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입자가 쉽게 녹는다. 연구팀은 솔-젤(sol–gel) 공정과 열 환원 과정을 도입해 수 나노
미터
크기의 주석 입자를 하드카본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데 성공했다. 주석 나노입자는 낮은 온도에서 고결정질 카본이 형성되도록 만들었고 충·방전 과정에서는 리튬 이온과 반응해 주석-산소 결합을 ... ...
'작은 가속기도 맵다'…수 센티
미터
로 초강력 빔 생성하는 소형 입자가속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Collider, FCC)'의 세부 계획을 발표했다. FCC는 LHC와 비슷하게 원형이지만 둘레가 91킬로
미터
로 LHC보다 3배 이상 큰 규모로 설계됐다. CERN은 FCC 세부 계획을 2026년 발표될 CERN의 장기 전략 검토에 참고 자료로 반영할 예정이다. - doi.org/10.1103/PhysRevLett.133.255001 - doi.org/10.1038/s41586-025-08772 ... ...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 5년뒤 포화…고준위방폐장 부지 선정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연구가 사용후핵연료를 '공학적 방벽'으로 감싸고 수백
미터
지하의 안정적인 암반을 '자연 방벽'으로 둘러싸 수십만년 이상 저장하는 심층 지하 처분장이다. 대다수 국가들이 지하 처분장을 궁극적인 처분 방법으로 고려하고 있다. 과학기술적 근거만으로는 부지 ... ...
중성미자 질량, 수사망 좁혔다…"전자 질량 100만분의 1도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반중성미자의 질량을 직접 감지하긴 어렵다. 대신 연구팀은 23
미터
길이의 초고진공 밀폐 검출기에서 전자의 에너지를 측정해 반중성미자의 질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한다. 검출기 한쪽 끝에서 삼중수소가 초당 1000억번 붕괴하면 초당 약 1개의 전자만 반대편 끝에 도달한다. ... ...
그래핀으로 빛 세기 따라 투명도 변하는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대량 생산과 상용화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ETRI 연구팀이 개발한 두께 50마이크로
미터
의 그래핀·고분자 광경화 복합 소재. ETRI 제공 개발된 콜로이드 조성물로 만든 그래핀 필름은 강한 빛을 감지하고 차단할 수 있어 눈이나 장비를 보호하는 광학센서 및 보호필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AI ... ...
"위성으로 본 공기, 부자 동네가 더 오염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차이가 크다. 지상 측정소의 수가 제한적이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 그간 수 킬로
미터
(km) 단위의 넓은 지역 평균값만 추정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트로포미(TROPOMI) 위성에서 수집한 이산화질소 데이터와 교통 관련 토지이용 정보를 결합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 ...
DNA까지 침투…나노플라스틱 생성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표현으로 사용된다. 학계에선 통상 플라스틱 입자가 수십에서 수백 나노
미터
(nm) 크기일 때 나노플라스틱이라 부른다. 현미경으로도 관찰이 어려울 정도로 작은 만큼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 내부는 물론 DNA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 흔히 발견돠는 플라스틱에서 나노플라스틱이 어떻게 ... ...
서울대병원, 뇌암 진단˙치료 동시 가능한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연구팀은 고온열분해 제조공법을 통해 기존 산화철에 망간과 아연을 도핑해 7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자성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기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켰다. 개발한 나노물질은 치료효과 측면에서 기존 ... ...
500만 VS 6.5만…집회인원 왜 극단으로 갈렸나
과학동아
l
2025.04.05
최근 집회 추세에 따라 단위 평방
미터
당 인원을 3~4명으로 제안했다. 이에 단위 평방
미터
당 들어찬 사람은 3.5명이라고 가정했다. 따라서 '일정 시점 인원'은 대략 5만 400명이었다. 다음은 회전율에 해당하는 집회 체류 시간을 추정했다. 이를 위해 현장에 있던 집회 참가자 100인의 체류 시간을 일일이 ... ...
올해의 ETRI 연구자상에 엄용성 책임연구원…마이크로 LED 공정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연구자상을 포함한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 LED는 크기가 수십 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m)인 LED를 말한다. 고해상도·고휘도·저전력 특성이 강점이지만 높은 생산 비용이 상용화의 걸림돌이다. 엄 책임연구원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공정에서 전사와 접합을 동시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