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대체 불가! 허블 우주망원경의 업적 Best5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광년 떨어진 남쪽물고기자리의 밝은 별 ‘포말하우트’의 먼지 원반 속에서 초기 행성을 발견했어요. 이 외계 행성의 이름은 ‘포말하우트 b’로, 목성 질량의 세 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답니다. 5 수만 장의 우주 사진, 허블이 찍어드림.허블 우주망원경이 전 세계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흐르는 물이 침식해 동굴의 폭이 점점 커지고 넓어져요. 이렇게 만들어진 동굴의 입구가 발견되면 석회동굴이 우리 앞에 나타나는 것이죠. 우리 발밑에 아직 드러나지 않은 동굴이 잠자고 있을 수도 있는 거예요.석회동굴 여기저기에는 신기하게 생긴 돌덩어리들이 자라고 있어요. 이들을 ... ...
- [이슈] 눈사람도 별모양도 무엇이 똑같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꾸며요. 그런데 위 그림과 같은 장식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대칭’을 발견할 수 있다는 거예요. 기준이 되는 점이나 선을 사이에 두고 같은 거리에서 마주 보고 있는 걸 대칭이라고 해요. 대칭의 종류에는 ‘선대칭’과 ‘점대칭’이 있어요. 오른쪽 그림처럼 중심이 되는 선을 따라서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우리가 최고의 댄싱팀! 찌르레기 춤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충돌하지 않는지 연구하고 관찰했어요. 그 결과 찌르레기들이 지키고 있는 규칙을 발견할 수 있었어요. 먼저, 찌르레기 무리에는 리더가 없어요. 보통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 하나의 작품을 완성해야 할 때는 리더가 있기 마련이죠. 참여하는 모든 사람은 리더가 이끄는 대로 완벽하게 따라야 ... ...
- [과학 뉴스] 외계 기술 문명 찾는다! 갈릴레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로키앙 대표 등이 참여하고 있어요.갈릴레오 프로젝트가 시작된 계기 중 하나는 2017년 발견된 성간 천체 ‘오무아무아’예요. 태양계 바깥에서 온 성간 천체로는 최초로 관측된 오무아무아는 포물선 궤도를 돌지 않는 등 혜성과 소행성 같은 일반 천체와 완전히 다른 특성을 보였지요. 이런 이유로 ... ...
- [가상 인터뷰] 반딧불이가 동시에 깜빡깜빡하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한 반딧불이가 빛을 내며 다른 반딧불이를 만나면, 다른 반딧불이도 빛을 낸다는 걸 발견했지. 반딧불이끼리 의사소통을 하며 빛을 낸다는 뜻이야. 펠레그 교수는 “개체 사이 떨어진 거리에 따라 각각이 어떻게 달리 반응하는지 더 알아봐야 한다”고 말했어 ... ...
- [헷갈린 과학] 똑같은 거 아녔어? 요가 VS 필라테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모헨조다로에서 약 5000년 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요가 자세를 한 ‘시바신상’이 발견됐기 때문이죠. 요가는 매트 위에서 자기 몸의 무게를 견디며 하는 운동이에요. 여러 가지 동작을 하며 명상을 함께 하는 것이 특징이죠. 신체 강화뿐 아니라 스트레스와 긴장, 불안을 해소하며, 긍정적인 ... ...
- [이달의 과학사] 2006년 8월 24일 명왕성, 행성에서 탈락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2001년부터 명왕성 궤도 밖에서 ‘에리스’, ‘세드나’, ‘하우메아’ 등 많은 천체를 발견했죠. 이 천체들은 명왕성과 비슷한 특징을 갖고 있었어요. 에리스의 경우 크기는 명왕성과 비슷하고 질량은 오히려 크죠. 그러면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인정해야 할까요?이전까지 국제천문연맹(IAU)이 ... ...
- 모든 길을 한 번씩만 거쳐서 이동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있다면, 우리는 선을 한 번씩만 지나 처음 출발했던 점으로 돌아올 수 있지요.오일러의 발견은 많은 수학자의 관심을 받았어요. 풀기 어려워 보이는 문제를 점과 선으로 단순하게 바꿔 금방 해결해주니까요. 이처럼 점과 선을 이용해 사물 사이의 관계를 알아내는 연구를 ‘그래프 이론’이라고도 ... ...
- [특집] 지구가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교수는 지난 6월 27일, 밴쿠버 인근 키칠라노 해변에서 입을 벌린 채 익어버린 홍합을 발견했어요. 할리 교수는 “이 지역은 최대 30℃를 넘지 않는 지역이었는데 최근 기온이 급격히 올라 40℃를 육박하자 홍합이 폭염을 견디지 못하고 죽은 것”이라고 말했어요. 한편,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