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뉴스
"
P
"(으)로 총 1,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좋아하는 반도체 ‘흑린’의 환골탈태
2015.03.11
약한 흑린의 성질을 보완하고 친환경 광촉매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흑린은 인(
P
)과 원소는 같지만 모양과 성질이 다른 물질로 고온고압 하에서 만들어진다. 특히 흑린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처럼 전자를 흘려보내는 성질과 강도가 뛰어난데다, 그래핀과 달리 그 자체가 ... ...
‘도핑’은 나쁘기만 한 걸까요
2015.03.10
가해 반도체를 도핑하는 기존 방식 대신, 자기조립방식을 이용해 스스로 도핑이 되는 ‘
p
형 도핑 기술’을 찾아냈다고 10일 밝혔다. 기존 도핑 방식은 물리적인 힘으로 이온을 주입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2차원 반도체가 깨질 수 있고, 도핑의 농도를 섬세하게 조절할 수 없어 지나치게 고농도로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앤드류 지워츠 교수팀은 식품의 유화제로 널리 쓰이는 CMC(carboxymethylcellulose)나
P
80(
p
olysorbate-80)이 1% 농도로 들어있는 물을 마신 생쥐와 그냥 맹물을 마신 생쥐 사이의 차이를 조사했다. 1% 농도는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유화제 수준이다. 12주 동안 비교 실험을 한 결과 유화제를 탄 물을 먹은 생쥐들은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유명해진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의 진화인류학부장인 스반테 패보(Svante
P
ääbo) 박사는 지난해 출간한 ‘네안데르탈인’에서 안 해도 되는 ‘고백’을 적었다. 패보는 1990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었는데, 당시 그 실험실에는 마크 스토네킹 박사와 ... ...
초미세 뇌파도 정확히 측정하는 신소재 나왔다
2015.02.11
서로 달라붙는 성질이 있어 넓게 만들기 어려웠다. 이에 연구진은 바이오 물질(
P
8GB#1)이 단겹탄소나노튜브와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그물 구조로 넓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전극을 생쥐의 뇌에 그냥 붙이기만 했는데도 기존 소자보다 4배나 더 잘 감지하는 것으로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혜성이 지구 물의 기원일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지난해 8월 1일 혜성 67
P
에 1000km까지 접근한 로제타는 수일 뒤 100km 이내까지 다가가 코마의 기체를 포집해 분석했다. 코마(coma)는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혜성에서 승화된 입자 무리로 뿌옇게 보이는데 물분자가 주성분이다. ...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운석이 알려주는 지구의 비밀
2015.01.25
작년 말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유럽우주국(ESA)의 혜성탐사선 ‘로제타’가 탐험한 ‘
P
67/추류모프-게라시멘코’다. 사이언스에는 로제타와 탐사로봇 ‘필레’가 혜성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토대로 연구한 7개의 논문이 게재됐다. 미국과 유럽 연구진은 탐사선에 실린 첨단 분석 장비를 통해 ... ...
빛 만 쪼여주면 약 효과가 쑤욱~
2015.01.21
워낙 비싸 시토크롬
P
450의 활용성을 높이는 데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팀은 이번에 NAD
P
H 대신 빛에 반응하는 감광제인 ‘에오신 Y’라는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을 처음 개발했다. 저가의 에오신 Y를 빛에 노출시켜 시토크롬
P
450의 효소반응을 촉진, 고가의 대사물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박찬범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통해 의사를 문자로 표현해 e메일을 보내고, 웹서핑도 가능하다. 정상시유발전위(SSVE
P
) 뇌파를 이용해 만든 문자입력 시스템의 모습 - 서울대 의대 제공 ● 휠체어, 로봇팔 조작 등 다양한 활용 가능 물론 이 방법이 환자와의 의사소통 목적으로만 쓰이지는 않는다. 연구하기에 따라선 환자 스스로 ... ...
후두암 방사선 치료 확률 높인다… 내성 환자 구분법 첫 개발
2015.01.13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암 생물학 학술지 ‘온코타깃’ 1월호에 실렸다. ER
p
57과 STAT3이 결합된 단백질이 다량 발견될 경우 방사선 치료 예후가 좋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 한국원자력의학원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