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과"(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고에너지 레이저 빔으로 만든 커튼을 배치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레이저빔은 이곳을 통과하는 모든 물질을 기화시킬 정도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레이저 커튼 뒤에 ‘탄소나노튜브’ 재질의 그물을 설치해 둔다. 튜브 하나의 굵기는 탄소원자의 크기와 비슷할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특별한 상호작용이 없어 이미 서로 지나쳐 통과해 버린 은하나 암흑물질과 달리 아직 통과하지 못하고 뭉쳐 있는 것이다.따라서 뜨거운 가스 성분은 중력렌즈 효과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니다. ‘무엇인가’는 서로 충돌 없이(즉 상호작용 없이) 엇갈려 지나갔다. 바로 암흑물질이다.혼자 노는 ...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소나 모니터만을 주시하는 것뿐이었다. 우리가 탄 잠수정은 과연 소노부이의 틈을 통과할 수 있을까.로그오프나는 3D영상 헬멧을 벗었다. 땀이 그만 후두둑 하고 쏟아졌다. 아무리 가상훈련이라고 해도 훈련 자체는 진짜였다. 사방에 깔린 소노보이 틈에서 우리가 탄 잠수정은 어떻게 탈출할 수 ... ...
- 잔혹한 범죄의 씨앗, 소아성애증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우리나라는 2010년 6월 ‘성폭력 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안’을 국회에서 통과시켜 화학적 거세가 가능해졌다. 검찰은 고종석에 대해 화학적 거세를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9월 5일에는 의사 출신의 박인숙 의원이 ‘성폭력 범죄자의 외과적 치료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했다. ... ...
- [life & tech]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이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없어 공항직원이 직접 일일이 가방 검사를 하는데, 늦은 밤에 도착한 덕분에 무사히 통과할 수 있었다. 하지만 결국 축에서 출국하던 날, 가방 검사를 받고야 말았다.공항에서 연구센터까지는 불과 8km. 그런데 차로 10분이면 갈 거리를 40분이나 걸려 센터에 도착했다. 비포장도로에 전날 비가 온 ... ...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높은 수준의 학습 능력이 필요하다. 의대에 입학해 과정을 이수하고 의사국가시험을 통과한 후 수련의와 전문의 과정을 마치기까지, 이 험난한 길을 짧게는 10년, 길게는 16년 이상을 걸어야 한다.직업으로서의 의사보건복지부의 통계에 따르면 과 같이 의사 및 치과의사, 한의사 전체 인원이 200 ... ...
- Part 1. 2등 정자가 임신한다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이상의 정자가 난자에 들어가면 수정란 발달이 멈추고 퇴화해 버린다.[수정란이 난관을 통과하지 못하면 자궁 외 임신이 된다. 사진은 자궁 외 임신이 된 배아. 5주쯤 됐으며, 크기는 1cm정도이다.]수정란 됐다고 안심은 금물정자가 자궁 안으로 들어가는 데는 운동성이 가장 중요하다. 사정된 정자 ... ...
- 뜨개질하는 컴퓨터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그대로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다. 뜨개질할 때는 실 하나로 고리를 만든 뒤 다른 실을 통과시켰다 잡아당겨 한 땀을 만든다. 이 방식이 다양해서 다양한 형태와 질감을 만들 수 있다.연구팀은 먼저 뜨개질 한 땀을 3D로 모델링한 뒤, 모자이크처럼 이어붙여서 그물코를 만들었다. 그 뒤 컴퓨터를 ...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채취한 물의 수질을 검사하고 있었다. 한 시간 뒤, 서울시는 팔당댐 하류 서울시 통과 한강구간에 조류 주의보를 발령했다.전국의 물이 몸살이다. 한강은 북한강과 하류를 중심으로 녹색 빛을 띤 부유성 미생물이 번성하면서 강물이 녹색으로 변했다. 낙동강 역시 중상류까지 조류가 번졌다. ...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만나면 이렇게 묻곤 한다.북극항로가 뭔데 이렇게 두려워할까. 북극항로는 북극 지역을 통과하는 비행기 항로다. 비행기를 타고 높이 올라가면 지상보다 더 많은 우주방사선을 맞게 된다. 방사선량은 위도가 올라갈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북극에서 가장 많이 받는다. 일반 승객들이야 큰 문제가 없다.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