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d라이브러리
"
수술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의료계의 혁명 수혈기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병행하여 이용된다. 그러나 혈액이 오염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따라야 하고
수술
실에서 그 시술이 이루어져야 하는 등 한계가 있다. 내동혈액, 인공혈액 등이 미래형 수혈 형태로현재의 혈액보존 기간인 35일보다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미 1960년대에 탈글리세롤법(deglycerolization)이 ... ...
잎 꽃 뿌리가 하얀 삼백초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2-3cm이고 난상원형의 길이 1.5mm인 소포가 있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
은 6-7개이고 심피는 3-5개로서 털이 없고 열매는 둥글며 종자는 각 실에 대재 1개씩 들어 있다. 체세포 염색체수는 2n=22이다.삼백초라는 이름은 잎 꽃 뿌리가 백색이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또는 윗부분의 잎이 2-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사람들은 개일리듬을 상실하게 된다. 동물을 실험재료로 하여 시교차상핵을 외과적으로
수술
해 잘라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개일리듬을 잃는 결과가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시교차상핵에 상해를 입은 쥐에게 태아 쥐의 시교차상핵을 이식한 결과 개일리듬이 회복되었다.이들 실험은 모두 포유류의 ... ...
개불알꽃으로 더 잘 알려진 복주머니꽃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암술과
수술
이 융합된 예주(蘂柱)가 돌출돼 있고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려져 있으며
수술
은 2개다.큰복주머니꽃을 포함한 복주머니꽃속 식물은 독특한 모양의 아름다운 꽃을 피우므로 관상용 가치가 큰 식물이다. 최근 야생식물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마구 채취돼 매매되고 있다. 실제로 ...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속이나 목의 임파선으로 퍼지고 늑막에도 퍼져서 늑막염 증세를 일으킨다. 치료법은
수술
로 떼어내는 것이 원칙이나 폐암 세포의 진행 정도에 따라 방사선 치료나 약물 요법을 하기도 한다 ... ...
우여곡절 끝에 텅스텐 필라멘트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달려가는 길, 이군은 빙긋이 웃으며 누를 끼쳐 미안하다고 했다. 밤새 8시간에 걸친
수술
은 대성공이었다. 3개월 뒤 이군이 퇴원을 할 무렵, 이번에는 김종엽군이 화학약품의 폭발로 얼굴에 큰 화상을 입어 일주일간 입원하기도 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텅스텐선과 몰리브덴선이 탄생한 것이다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
수술
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수술
이 능동적으로 서로 접근하여 가루받이하는 예도 볼 수 있다. 분꽃을 보면 분꽃의
수술
대가 둥굴게 구부러져 꽃밥을 암술머리에 가루받이한다.이같이 식물은 생식을 위해 나름대로 온갖 정성을 다하고 있는 것이다. 꽃가루의 발아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떨어지면 얼마 지나서 꽃가루가 ... ...
조개·콜라겐 이용, 손상된 뼈·피부 재생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촉진하는 성장인자로 기능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 얄팍하게 만들어 굳힌 콜라겐은
수술
할 때 지혈에 널리 활용되기도 한다.그러나 정작 콜라겐이 활용되는 분야는 피부과. 피부를 배양할 때 콜라겐을 사용한 배양 시스템이 채용 되고 있다. 화상 등으로 피부 일부가 손상된 환자의 경우 건강한 ... ...
기기묘묘한 식물들의 화장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식량으로 꿀을 먹어가며
수술
이 성숙할 때까지 2~3일간 그 속에서 살게 된다. 2~3일 후
수술
이 다 성숙하면 꽃밥이 터져 곤충은 밀가루를 뒤집어쓴 것 같이 꽃가루를 흠뻑 뒤집어 쓰게 된다. 그와 동시에 이때까지 수직으로 서있던 꽃이 수평으로 넘어지면서 털도 부드러워져 곤충은 아무 방해도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큰 차이가 없게 된다. 현장에서
수술
용 마이크로 로봇이 의사의 원격조종을 받으며 착착
수술
을 진행시키기 때문이다.그밖에 인공장기의 유지보수에도 마이크로 로봇이 활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심장고동을 유지시키는 페이스 메이커(pace maker)의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고장난 곳을 수리해야 하는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