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의 천적 자외선과학동아 l2003년 11호
- 흡수해 물체의 상을 망막에 맺히게 한다.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은 파장이 4백-7백nm(나노미터, 1nm=${10}^{-9}$m)인 가시광선이다. 이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IR)과 짧은 자외선(UV)은 보이지 않는다.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높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UV-B, UV-C의 세가지 종류가 있다. UV-C는 파장이 .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투명한 포도당액으로 대체,혈관 내부를 투명하게 만들었다. 봉한관은 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하의 가늘고 연약하며 투명한 조직으로 혈관 속에서 쉽게 발견하기 힘들다. 그런데 혈액을 포도당으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혈전(혈관안에서 피가 엉겨 굳은 덩어리)이 봉한관에 엉겨 ...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천1백만 미국인들의 생각을 바꾸려는 것이다. 그런데 미터 프로그램의 대변인조차 키가 미터로 얼마인지 물었을 때 대답을 못했다고.시체꽃 재배Corpse-Flower Grower시체 썩는 냄새를 고대하는 과학자들이 있다. 열대우림지역에서 자라는 아모르포팔러스 타이타늄라는 식물은 꽃송이의 키가 몇m에 ...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녹아있을 수 있는 비결이다. 농도가 높아지면 마이셀은 서로 뭉쳐 약 1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6m) 이상의 지름을 갖는 구형체를 형성한다. 이 구형체는 수용액안에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일 젤리와 같은 형상으로 존재한다.실을 길게 늘려 뽑는 과정은 구형체에 힘을 가해 실크단백질 주위의 ...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과학동아 l2003년 10호
- cell)라 한다. 전기적 시냅스와 달리 화학적 시냅스에는 두 세포 사이에 20-50nm(나노미터, 1nm=${10}^{-9}$m) 정도의 틈이 있는데, 이를 시냅스 틈(synaptic cleft)이라고 한다. 이 틈으로 신경전달물질이 흘러 나와 머문다.신경전달물질이 합성되고 보관되는 장소는 시냅스전 세포의 시냅스 말단(synaptic term ...
-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쓰고도 남을 정도로 막대하다.일반적으로 태양광 속의 에너지는 파장이 7백-9백20nm(나노미터, 1nm=${10}^{-9}$m)인 적외선이 23.5%, 가시광선(4백-7백nm)이 44.4%, 자외선(3백15-4백nm)이 2.7%를 차지한다. 따라서 태양빛을 이용해 물을 분해하려면 가장 널리 분포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것이 이상적임을 알 수 .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있어 분자블록으로 나눌 수 없다.하지만 유기물은 이를 구성하는 분자들 자체가 수nm(나노미터) 크기다. 또한 유기물은 원하는 크기로 쉽게 설계할 수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이렇게 작은 유기분자가 정보를 처리하는 트랜지스터의 기본특성인 전류의 on/off를 구현하고 신호의 증폭 기능도 갖고 있는 ...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인공강우는 구체적으로 어떤 원리로 가능한 것일까. 지름이 평균 20μm(마이크로미터, 1μm =10-6m)인 구름입자가 약 2천μm(=2mm)의 빗방울이나 1-10cm의 눈송이로 되려면 1백만배 이상 성장해야 한다. 이때 순수한 수증기만으로 빗방울이나 눈송이가 되려면 습도가 400% 이상이어야 한다. 구름이 비나 눈이 ...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지나간 후 물의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머리카락 굵기 정도인 50-1백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의 작은 입자를 물에 뿌렸다. 그리고 이 입자가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흔적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물에 식용색소와 지시약인 티몰블루를 넣어서 색을 냈다.비디오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 ...
- 5 햇빛 받으면 전기 발생시키는 염료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많은 양의 유기염료를 갖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유기물질은 수십-수백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두께를 만들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고체형 무기물질과는 달리 분자형태(분자의 크기는 대개 수nm, 1nm=${10}^{-9}$m)를 갖기 때문에 분자를 차곡차곡 쌓아 두꺼운 필름을 만들기가 무척 어렵다. 때문에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