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듭니다.게임이 진행되는 세계를 게임 배경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할 수도 있고, 가상의 외계 행성을 설정해 만들 수도 있습니다. 대신에 그 시대와 장소에 어울리는 캐릭터를 만들어야겠지요. 시놉시스라고 부르는 게임 스토리는 게임을 플레이하는 ...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정리에서 a, b, c가 각각 3, 4, 5일 때와 같은 상황이에요. 구고현의 정리는 3000여 년 전 중국의 이라는 책에 등장하는데, 피타고라스 정리보다 무려 500년 이상 앞섰답니다.그런데 왜 하필 구고현의 정리를 썼을까요? 측정 도구가 발달하지 못했던 그 옛날에는 직각을 찾는다는 게 쉬운 일이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전해져 왔기 때문에 정확한 기원을 알기 어렵다. 종이접기와 관련된 최초의 기록은 중국 송나라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종이접기가 ‘문화’로 발전한 데는 일본의 역할이 크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일본어인 ‘오리가미’가 국제 표준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오리가미는 칼이나 풀 없이 종이 한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폴로 계획으로 유인 달 착륙을 성공한 이후 한동안 잠잠했으나 1990년대 들어 일본, 중국, 인도 등 신흥 우주개발국가들의 탐사가 많아지면서 경쟁 열기가 다시 뜨거워졌다. 현재는 NASA의 달정찰 궤도탐사선(LRO)이 달의 궤도를 돌고 있다. 2018년에는 한국도 궤도선을 보내는 게 목표다.화성은 유력한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살고 있지만 아직 카메라에 담지 못한 대륙의 문화와 풍경이 많다. 그는 “앞으로도 계속 중국의 곳곳을 발로 누비며 환상적인 풍경을 소개할 것”이라고 밝혔다.[붉은 흙 : 다랑논의 경계 사이로 보이는 붉은 흙이 하얀 구름과 선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논에서 자라는 다양한 색의 작물은 대지를 ...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압력이나 습도, 온도 등을 측정하는 라디오존데를 직접 띄워보기도 했고, 노르웨이와 중국 기지를 견학하며 현지 연구자와 만나기도 했다. 강 군은 “라디오존데로 측정한 자료를 다른 팀과 공유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며 “서로가 유익한 정보를 공유해서 상생하는 것이 인류를 위하는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구글에 취직을 못하면 그게 이상하겠다 싶더라고요.”진우 씨를 만났을 때 그는 중국계, 아프리카계 미국인 친구들과 함께 기숙사에서 4시간째 조모임을 하는 중이었다. 목소리에서 자신감이 묻어나왔다. 학교 숙제로 거의 매일 모여 버전을 관리하는 ‘깃(GIT)’이라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했다.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드디어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됐다. 이 때 이름이 FIRA컵으로 바뀌었다. 이후 브라질, 호주, 중국, 오스트리아 등 세계 각지에서 열리며 발전을 거듭했다.김 교수는 “글로벌 기업의 후원 제의가 들어왔는데, 그 51 기업의 하드웨어를 써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며 “한국 로봇산업의 발전을 위해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무를 뜻하는 ‘나무 목’과, 물건이 높이 올라감을 뜻하는 ‘표’로 이루어졌다. 옛날 중국에서 종이 대신 나무에 표시하던 것에서 유래했다.‘시각’에서도 기준이 되는 것이 있다. 만약 기준이 없다면, 서울과 독도에서 태양이 뜨는 시각이 다른 것처럼 지방에 따라 시각이 다를 수 있다. 우리가 ... ...
- [Photo] 초록빛 납 광물 녹연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초록빛 광물, 즉 납의 원료 광석인 녹연석도 이런 과정을 통해 태어난 젊은 광물이다. 중국 광시자치지역의 다오핑 광산에서 채취됐는데, 납의 원료로 쓰기에는 너무 아까워 수집용으로 살아남았다. 녹연석은 매우 안정한 광물이다. 곰팡이를 이용해 해로운 납을 녹연석으로 바꾸는 환경 정화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