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6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자로 배열된 세계서 구현된 '슈뢰딩거 고양이'동아사이언스 l2025.08.17
- 점에서 영상 크기가 매우 작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루비듐 원자의 반지름은 248pm(피코미터, 1pm=1조분의 1m)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개발한 시스템은 최대 2024개의 원자로 작동할 수 있다”며 “향후 수천 개의 원자를 더 추가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103 ... ...
- “빛으로 초음파 본다”…생쥐 대퇴부 혈관 촬영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5.08.13
- 줄여 감도를 높였다. 연구진은 단일 시트 역전파 기법을 적용해 가로 158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m), 세로 92μm의 해상도로 생쥐 대퇴부 혈관과 닭 배아 융모막 혈관을 촬영했다. 그 결과 해부 이미지와 높은 일치도를 확인했다. 지방조직 아래 혈관도 명확히 구분돼 뇌혈관·종양 진단, 약물 반응 ... ...
- 꿈의 소재 '맥신'에 양면특성 부여…슈퍼커패시터와 촉매 응용동아사이언스 l2025.08.12
- 신화에서 두 얼굴을 가진 신이다. 연구팀은 고온·고압에서 맥신과 니켈을 결합해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수준으로 작은 입자인 양자점을 합성했다. 한쪽 면은 니켈 결정이, 다른 면은 맥신 결정이 결합된 비대칭 야누스 구조가 확인됐다. 개발된 니켈-맥신 야누스 양자점을 슈퍼커패시터 전극에 ... ...
- 착용하면 망막 검사 끝…OLED 콘택트렌즈 첫 구현동아사이언스 l2025.08.12
- 연구팀이 개발한 콘택트렌즈에는 머리카락보다 6~8배 얇은 두께인 약 12.5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미터)의 초박막 유연 OLED가 내장돼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와 제어 칩도 함께 들어 있어 렌즈 착용만으로도 망막 기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433MHz 공진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전력 ... ...
- 빛 자유자재 조종하는 메타렌즈, 공장에서 바로 찍어낸다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실제로 지름 5밀리미터(mm) 크기의 메타렌즈를 만들어 고화질 이미지를 찍는 데 성공했다. 얇고 효율이 높아 반사 방지나 오염 방지 코팅을 입히기도 쉽다. 노준석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스마트폰 카메라는 더 얇아지고 ... ...
- [사이언스게시판] 과천과학관-표준연, ‘단위·양자기술’ 체험 특별전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8.08
- 앨리스- 큐빗(Cubit)에서 큐비트(Qubit)까지' 포스터. 과기정통부 제공 ■ 국립과천과학관은 미터협약 150주년 및 양자역학 100주년을 맞아 오는 12일부터 두 달간 첨단기술관에서 특별전 '단위와 양자 나라의 앨리스- 큐빗(Cubit)에서 큐비트(Qubit)까지'를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과 공동 개최한다. 이번 ... ...
- “1인 가구가 전력, 온수 더 쓴다”동아사이언스 l2025.08.07
- 심지후 성균관대 박사후연구원. 성균관대 제공. 1인 가구가 다인 가구(2~4인) 대비 제곱미터(㎡)당 난방에너지와 전력 등을 더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건물 설계 및 설비 기준이 여전히 다인가구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구조적 비효율을 낳고 있다는 분석이다. 성균관대는 송두삼 ... ...
- 1300℃ 화염에 노출돼도 쉽게 꺼지는 플라스틱 소재동아사이언스 l2025.08.05
- 소재로 직접 활용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 화재 조건을 모사한 '콘-칼로리미터 실험'에서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에 불이 붙지 않았다. 1300℃의 화염에 노출해 불을 붙여도 화염을 제거하면 3초 이내에 바로 불이 꺼졌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난연제를 쓰지 않고도 초소량의 ... ...
- 좌우로 빛 분리하는 광학 기술…디스플레이 화질 향상동아사이언스 l2025.08.04
-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두께의 평면 구조 위에서 빛의 방향성을 조절하는 광학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했다고 4일 밝혔다. 스마트폰 화면이나 3차원 영화관 ... ...
- 집·자동차에서 흡입하는 미세플라스틱 하루에 수천개동아사이언스 l2025.07.31
- 중 미세 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한 결과 우리가 매일 폐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1~10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 플라스틱을 약 6만8000개 흡입한다는 연구를 3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지금껏 여러 미세플라스틱 연구를 통해 전 세계 다양한 실내외 환경에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