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591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Schwinger limit)'라는 이론적 기준도 있다. 이때 필요한 레이저의 세기(intensity)는 제곱센티
미터
(㎠) 당 10^29W(와트, 에너지의 단위)에 달한다. 단순히 레이저 출력만 높여서는 지구에서 이정도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슈빙거 한계에 도달하려면 전자와 레이저 펄스가 충돌하는 순간에 에너지를 ... ...
2월 과학기술인상에 이건재…면발광 마이크로LED 마스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진피층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피부 탄력과 재생에 효과적인 630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m) 파장의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 마이크로 LED 수천 개를 활용했다. 빛을 더욱 고르게 확산시키는 ‘광확산제’를 적용해 면발광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제품 대비 피부미용 효과를 3배 ... ...
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먼저 사파이어 기판 위에서 성장시킨 이황화몰리브덴의 거울 쌍정 경계를 수십 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m)까지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구현한 경계가 전자를 수송하는 역할을 하도록 소자를 설계하고 전자의 이동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이황화몰리브덴의 거울 쌍정 경계는 극저온에서 ... ...
서울 세계불꽃축제 후 초미세먼지 최대 32배 폭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미세먼지 농도가 이벤트 직후 약 32배인 320㎍/㎥까지 치솟았다. PM2.5는 지름 2.5㎛(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m) 이하의 초미세먼지다. 초미세먼지 농도는 이후 3시간이 지나서야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부산 불꽃축제에서도 유사한 양상이 나타났다. 불꽃놀이 전 13~33㎍/㎥였던 PM2.5 농도는 이벤트 ... ...
스마트폰 '카툭튀' 없어질까…평면광학 한계 극복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빛을 제어하는 기술로 초소형 광학 장치 구현이 가능하다. 메타표면은 수억 개의 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m) 수준의 구조체를 배열해 렌즈와 홀로그램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2차원(2D) 평면광학 소자다. 메타표면에서 빛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 ... ...
백금 사용량 10분의1 줄여 '수전해 셀'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적용했다. 분석 결과 촉매에 백금 사용량을 줄였음에도 기존 촉매를 능가해 제곱센티
미터
당 3.38A(암페어)의 높은 성능을 기록했다. 제1 저자인 김성빈 연구교수는 "이번 연구로 수전해 셀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새롭게 개발된 자가조립원조 귀금속 동적배치 ... ...
야생 멧돼지 도심 출몰 소동…드론이 해결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센티
미터
)에 이르는 긴 발톱과 6.8MPa(메가파스칼,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1MPa는 제곱
미터
당 1N의 힘)의 무는 힘을 가졌다. 강력한 신체적 특성을 가진 불곰은 소처럼 큰 먹이도 손쉽게 제압해 먹이로 삼는다. 마을 사람들은 산탄총을 사용해 곰을 쫓아내곤 했다. 곰을 쫓아내는 임무를 맡은 ... ...
비만치료제, 효과 크지만 '요요 현상' 우려도…"건강한 생활 습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6
억제하는 방식으로 체중 감량을 돕는다. 위고비는 체질량지수(BMI)가 1제곱
미터
(㎡)당 30킬로그램(㎏)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1㎡당 27㎏이상 및 30㎏ 미만이면서 고혈압, 당뇨병 등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평균 15%의 체중 감량 효과가 보고됐다. 마운자로는 최대 22.5%까지 ... ...
우리가 몰랐던 난자와 정자의 창조적 팀플레이
2025.01.25
자궁 경부에 도착한 정자는 이제 길을 잃어선 안된다. 정자의 길이가 50µm(마이크로
미터
·1µm는 100만 분의 1m) 자궁 경부에서 난자가 있는 나팔관 끝까지의 거리는 18cm이다. 정자를 키가 170cm인 사람으로 치면 6km를 쉬지 않고 달려야 하는 셈이다. 이때 정자의 방향을 잡아 주는 것이 바로 난자 주변의 ... ...
전량 수입 의존 투과전자현미경 국내 상용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순 매출액의 5% 제공을 내용으로 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나노
미터
(nm) 수준의 분해능을 갖고 있는 TEM은 시료 내부 구조의 형태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유일한 분석과학 연구 장비다. 최첨단 연구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하는 장비이나 100%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전 세계 TEM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