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그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지구로부터 1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이 현상을 발견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레이 노리스 교수는 “사진 속 두 은하와 소용돌이에 대한 정밀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1849년 9월 26일 ‘파블로프의 개’실험의 파블로프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연구 도중 파블로프는 같은 먹이를 봐도 개마다 흘리는 침의 양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이 궁금증을 해결하고 싶었던 파블로프는 다양한 조건에서 개들이 침을 얼마나 흘리는지 관찰하는 실험을 계획합니다.개는 원래 먹이를 주면 침을 흘리고, 종소리를 들려주면 침을 흘리지 않습니다. ... ...
- [기획] 황색망사먼지, 이렇게 똑똑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먹이를 감지하면 먹이와 가까이 있는 관을 얇고 부드럽게 만들며 확장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황색망사먼지는 관을 치약을 짤 때처럼 수축하면서 체액을 흘려보내는데, 먹이에 가까운 곳에서는 특정한 화학 물질을 분비해 관을 확장시킨다는 겁니다. 반면에 먹이와 먼 부위의 관은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바람으로 조명을 ON! 풍력 에너지타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에너지타운을 만들어 보자! 만들어 보자! 풍력 모터로 마을의 불을 켜다제주도에서 발견한 대형 날개는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풍력 발전기예요. 바람이 셀수록 날개가 더 빨리 돌고, 전기를 더 많이 만들 수 있지요. 이번 메이커에서는 풍력 발전을 이용해 직접 만든 ... ...
- [가상 인터뷰] 고원우는토끼의 식량은 야크 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이곳은 세계의 지붕, 티베트 고원! 친구인 우는토끼 가족에게 식사 초대를 받아서 놀러 왔어. 그런데 냄새가 뭔가 이상해…. 뭐? 저녁 메뉴가 똥 ... 똥을 식량으로 쓰는 거야. 연구팀은 “왜 야크를 많이 키우는 곳에서 고원우는토끼가 많이 발견되는지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얘기했어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16~17세기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10년 목성의 위성 4개를 처음 발견했어요. 그는 목성을 꾸준히 관찰해 4개 위성의 공전주기까지 계산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는 지금과 비교해봐도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정확했답니다.현재까지 알려진 목성과 토성의 위성은 각각 79, 82개로 매우 ... ...
- [헷갈린 과학] 전기에도 종류가 있다? 직류VS교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전기를 발전소에서 가정으로 보내는 송전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크다는 직류의 문제가 발견됩니다. 송전하려면 전압을 높여야 하는데 직류는 전압을 바꾸기 쉽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교류’가 대안으로 떠오르죠. 직류와 교류의 이름을 딴 밴드가 있다? 교류의 영어 줄임말은 ‘AC’예요.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9월 9일 그레이스 호퍼, 최초로 컴퓨터 버그를 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것이죠. 그레이스 호퍼는 스카치테이프로 작업 일지에 나방을 붙이고 ‘버그(벌레)가 발견된 실제 사례’라고 썼어요. 처음으로 컴퓨터 버그를 잡은 순간이었죠. 토머스 에디슨 시절부터 공학자들은 기계의 오작동을 버그라고 불러왔어요. 하지만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프로그램의 오류를 버그라고 ... ...
-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햇볕이 내리쬐는 여름,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다양한 생물종을 관찰해주었어요!탈피 중인 매미부터 늠름한 딱정벌레, 든든한 두꺼비와 도롱뇽, 아름다운 ... | 마스 팀탐사 생물종 도롱뇽발견 위치 경기도 가평군 계곡에서 도롱뇽을 발견했어요! 피부가 촉촉해 보였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온클 꿀팁 대 방출! 지사탐으로 슬기로운 여름방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생물종별로 필요한 정보가 다르거든요. 여기에 색과 무늬가 좀 특이한 종을 발견하거나, 발견한 탐사종의 주변 환경 등 관심이 닿는 대로 찍어서 올려도 됩니다. 대원들의 탐사 기록은 과학자들에게 보내는 러브레터예요. 사진과 기록 안에서 대원들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게 느껴져요.엄 저는 보통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