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알아내면 양자역학의 특성상 중첩상태가 깨지고 간섭현상도 줄어든다. 이중슬릿을
통과
한 빛은 간섭무늬 형태로 넓게 퍼지는 대신 망원경이 있는 곳으로 집중되기때문에 그곳의 폭탄만 제거한다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차에 올라 탄 은욱은 망원경을 설치하라고 명령한 곳으로 급히 향했다. 과연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교통사고 미리 대비하는 자동차지난 8월 3일 유럽에서는 재미있는 자동차 규제 법안이
통과
됐다. 새로운 차량에 대해 자율응급제동시스템(AEB) 장착을 의무화하는 게 골자다. 2014년부터 출시되는 신차는 의무적으로 새로운 제동시스템을 장착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안전성 평가에서 별점 5점을 ... ...
감시탑을 가려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Q 다음 규칙에 따라서 보기와 같이 장애물 블록을 설치하세요. 1) 네모칸으로 나뉜 지도 곳곳에 감시탑이 설치돼 있습니다. 2) 감시탑이 있는 곳은 숫자로 표시돼 있습니 ... 가로, 세로 방향만 볼 수 있고 다른 감시탑을
통과
해 볼 수 있지만 장애물 블록이 있는 곳은
통과
해 볼 수 없습니다 ... ...
레이저 선배 ‘메이저’ 상온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구조물을 만들었다. 그 뒤 레이저로 유기물 속 전자를 가열한 뒤 여기에 마이크로파를
통과
시켰다. 그 결과 상온에서 메이저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옥스버로우 교수는 “반세기 동안 잊혀졌던 메이저가 우리의 개발로 산업과 소비자들에게 널리 이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했다. 선수들이 1번 레인을 싫어하는 이유 중 하나는 예선을 가장 좋은 기록으로
통과
한 4번 레인 선수를 견제하기가 힘들어서다. 1번 레인은 중앙인 4번 레인과 가장 멀리 떨어져있다. 하지만 더 큰 이유는 바로 ‘조파저항’이다.“가장 선두에서 헤엄치는 4번 레인 선수가 만든 파도가 3번, 2번 ... ...
조력발전,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조력발전소는 225m의 소규모 방조제에 터빈 2개와 어도 1개를 갖추고 있는데 터빈을
통과
하는 어류의 20~80%가 죽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세계적으로 대규모 조력발전소는 우리나라의 시화발전소와 프랑스 랑스발전소 2곳에 불과하며 대부분 소규모이거나, 경제성 확보에 실패해 가동을 중단했다고 ... ...
수에 대한 감각, 서른 살 때 최고!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성적과 비교했다.그 결과 성적이 좋았던 사람들은 대체로 이 테스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통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실력과 수에 대한 감각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그리고 11살부터 16살까지는 대체로 이 테스트를 끝마치는 데까지 필요한 시간이 짧아졌으며, 16살부터 3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얇게 잘라야만 한다. 시편의 두께가 1마이크로미터보다 더 얇아야만 전자가 대상을
통과
할 수 있어 비로소 관찰이 가능하다. 하지만 관찰 대상을 얇게 조각내면, 자른 각도에 따라 보이는 모습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반면에 X선은 투과력이 좋아 세포 소기관을 조각내지 않고도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새 깃털이 어떻게 자동차의 유동저항을 줄여주는 걸까. 새가 날개를 펴고 공기 속을
통과
할 때 날개 뒷부분에 유동저항이 발생한다. 공기 흐름과 날개의 넓은 면이 이루는 각(받음각)이 클수록 날개 뒤에 유동저항이 크게 발생해 비행 속도가 줄어든다. 자동차 뒷부분도 마찬가지다. 이 때 새는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도착하려면 표적까지 12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방아쇠를 당겨야 한다.이 거리는 서울을
통과
하는 한강 폭보다 길다(성동구와 강남구를 잇는 영동대교의 길이가 1065m다). 앞서 소개한 영국군 저격수 크레이그 해리슨 상병은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이보다 두 배 먼 2475m 거리의 저격에 성공했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