. 우리 태양의 가장 큰 폭발에서 나오는 X선보다 훨씬 더 강한 규모다.젊은 별의 표면에서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생긴 함몰지(陷沒地)를 이용하여 세계 최대인 지름 300m의 고정구면경(固定球面鏡 ; 전파
망원경
)이 설치되어 있다 1799~1875 독일의 천문학자 1817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 F W 베셀의 천문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0년 졸업과 동시에 그의 조수가 되었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원거리 해양에 직접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