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오늘날의 갈매기처럼 수면 근처로 올라온 물고기를 낚아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의 전기 백악기 리안무진층에서 발견된 ‘중가립테루스’는 위로 휜 핀셋 같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사진2). 안항구에라처럼 얕은 바다 위를 날아다니며 먹이를 낚아채기에는 부적합한 모양이다. 또 입 안쪽에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수컷 두 마리이다. 이들의 어미(CF-37)는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숫자를 늘리기 위해 2011년
중국
에서 데려왔다. 어미는 올해 1월 달에 수컷 두 마리를 출산하였고, 새끼들과 처음 8개월을 같이 지내면서 살아남는 데 필요한 여러 기술을 가르쳤다.예를 들면 어미는 계절에 따라 먹을 수 있는 먹이의 종류를 ... ...
전설의 무술 고수 ‘ 세사레 거믕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아직 뭔가 부족하다고 느낀 썰렁홈즈는 고민 끝에 무술을 배우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중국
소림사에서 수련했다고 알려진 전설의 무술 고수 ‘세사레 거믕띠’를 찾아간다.“여…, 여기가 무릎이 닿기도 전에 무술을 배우게 된다는…. 세사레 거믕띠님이 계신 곳이 맞나요?”바로 그때! ‘따이따이 ... ...
Part 2. 닭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가축닭과 적색야계의 DNA를 조사해 적색야계에서 갈라진 가축닭은 기원전 3000년경에
중국
, 인도 등지에서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그럼 적색야계는 어떻게 가축이 됐을까요? 스웨덴 리코핑대학교 페르 젠슨 교수팀은 적색야계를 몇 대에 걸쳐 직접 키워 봤어요. 그 결과 5대째에 이르자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개똥쑥으로 말라리아를 물리치다!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말라리아 치료제를 개발한
중국
의 투유유 교수가 받았어요.1970년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말라리아에 시달렸어요. 당시 미국과 전쟁 중이던 베트남에선 적군의 총에 맞아 죽는 것보다 말라리아에 감염돼 죽는 군인들이 더 많았지요. 이에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빛을 모으거나 퍼뜨리지요. 모데나의 그림이 그려진 14세기보다 이전인, 고대 로마나
중국
에서도 안경을 썼다는 기록이 남아있어요. 옛날부터 사람들이 렌즈의 성질을 알고 이용했다는 증거지요.렌즈도 종류에 따라 기능이 달라져요. ‘오목렌즈’는 빛을 퍼뜨리는 역할을 해요. 빛의 초점이 맺혀야 ... ...
고라니 vs 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사슴과에 속하는 동물 중 하나로, 주로
중국
과 우리나라에 살고 있어요. 사슴과 동물 중 유일하게 뿔이 없기 때문에 겉모습으로도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고라니는 뿔 대신 6cm 정도의 큰 송곳니인 ‘엄니’를 갖고 있어요. 엄니는 포유류의 이빨 중 크게 발달한 것을 뜻해요. ‘상아’로 알려진 ... ...
IT창의과학탐험대 - 신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스마트폰까지 60년 동안 꾸준히 통신장비를 개발하고 있어요.”IT창의과학탐험대의
중국
탐방은 첨단 과학 기술의 현장을 직접 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어요. 그나저나 근두운은 찾았냐고요? SK하이닉스의 OHT 로봇과 동방통신의 통신안테나가 IT근두운과 여의봉이 아닐까요?기자단 : 강성구(이천 ... ...
달나라 옥토끼배 송편대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즐겨먹는 차와 함께 먹으면 아주 맛있답니다.추분에 피는 꽃 이름을 딴 오하기일본은
중국
이나 우리나라처럼 음력 8월 15일에 명절을 보내지 않아요. 대신 음력 7월 15일에 조상을 기리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데서 유래한 ‘오봉’을 지내지요. 음력 7월 15일에 시작했지만,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이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옛말인‘맣’이 합쳐져 ‘오래 내리는 비’라는 뜻의 장마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중국
과 일본에서는 장마를 매실이 익을 무렵 시작되는 비라는 뜻인 ‘매우(梅雨)’라고 부른답니다.장마와 마찬가지로 한자와 우리말이 합쳐져 생긴 단어는 제법 많아요.우리가 밥 먹을 때 쓰는 젓가락도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