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d라이브러리
"
수술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3 마음까지 읽는 영상진단기기 PET 등장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환자의 원인 부위를 정확히 영상화하며
수술
전후 평가도 가능하다. 뇌종양 환자에서는
수술
전에 악성 정도를 평가하고 재발된 종양과 방사선 치료에 의한 뇌조직 괴사 감별에 매우 유용하다.또한 PET는 환자뿐 아니라 정상인의 뇌활동도 관측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는 기타 진단법으로는 ... ...
2 인공조직 개발, 피부·근육·뼈도 바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뼈접합재로 개발되고 있다. 뼈가 부러지면 금속판(뼈 접합재)으로 보강하고 완치 후
수술
로서 제거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매우 기대되고 있다.또한 박테리아에 의하여 합성되는 폴리수산화부틸산(상품명 Biopol)도 생체분해성 의료용 재료로 개발되고 있다. 생분해성 봉합사나 ... ...
1 인공장기 인체부속품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담배포장용 필름으로 쓰이는 플라스틱). 우리나라에도 연간 1천여회의 신장
수술
이 진행되고 있고, 인공신장 및 인공심폐기가 국산화되고 있다. ■ 인공심장, 완전 내장형 목표인공심장은 인공신장과 달리 아직 실용화가 크게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 82년 최초로 임상시험에 성공하여 큰 반향을 ... ...
4 로봇 조종, 벽지환자까지 원격
수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원격의료진료가 활성화되면 산간벽지에서도 대도시 종합병원의 고급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의학영상정보시스템(PACS)에서 원격 로봇
수술
까 ... 수 있는 '로보닥 시스템'이 등장한다. 로봇의사는 임기응변에는 약할지 모르나 정형화된
수술
에서의 정확성은 인간에 비해 훨씬 뛰어나다 ... ...
암치료용 양성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따르면 두부암 환자 3명을 이미 치료했다고 발표했다. 이 환자들에게는 외과적인
수술
은 전혀 행하지 않고 단지 ${C}_{12}$원자를 1회당 약 90초간 10회 환부에 쪼이는 처치만 이루어졌다. 일본과 같은 중입자가속기는 사실 너무 비싸 경제적이지 못하며 앙성자를 이용하여도 치료효과는 충분하다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않고 있지만 당신의 마음은 이미 뇌로부터 빠져나와서 기계로 이식되어 있다. 마침내
수술
을 마친 로봇의사가 당신의 몸과 컴퓨터를 연결한 코드를 뽑아버리면 당신의 몸은 경련을 일으키면서 죽음을 맞게 된다. 그러나 당신은 잠시 동안 아득하고 막막한 기분을 경험한다. 그리고 다시 한번 당신은 ...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일주기성을 갖는 개체(일주기 개체)를 서로의 체액이 섞일 수 있도록 등을 맞붙이는
수술
을 한 다음, 일주기성 개체의 다리를 모두 떼어버려 보았다.그랬더니 일주기 개체를 등에 젊어진 무주기 개체는 종일토록 일정한 빛의 조명하에 놓여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주기성 활동을 나타냈다.이 두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칼 랑거의 이름을 딴 것이다. 랑거선은 인체의 모든 부위를
수술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수술
시 인체를 열개선을 따라하게 되면 흉터는 또 하나의 주름살처럼 보일 뿐이다.피부의 노화는 교원질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교원질이 노화되면 수분을 상실한다. 어린이의 조직은 어른보다 더 많은 수분을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유형의 인간은 기계인간의 기능보다 훨씬 더 진화한 것이다. 그래서 각 개인별로 어떻게
수술
할까? 하는 것이 유행하게 된다.1천년 후 기계부품 부착한 인간등장이 시기에는 지구의 기후에 큰 변화에 일어난다고 예견하고 있다. 새로운 빙하기가 도래해 빙산이 남하, 항해하는데 문제가 되며 또한 ... ...
영원한 수수께끼, 성(性)의 기원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유성생식을 한다. 식물의 생식기관은 꽃이다. 꽃의 생식세포는 화분과 알이다. 화분은
수술
끝의 꽃밥 속에 있으며 알은 암술 아래쪽의 씨방 깊숙이 들어 있다. 암술이 화분을 받아들일 태세가 갖추어 지면 암술머리가 점액을 분비한다. 점액은 화분을 잡아두기 쉽게 한다. 화분이 암술머리에 닿으면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