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5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결정면 따라 다른 차세대 양자점 성질 최초 규명동아사이언스 l2024.12.17
-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 저널'에 공개됐다. 양자점은 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결정으로 광학적 특성이 뛰어나고 제조가 쉬워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 등에 활용되는 소재다. InP 양자점은 기존 카드뮴(Cd), 납(Pb) 양자점과 달리 독성이 없는 친환경 차세대 ... ...
- 이산화탄소, 이차전지 핵심인 '고품질 탄소' 소재로 전환동아사이언스 l2024.12.16
- 나노탄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나노탄소는 탄소(C) 원자가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 구조로 배열된 소재다. 연구결과는 10월 국제학술지 'ACS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 인터페이시스'와 11월 국제학술지 '에너지 & 퓨얼스'에 공개됐다.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 ...
- 첨단산업 필수 희토류 회수하는 고성능 흡착 소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11
- 넓고 흡착 성능이 우수한 물질인 금속유기구조체(MOF)가 주목받는다. 기존 MOF는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분말 형태로 합성돼 대규모 회수 공정에서 분리·제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MOF를 대형화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복잡하고 MOF 고유 특성이 손상되기 쉬워 투입 소재 대비 회수 ... ...
- 지름 10m 불과한 초소형 소행성까지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24.12.10
- 지름이 수 킬로미터(km)에 이르는 소행성은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매우 낮다. 수십 미터 크기로 파악이 어려운 작은 소행성은 소행성대를 벗어나 지구에 근접하기 훨씬 쉬운 것으로 알려졌다. 크기가 작은 소행성을 관측할 수 있다면 지구로 접근할 가능성이 높은 소행성을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다. ... ...
- 초미세먼지보다 무서운 '응축성 미세먼지' 경고음동아사이언스 l2024.12.09
- 찬 공기와 만나 응축돼 입자가 되는 먼지 중 직경이 초미세먼지와 유사한 2.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겨울철에는 수백도에 달하는 굴뚝 내부와 굴뚝 외부의 온도차가 많이 나기 때문에 응축성 미세먼지가 다른 계절에 비해 더 발생한다. 응축성 미세먼지를 ... ...
- 눈물은 어떻게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12.07
- 제공 우리 눈은 약 3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두께의 눈물 막이 표면을 늘 덮고 있습니다. 눈물을 이루는 물은 눈을 촉촉하게 유지해 줘요. 눈물 속 단백질과 나트륨 이온 등의 전해질은 눈에 영양분을 전달하고 노폐물을 배출시킵니다. 눈물은 점액층과 수성층, 지방층 3개의 층으로 나눠져 ... ...
- 사용후핵연료 처분 안전성 보여주는 '자연유사연구관' 개관동아사이언스 l2024.12.05
- 복합 공간 마련을 추진했다. 이렇게 건립된 자연유사연구관은 지상 2층 연면적 300m2(제곱미터) 규모다. 1층은 전시관으로 심층처분 환경과 유사한 지하에서 발견된 처분용기 재료, 벤토나이트 완충재, 우라늄 관련 연구 재료 등 다양한 시료들이 전시됐다. 동영상을 통해 심층처분의 안전성을 알기 ... ...
- 2차원 소재와 강유전체 접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세계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04
- 결과를 얻었다. HZO 기반의 강유전체를 상용화하는 데 가장 큰 장벽은 각각의 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의 도메인들이 무질서한 방향으로 분포해 소자 간 성능의 불균일성이 발생하고 신뢰성이 낮아진다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황화 텅스텐의 격자 상수(원자가 ... ...
- 물에 떠 있는 미세플라스틱, 수상 드론으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2024.12.01
- 미세 플라스틱을 톱니 사이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원리를 활용해 1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에서 최대 4mm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와 밀도의 미세 플라스틱을 걸러내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기존의 미세플라스틱 필터링 기술이 크기와 모양의 한계로 인해 효과적으로 ... ...
- [사이언스영상] 1초도 안돼 익는 '나노스파게티' 어디에 쓸까SEIZE l2024.11.30
-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파게티라고 할 수 있다. 나노 스파게티의 지름은 372nm(나노미터, 10억분의 1m)다. 연구팀은 '전기 방사(electrospinning)'라는 방법으로 나노 스파게티를 만들었다. 전기 방사는 밀가루를 섞은 액체를 실로 끌어당길 때 전기적 전하로 끌어당기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밀가루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